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 브레도우

Hans Bredow
한스 브레도우
Hans Bredow ca.1922.jpg
한스 브레도우 (1922년)
태어난(1879-11-26)26 1879년 11월
독일 슐라웨
죽은1959년 1월 9일 (1959-01-09) (79세)
국적독일어

한스 브레도우(Hans Bredow, 1879년 11월 26일 ~ 1959년 1월 9일)는 독일의 라디오 방송의 선구자였으며 바이마르 독일 전국 방송국의 초대 회장이다.그는 "독일 방송의 아버지"로 여겨진다.[1][2][3]

전기

브레도프는 독일제국의 포메라니아 슐라베( 폴란드 스와우노)에서 태어났다.그의 어머니는 그의 어린 시절에 돌아가셨고 가족은 1889년에 렌즈버그로 이사했다.[4]1900년 쾨텐에서 전기공학을 공부하기 시작했고, 학업을 마친 후 리가AEG에서 일하기 시작했다.[3]

1904년에 그는 "Gesellschaft für drahtlose Telegraphie m.b.H"(Wireless Telegraphy Ltd.)에서 일하기 시작했고, 이후 텔레펑켄으로 상트페테르부르크로 파견되었다.러일 전쟁이 발발한 후 그는 러시아 태평양 함대의 무선 장비 계약을 취득했다.그는 텔레펑켄 전 세계 송신 시스템의 계획과 나우엔 송신소 건설에 관여했는데, 나우엔 송신소 건설은 세이빌 송신소(Sayville Transmitter Station)를 거쳐 토고카미나 송신기(Kamina Transmitter)와 같은 독일 식민지와 무선 통신을 제공했다.[3]

1908년 브레도는 베를린의 텔레펑켄의 전무이사가 되었다.제1차 세계대전에서 독일 신호부대에 자원봉사를 했고, 서부전선에서 군무기를 이용해 예능 프로그램을 편성했다.[5]

1919년 그는 바이마르 공화국의 전체 독일 무선 통신의 중심 기관인 라이히스포스티엄(Posts of Postsinum)에 신설된 무선 전신부의 부서장과 과장이 되었다.1921년 4월 1일 브레도우는 통신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4]

한스 브레도우는 1929년 베를린에 하우스 런드펑크의 첫 돌을 세웠다.

1919년 11월 16일 브레도우는 베를린 천왕성에서 전국적인 무선 음성 및 음악 전송에 대한 자신의 비전에 대해 연설을 했고, 1923년 9월에 최초의 독일 공영방송 송신기가 베를린에서 작동하기 시작했다.1926년 6월 브레도는 포스트 행정부를 떠나 독일의 방송사 연합인 라이히스 런펑크 게셀샤프트(National Broadcasting Corporation)의 행정 이사회 의장이 되었다.[4]

독일 나치스마흐터그리펑(Machtergreifung)이 있던 1933년 1월 30일 브레도우는 사직서를 제출하고 1933년 2월 15일 아우구스트 크루코우(August Kruckow)로 교체되었다.다음 달 안에 라이히스 런드펑크 게셀샤프트의 몇몇 직원들이 체포되었고, 이후 오라니엔부르크 수용소에 수감되었다.브레도는 폴 폰 힌덴부르크, 헤르만 괴링, 프란츠 파펜, 히틀러 자신에게 보낸 여러 전보를 통해 이 체포에 항의했다.[6]

1933년 8월 9일 브레도우는 히틀러에게 옛 동료들의 석방을 요청하는 전보를 보냈고, 그들이 구금되어 있을 경우에 대비해 동료들처럼 대우해 달라고 명시적으로 요청했다.[6]브레도우는 10월 25일에 체포되어 15개월 동안 사전 구류되었다.쇼 재판에서 그는 부패 혐의로 기소되었다; 첫 형량은 1938년 라이히제리히트에 의해 취소되었다.브레도우는 1939년 은퇴하여 비에스바덴에 역사적인 라디오 아카이브(Radio Archive)를 설립했는데, 이 아카이브가 독일 방송 아카이브의 전신(前本)이 될 것이다.[3][5]

제2차 세계 대전 후 연합군은 그를 비즈바덴헤세-나사우 지구당 총재(1945년 5월 ~ 1945년 9월)로 임명했다.[4]1945년부터 1953년까지 브레도우는 부데루스[de] 철공소 및 "에델스탈베르케 뢰클링부데루스"의 감독 이사회 의장을 맡았으며 필립 홀츠만 AG의 감독 이사회 멤버였다.브레도우는 독일에서 방송 구조조정을 위한 몇 가지 제안을 했고, 1949년부터 1951년까지 헤시안 방송사의 행정 이사회 의장을 지냈다.[4]

브레도는 1959년 1월 9일 비즈바덴에서 사망했다.[3][4]

수상

외부 링크

참조

  1. ^ "Vor 125 Jahren wurde Hans Bredow geboren" (in German). Deutschlandfunk. 26 November 2004.
  2. ^ "Mit einem Cellosolo begann das Radiozeitalter" (in German). Die Welt. 26 October 2013.
  3. ^ a b c d e "Hans Bredow zum Abschied" (in German). Die Zeit. 16 January 1959.
  4. ^ a b c d e f g "Hans Bredow: Biography". Hans-Bredow-Institut für Medienforschung an der Universität Hamburg.
  5. ^ a b "9. Januar 1959 – Tod des Rundfunk-Mitbegründers Hans Bredow" (in German). Westdeutscher Rundfunk. 9 January 2014.
  6. ^ a b Breßler, Eva Susanne (2009). Von der Experimentierbühne zum Propagandainstrument – Die Geschichte der Funkausstellung von 1924 bis 1939. Böhlau. pp. 263, 264. ISBN 978-3-412-20241-5. Gleichzeitig bitte ich den in Schutzhaft genommenen Rundfunkleuten durch Wiederherstellung der Bewegungsfreiheit Möglichkeit zur Verteidigung zu geben. Falls meinen Anträgen nicht entsprochen werden kann, bitte ich wiederholt das Schicksal meiner früheren Mitarbeiter teilen zu dürf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