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마 한린
Hanlin, Burma할린 | |
---|---|
도시 | |
한린 – 뿌이 고대도시 | |
좌표:22°28′54″N 95°48′00″E/22.48167°N 95.80000°E좌표: 22°28′54″N 95°48′00″E / 22.48167°N 95.80000°E | |
나라 | ![]() |
지역 | 사가잉 구 |
구 | 슈웨보 구 |
타운쉽 | 한린 |
시간대 | UTC+6.30(MST) |
한린(Halingyi, Halin, Halim이라고도 한다)은 미얀마 사가잉 사단의 슈웨보 부근의 마을이다.푸 도시국가 시대에는 스리 크세트라를 대신한 지방 수도일 가능성이 있는 상당한 의미를 지닌 도시였다.오늘날 이 수수한 마을은 온천과 고고학 유적지로 유명하다.푸 왕국의 고대 도시인 한린, 베이카노, 스리 크세트라는 아야와디 강 유역의 건류지대의 관개 밭에 건설되었다.그것들은 2014년 5월 유네스코가 그들의 고고학적 유산이 기원전 200년에서 900년까지 1,000년 이상 거슬러 올라간다는 이유로 동남아시아의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
지리
한린의 고고학적 유적지(할링이, 할린, 할림이라고도 함)[1]는 사가잉 사단 슈웨보 구 와틀렛 타운쉽의 마을 위쪽에 위치해 있다.인구는 약 6,400명(2014년)이다.[2][3][4]33건의 고고학적 발굴이 진행된 슈웨보 남동쪽 12마일(19km) 지점이다.한 도로는 버스 터미널에서 보테 마을까지 6마일(9.7km) 정도 이동한 뒤 개선 중인 험난한 도로를 따라간다.또 다른 길은 버스정류장 남쪽 6마일(9.7km) 구간으로 고고학적 유적지 29와 마을로 이어지는 험하고 바위투성이의 길을 따라 있다.그 마을은 주변 평지보다 약간 위쪽에 있다.[2]그 땅은 일부 관개 지역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불모지다.[5]세계문화유산목록에 등재된 이후 슈웨보에서 할린까지 16km(9.9mi)의 거리에 대한 진입도로 상태가 이탈리아에서 지원받아 개선되고 있다.[4]
역사
한린의 역사는 BC 2세기에서 AD 9세기 사이에 빈나카, 몽가모, 스리 크셰트라, 할링이에 존재했던 왕국에서 살았던 프유족의 역사와 연결된다.그들은 티벳-부르만 언어를 말했다.중국, 인도와 무역이 이루어졌다.푸의 권위는 18개 왕국으로 확대되었는데, 대부분이 미얀마 남부 지역에 있었다.그들은 행동, 복장 습관, 문화, 예술에서 세련되었고 사르바스티바다 학파의 불교 신자였다.11세기에서 14세기까지 진화한 건축 양식은 파가니아 지역에서 뚜렷이 나타난다.처음에 그들의 수도는 이라와디 강 삼각주의 북쪽 가장자리에 있는 스리 크셰트라였다.7세기에 그들은 그들의 수도를 건조한 지역에 있는 Halingyi로 옮겼다.외국과의 무역을 목적으로 그들은 여전히 스리 크셰트라에서 운영되었다.그들의 남쪽 이웃은 테라바다 불교의 추종자였던 몬족들이었다.[6]
고고학적 발견은 청동기 시대부터 이 지역에 거주지가 존재했으며, 한린은 기원전 1세기나 2세기 때에야 푸족에 의해 세워졌다는 것을 보여준다.[5][7]
고고학자들은 한린이 AD 9세기까지 가장 큰 프유 도시였다고 밝혔다.[7]그 후 페이 근처의 스리 크세트라는 더욱 두드러진 도시가 되었다.그러나 몇 년 동안 파에 문화는 바간 문화에 의해 가려졌다.[4]
레전설
급작스럽게 사라진 위나라를 설명할 전설은 많다.한 전설에 따르면 뜨거운 모래폭풍이 한린의 대부분을 파괴했다고 한다.이는 왕이 중국 외교관에게 떨어질 다이아몬드의 소나기를 만들 수 없을 때 그의 동생을 단도로 살해했기 때문이다.그의 아들은 한린이 겪은 재앙에서 벗어나 나중에 불교 신자로 돌아와 도시를 세우고 슈웨기 탑을 세웠다.이 탑은 현재 벽돌로 쌓은 많은 고대의 부도가 농경지에 둘러싸여 있으며, 한린은 북쪽으로, 한리는 남쪽으로 놓여 있다.[5]
또 다른 전설에서는 한린 왕자의 비행이 "재와 용해된 물질의 비를 강하게 내려 도시를 완전히 묻어버린다"고 전한다.[5]
고고학적 발견
고고학적 발굴은 1904-05년, 1929-30년, 1962년부터 1967년까지, 그리고 1963년부터 2012년까지 국립고고고박물관과 도서관에서 수행되었다.지금까지 한린시, 슈웨기 탑 남부와 북부, 그리고 옛 할린읍에서 33마리가 출토되었다.이들은 궁궐의 성곽, 화장터, 제조지, 불탑의 벽돌비, 각기 다른 크기의 담장, 물 관리 구조물 등을 발굴하였다.또한 화석화된 상태의 인간 해골 11점도 발굴되었다.[3][8]
