하마디 제발리
Hamadi Jebali하마디 제발리 حمادي الجبالي | |
---|---|
![]() 2012년 하마디 제발리 | |
10일 튀니지의 총리 | |
재직중 2011년 12월 24일 – 2013년 3월 14일 | |
대통령 | 몬체프 마르주키 |
선행자 | 베지 카이드 에세브시 |
성공자 | 알리 라라예드 |
엔나흐다 운동 사무총장 | |
재직중 1981년 6월 6일 – 2013년 2월 22일 | |
리더 | 라시드 알간누시 |
선행자 | 직책정립 |
성공자 | 알리 라라예드 |
개인내역 | |
태어난 | 튀니지 소세 | 1949년 1월 12일
정당 | 엔나흐다 운동 (2014년까지) |
모교 | 튀니지 대학교 파리 대학교 |
하마디 제발리(Hamadi Jebali, Arabic: حمدييي,,,,,,, ḥammaāī al-Jibalī; 1949년 1월 12일생)는 튀니지의 엔지니어, 무슬림 정치인, 언론인으로, 2011년 12월부터 2013년 3월까지 튀니지의 총리였다.2014년 튀니지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2014년 12월 당을 떠날 때까지 튀니지의 온건 이슬람 정당인 에나흐다 운동의 사무총장을 지냈다.
조기 생활, 교육 및 직업 생활
1949년 수스에서 태어난 제발리는 튀니지 대학에서 기계공학 학사 학위를 받았고 프랑스 파리에서 태양광 공학 석사 과정을 추가했다.[1][2]태양 에너지와 풍력 발전 분야의 전문가로서, 그는 수스에 자신의 회사를 설립했다.[3]
정치 및 저널리즘 활동
1981년 그는 튀니지의 이슬람주의 운동에 참여하게 되었고, 당시는 이슬람 경향의 운동이라고 불렸다.이슬람 에나흐다당의 전 주간지 알파즈르(던)의 감독 겸 편집장을 지냈다.[2]더구나 오랜 기간 당 집행위원을 지냈고 엔나흐다 사무총장으로 남아 있다.[1][4]
형사고발 및 금고
1990년 6월 알파즈르는 라시드 알간누시(Rashid al-Ghannushi)의 '국가의 국민인가 아니면 인민의 국가인가'라는 기사를 실었다.제발리는 출판을 책임지게 되어 '법 위반을 조장한다'와 '반란을 부르라'는 죄로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1,500 디나르 벌금형을 받았다.1990년 11월 이슬람 신문에는 모하메드 누리 변호사의 에세이가 실렸는데, '특별재판소 역할을 하는 군사법원은 언제 폐지될 것인가'라는 제목의 논문이 실렸다.이번에는 군사법원이 하마디 제발리에게 '사법기관 명예훼손'[1][4] 혐의로 징역 1년을 선고했다.
1992년 5월 정부는 벤 알리 대통령을 살해하고 이슬람 국가를 세우려는 음모를 꾸몄다는 엔나흐다의 쿠데타 계획을 포착했다고 주장했다.1992년 8월, 제발리는 엔나흐다의 다른 동조자 170명과 함께 '전복 미수' 혐의로 기소되었다.제발리는 음모의 존재를 전혀 몰랐다고 항변하고, 고문을 당했다고 주장하면서 자신의 몸에 증거를 제시하였다.이번 재판은 휴먼라이츠워치, 인권 변호사 위원회, 국제사면위원회의 참관인에 의해 불공평한 것으로 분류되었고, 그 중 후자는 제발리를 양심수라고 명명했다.[5]결국 1992년 8월 28일 하마디 제발리는 '불법조직에서의 회원 자격'과 '국가 본성 변경 시도'로 징역 16년을 선고받았다.[4]캐스케이션 법원은 그 평결을 확정했다.[1]
그의 수감 조건은 가혹했다.제발리가 보낸 15년 중 10년 이상이 독방에 감금되어 있었다.하마디 제발리는 여러 차례 단식투쟁을 벌여 조건과 신념에 항의했다.그 중 두 개는 각각 36일 동안 지속되었다.2006년 2월 튀니지 독립 50주년을 맞아 조건부로 제발리가 석방되었다.[1]
혁명 후 총리

2011년 1월 튀니지 혁명에 이어 엔나흐다가 합법화됐다.이후 하마디 제발리는 당 사무총장과 대변인으로 공개석상에 출석했다.2011년 5월, 그는 이슬람과 민주주의 연구 센터의 초청으로 미국 워싱턴 D.C.에 갔다.[6]존 매케인 상원의원과 조 리버먼 상원의원도 만났다.[7]
2011년 10월 23일 제헌의회 선거에서 에나흐다의 성공에 이어, 그 당은 그를 총리 후보로 지명했다.[4][8]제발리는 자기 당의 개혁파의 지지자로 여겨진다.[4]
몬체프 마르주키 임시 대통령은 2011년 12월 14일 튀니지 총리에 제발리를 임명했다.[9]그는 12월 20일에 그의 정부를 발표했다.[10]그는 12월 24일에 공식 취임했다.[citation needed]
2013년 2월 19일, 그는 공직에서 사임했다.[11]초크리 벨라이드 암살에 이어 테크노크라테스 정부를 구성하려는 그의 시도와 이슬람화 주장에 반대하는 시위가 잇따른 데 따른 것이다.그러나 엔나흐다는 정치인들의 정부를 주장하는 그의 사임을 거부했고 제발리는 몬체프 마르주키 대통령과 회담을 가진 후 공식적으로 사임했다.그는 "내 계획이 성공하지 못하면 정부 수반직에서 물러나겠다고 약속했고, 이것이 대통령과의 회담 이후 내가 하고 있는 일이다"라고 말했다.오늘날 사람들 사이에서 큰 실망은 이 사퇴는 첫번째 단계는 그들의 신뢰를 되찾아야 한다는 점이다.반면 Jebali 새로운 정부를 구성하는 업무를 맡겼다는 초당적인 장관들이 vari에 포함시켜야 할 것임을 암시했다"[12]당 지도자 Rachid 간누신 다음, 정치인, 기술 관료들의 정부 제안했다.새 선거로 이어질 정치적 [12]대표성의 이유익명의 야당 인사들은 그 사퇴를 환영했다.이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튀니지의 신용등급을 강등했다.[13]그러나 IMF는 이 나라에 대한 17억 8천만 달러의 차관을 위한 협상을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14]
