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다 하미스

Hamda Khamis
함다 하미스
태어난1945
바레인
직업시인, 작가
언어아랍어
국적바레인

다(또는 다) 하미스바레인 출신의 시인이자 프리랜서 칼럼니스트다.[1]

전기

카미스는 1945년 바레인에서 태어났다.

1969년 첫 시집 샤야자(영어로는 'Shayaza'로 번역됨)를 발표하여 바레인 시계에 등장한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 많은 다른 바레인의 여성 시인들이 그녀의 뒤를 따랐고, 바레인의 번창하는 문학계를 만드는데 도움을 주었다.[2]

2013년 함다 하미스는 제23회 아부다비 국제 도서전에 초청되어 페르시아만 지역의 문학 업적을 시로 전시하는데 도움을 주었다.[3]

작동하다

그녀는 아홉 권의 시집을 출판했다.[1] 그녀의 컬렉션 중 일부는 아래에 나열되어 있다.

  • 아동기에 대한 사과 (iitidharr Lil-ṭufulla, al-Baḥrayn: 다르 알가드, 1978년)
  • 파편(샤야자)
  • 사랑의 행복

그녀의 시는 영어, 독일어, 스페인어, 프랑스어로도 번역되었다.[1]

그녀의 시들 중 몇 편이 "조수 채집: 현대 아라비아 걸프 시의 문집"이라는 제목의 시집에 수록되었다.[1]

  • 커플
  • 레이
  • 나를 위한 것이 아닌 사람들
  • 이유 없이

'조류를 모으다'에 포함된 몇몇 시들은 그녀의 저서 '사랑의 행복'에서 나온 것이다. 레이와 같은 문집에 나오는 다른 시들은 왜 카미스가 시를 쓰기로 선택했는지 탐구한다. 하미스의 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주제는 가정과 세속 생활에 대한 불만과 좌절에서 벗어나 추상적이고 우주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욕망이다.

아부다비 문화유산 당국(ADACH)도 아라비아 반도에서 온 시집을 영어 번역본과 함께 그녀의 시 '평등'[4]을 출간했다.

2010년 하산 마하마(바흐레니 편집자)는 《목소리: 주석을 단 바레인의 현대시집. 그는 카미스의 시 You Have Your Time, I Have Mine을 포함하고 있다.[5]

임계수신호

세계문화생활백과사전에서는 함다 하미스와 카심 하다드를 가장 잘 알려진 현대 바레인 시인으로 언급하고 있다. 백과사전은 바레인에서 "[카미스와 하드다드 같은] 젊은 시인들이 개인적이고 정치적인 주제에 대해 비현화적인 시를 쓰면서 더 서구화된 스타일을 발전시켰다"[6]고 언급하고 있다.

참조

  1. ^ a b c d Paine, edited by Patty; Lodge, Jeff; Touati, Samia (2011). Gathering the Tide : An Anthology of Contemporary Arabian Gulf Poetry (1st ed.). Reading, UK: Ithaca Press. p. 49. ISBN 978-0863723742. {{cite book}}: first1= 일반 이름 포함(도움말)
  2. ^ McClure, edited by Radwa Ashour, Ferial J. Ghazoul, Hasna Reda-Mekdashi ; translated by Mandy (2008). Arab women writers : a critical reference guide, 1873-1999. Cairo: Th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p. 257. ISBN 978-9774161469. Retrieved 5 October 2014. {{cite book}}: first1= 일반 이름 포함(도움말)
  3. ^ Radan, Silvia (April 21, 2013). "Syrian Publishers for Abu Dhabi Book Fair". McClatchy - Tribune Business News. ProQuest 1330916596.
  4. ^ "ADACH publishes Arabic poetry collection with English translations". Emirates News Agency. June 6, 2010. Retrieved 5 October 2014.
  5. ^ Hasan, Marhamah (January 20, 2010). Voices: An annotated anthology of contemporary Bahraini poetry. Victoria, Canada: Trafford. p. 55.
  6. ^ editor Gall, Thomas L.; Hobby, Jeneen (2009). Worldmark Encyclopedia of Cultures and Daily Life. Vol. 3: Asia & Oceania (2nd ed.). Detroit: Gale. pp. 76–82. Retrieved 16 October 2014. {{cite book}}: last1= 일반 이름 포함(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