한린마을에서 발굴된 고고학적 발굴에서는 성벽 안에 12개의 성문이 있고 해자의 흔적이 남아 있는 도시를 발굴했다.이 도시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면적이 541.4헥타르(1,338에이커)이다.아야르와디 강에서 서쪽으로 약 16km(9.9mi), 무 강에서 약 27km(17mi)의 거리에 있는 화산 물질의 기복이 심한 지형에 위치하고 있다.탐사지역에서는 치료적 특성을 가진 온천이 발견되었다.특히 관심의 발견은 AD 2기 석판 3세트가 거대 문화를 나타내는 HL-22 발굴 현장에서 찾아볼 수 있다.서던 게이트웨이는 서기 약 2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4]
슈웨기 유적지 근처의 박물관에는 발굴에서 나온 고고학적 발견물을 보여주는 전시물들이 있다: 인간의 골격 유골과 땅 밑에서 발견된 일련의 무덤에 놓여진 도자기, 보석, 청동 방울들과 함께.몇몇 초기의 무덤의 탄소 연대 측정은 그들이 거의 5,000년 된 것을 나타낸다.[5]이 박물관에는 은화, 금장식, 글씨가 새겨진 벽돌, 그리고 한린 유적지에서 발견된 많은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산스크리트어와의 연계가 있는 푸 알파벳과 무덤돌에 새겨진 오늘날의 바마어 또한 전시되고 있다.[4]
유네스코 비문
1996년 10월 한린, 베이카노, 스리 케스트라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될 것을 제안했다.이 제안은 2014년 5월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제38차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유네스코에 의해 승인되었다.[4][9][10]유네스코 보고서에 따르면, 푸 왕국은 기원전 200년에서 서기 900년 사이에 1,000년 이상 번창했다.세 부지는 모두 5,809헥타르(1만4,350에이커)의 면적에 대한 기준(ii), (iii), (iv)에 따라 완충지대가 6,790헥타르(1만6,800에이커)로 새겨져 있다.유네스코가 평가한 3개 유적지는 기원전 190년 전의 온전한 건축적 특징에서 유래한 방사성탄소 연대를 통해 1000년 동안의 도시 점령 기간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팔레오(팔레오)를 강화한 것이다.현장에서 출토된 유물에 대한 표문 글씨가 제공한 그래픽 날짜."[7]
갤러리
참고 항목
참조
- ^ "Introducing Hanlin". Lonely Planet. Retrieved 15 August 2016.
- ^ a b 리치먼드 & 부시 2014, 페이지 599–600.
- ^ a b "Hanlin". Department of Archaeology, National Museum and Library. Retrieved 9 November 2015.
- ^ a b c d e f Becker, Stuart Alan (28 July 2014). "Stepping back in time in Hanlin". Myanmar Times. Retrieved 9 November 2015.
- ^ a b c d e Long, Douglas (28 July 2014). "Legends of Hanlin". Myanmar Times. Retrieved 9 November 2015.
- ^ Steinberg, David I. "Myanmar: The Pyu state". Encyclopædia Britannica. Retrieved 9 November 2015.
- ^ a b c "Pyu Ancient Cities". UNESCO Organization. Retrieved 9 November 2015.
- ^ "Ancient Cities and Sites In Myanmar: Hanlin Ancient Pyu City". Department of Archaeology, National Museum and Library. Retrieved 9 November 2015.
- ^ "Myanmar's 3 ancient cities now on UNESCO World Heritage list". Philippines News Agency, Xinhua. 23 June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August 2016. Retrieved 9 November 2015.
- ^ Khinbe, Aung. "UNESCO: Myanmar's first site inscribed to World Heritage List" (PDF). The New Light of Myanmar.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 July 2015. Retrieved 7 November 2015.
참고 문헌 목록
- Richmond, Simon; Bush, Austin (1 June 2014). Lonely Planet Myanmar (Burma). Lonely Planet Publications. ISBN 978-1-74360-0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