2014년 대선에서 몬체프 마르주키 임시대통령을 지지해 줄 것을 무난히 당에 촉구한 뒤 2014년 12월 10일 엔나흐다를 떠났다.[15][16]2015년 1월, 패배한 대통령 후보 마르주키의[17] 신당 입당을 거부했지만, 독자 창당도 배제하지 않았다.[18]
참조
- ^ a b c d e 사례 정보: Hamadi Jebali 인권 위원회, nationalacademies.org.2011년 10월 26일 검색됨
- ^ a b "Man on a Wire" (PDF). The Majalla. 1571: 45. March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5 July 2012. Retrieved 4 April 2013.
- ^ Barrouhi, Abdelaziz (13 May 2011), "Hamadi Jebali: "Nous ne prétendons pas être les détenteurs de la vérité en Tunisie"", Jeune Afrique (in French), retrieved 27 October 2011
- ^ a b c d e Feuillatre, Cecile (26 October 2011), "Hamadi Jebali: The face of moderate Islamism in Tunisia", National Post, retrieved 26 October 2011
- ^ "Further information on Tunisia: Imprisonment of a Journalist". Amnesty International. February 1991. Retrieved 22 January 2012.
- ^ "The Center for the Study of Islam and Democracy Holds a Discussion on "What Kind of Democracy for the New Tunisia: Islamic or Secular?"". BNET CBS Business Network. 9 May 2011. Retrieved 21 June 2011.
- ^ Washington ready to play soft Islam card, Maghreb Confidential, 26 May 2011, retrieved 21 June 2011
- ^ Toumi, Habib (26 October 2011), "Al Nahdha likely to front its secretary general as prime minister", Gulf News, retrieved 26 October 2011
- ^ Mzioudet, Houda (14 December 2011), "Ennahda's Jebali Appointed as Tunisian Prime Minister", Tunisia-live.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January 2012, retrieved 21 December 2011
- ^ "Tunisian PM presents new government". Google News. Agence France-Presse. 20 December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November 2012. Retrieved 4 November 2012.
- ^ "Tunisia: Prime Minister Hamadi Jebali resigns after the failure of his firm apolitical". lexmpress. Retrieved 19 February 2013.
- ^ a b "Tunisia PM resigns after cabinet initiative fails to form a technocratic government". India Today. 20 February 2013. Retrieved 20 February 2013.
- ^ Angelique Chrisafis and agencies (20 February 2013). "Tunisian PM resigns sparking credit rating downgrade". The Guardian. Retrieved 20 February 2013.
- ^ "IMF says still in touch with Tunisia on loan". Reuters. 20 February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February 2013. Retrieved 20 February 2013.
- ^ Eileen Byrne: 튀니지의 새 대통령 투표로 오는 주요한 정치적 변화.인: The National, 2014년 12월 20일.
- ^ Zeineb Marzouk:하마디 제발리는 엔나하라에서 물러난다.인: Tunisia-Live.net, 2014년 12월 12일.
- ^ Hamadi Jebali: Je ne ferai jaemis partie du mouvement cré par Marzouki.인: 자와라FM.net, 2015년 1월 6일.
- ^ Hamadi Jebali는 lancer un nouveau parti politique를 부러워한다.인: Tuniscope.com, 2015년 1월 5일.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스의 하마디 제발리 관련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