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 얀첸

Hans Jantzen

한스 얀첸(Hansburg, 1881년 4월 26일 ~ 1967년 2월 15일 ~ Freiburg im Breisgau)은 중세 미술에 특화된 독일의 미술사학자였다.

삶과 일

얀첸은 처음에는 법을 공부했고, 그 후 여러 대학에서 미술사, 고고학, 철학을 공부했다.예를 들어, 베를린 대학에서 그는 하인리히 뵐플린 휘하의 대학과 아돌프 골드슈미트 휘하의 할레 대학에서 공부했다.1908년에 그는 네덜란드 회화에 묘사된 건축에 관한 박사 논문을 완성했다.[1]1912년, 17세기의 네덜란드 회화에서 색상으로 하빌레네츠슈리프트를 마친 후, 할레에서 미술사를 가르쳤다.

1916년, 제1차 세계대전의 군인으로 짧은 기간을 보낸 후, 빌헬름 뵈게가 창설한 학과의 프라이부르크 대학의 미술사 교수로 임명되었다.프리부르그 시절 에른스트 부쇼르, 루트비히 커티우스, 에드먼드 후셀, 마틴 하이데거의 친구가 되었다.그의 관심은 중세, 특히 고딕 예술로 쏠렸다.1925년 그는 13세기의 독일 조각가들에 관한 책을 출간했고 2년 후 그의 획기적인 에세이인 "위베르 덴 고티셴 키르첸라움"을 발표했는데, 이 에세이는 "다이아판 슈트루크튀르"라는 용어를 고딕 건축에 대한 논의에 도입했다.[2]

1931년에는 프랑크푸르트 대학교로 옮겨갔으며, 1935년에는 뮌헨 루드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 미술사 교수로 임명되었다.[3]한동안 나치 이데올로기에 동조했기 때문에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교단에서 해임되었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복직되었다.[4]1947년에 그는 오토니아 미술에 관한 모노그래프를 출판했다.[5]1951년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에서 은퇴하여 1953년 명예교수로 강의하던 프라이부르크로 돌아왔다.1962년 그는 고딕 양식의 세 성당에 대한 그의 책인 쿤스트 데 고딕이 하이 고딕으로 영어로 등장하면서 영어를 사용하는 청중들에게 알려지게 되었다.

얀첸의 제자들 중에는 쿠르트 바우치, 마틴 고세브루치, 율리우스 S 이 포함되어 있었다. 로버트 오텔, 윌리발트 사우어렌더, 폴 웨셔.

참조

  1. ^ 레온하르트 헬텐, "한스 얀젠 und Das nederlándische Architkturbild"볼프강 스헨클루엔에서 100명의 자흐레 쿤스트게슈치히테 안데르 마르틴-루더-유니버니시테트 할레-비텐베르크.할리, 2004년 페이지 41-50.
  2. ^ Christoph Markschies, "Newe Forschungen jur 'Therologie der gotischen Katheadrale'."위르겐 흐브너와 이온 올림피우 스타마테스쿠와 디터 베버, 에드스,신학자코스몰로지투빙겐, 2004년 187페이지
  3. ^ 다니엘라 스토펠, "한스 얀첸 (1881년 - 1967년)"뮌헨에 있는 Das Institut Für Kunstgeschichte, 2010년, 46-51페이지의 Daniela Stöpel und Gabriele Wimbeck, eds.
  4. ^ 주타 홀드 "쿤스트게슈치히테는 '드리튼 제국'이다.빌헬름 펜더와 한스 얀첸은 뮌치너 우니베르시테트"라고 말했다.Jutta Hold와 Martin Papenbrock, eds에서, 쿤스트게슈치히테는 universitéten im National sozialismus.괴팅겐, 2003, 페이지 17-60.
  5. ^ 레나테 마스 "한스 얀츠엔스 분석 오트니스처 쿤스트: 더 빌드라움 알스 기호 역사 안팡스 und 온톨로지센 우르스프룽스"잉그리드 바움게르트너, 에드, 라움콘체프테.괴팅겐, 2009년, 페이지 95-123.

게시를 선택하십시오.

  • Das nederlándische Architekturbild.1908년 할레대학 박사학위 논문.1910년 라이프치히 출판.
  • "Die Raumdarstellung Bei Kleiner Augendistanz".Zeitschrift für Ahthetik und algemeine Kunstwissenschaft, vol. 6, 1911, 페이지 119–123.
  • 렘브란트.빌레펠트, 1911년
  • 데르 홀렌디스첸 말레이 데스 XII의 파벤와울과 파르벤게붕. 자힌덜츠파킴 I. M. 1912.
  • 알트크리스틀리히 쿤스트빌레펠트, 1914년
  • "말레이의 우베르 프린지피엔 데르 파르벤게붕"베리히트 / 콩레스 퓌르 에스테틱 und Allgemeine Kunstwissenschaft.슈투트가르트, 1914 페이지 322–329.
  • 빌더라틀라스 주르 에인후룽은 쿤스트게슈치히테의 다이에 있다.에슬링겐, 1917년
  • 베르메르: Das Milchmédchen.1923년 비엔나.
  • 도이체 빌드하우어 데스 드 드 드레이즈텐 자흐룬더츠.라이프치히, 1925년
  • 콘래드 위츠.빌레펠트, 1927년
  • "위버 덴 고티스첸 키르첸라움.Vortrag, Gehalten Bei der Jahresfeier der Freiburger Wissenschaftichenten Gesellschaft am. 1927년 11월 5일."1928년 프라이부르크
  • 다스 뮌스터프레이부르크버그 베이 마그데부르크, 1929년
  • 레이트파덴 퓌르 데르 쾨헤렌 메친슐레에 있는 쿤스트슈치히틀리헨 운테르리히트.베를린1930.
  • 다스 뮌스터스트라스버그버그 베이 마그데부르크, 1933.
  • 도이체 쿤스트: 카롤링기셴 비스바록을 토해낸다.쾰른, 1935년
  • Geist와 Schicksal der Deutschen Kunst.쾰른, 1935년
  • 알브레히트 알트도르페르스탈타르 아우스 세인트.플로리안."Das Werk des Künstlers, 1939년 1권 42~59쪽.
  • "지오토와 데르 고티슈 스틸"Das Werk des Künstlers, 1939년 1권, 페이지 441–454.
  • "Die zeitliche Abfolge der Paduaner Freshken Giotos".Jahrbuch der Preuischen Kunstammlungen, vol. 60, 1939, 페이지 187–196.
  • Das Wort als Bild in der fruhmittelalterlichen Buchmalerleyi. 다스 워트는 빌드를 알츠하이머로 알고 있다.쾰른, 1940년
  • "Deutsche Kunstwissenschaft 1933-1942," Forschungen und Fortschritte, 1942년 12월, 페이지 341–348.
  • "헤인리히 뵐플린"Jahrbuch der Bayer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hilosopisch-historische Klasse), 1944–48, 페이지 164–167.
  • "윌헬름 파인더", 야흐부흐 데르 바이에리스첸 아카데미에 데르 위센샤프텐(Philosopisch-historische Klasse), 1944–48, 페이지 178–179.
  • "Burgundische Gotik", 시트즈베리히테 데르 Bayer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Philosopisch-historische Klasse), 제 5, 1948, 페이지 3–37.
  • "Die Einheit Europas in der Geschicte sainer Kunst", Geistige Welt, 1948년 3권, 페이지 115–117.
  • 뷔르덴이 키르첸라움 안데레 아우페체1951년 베를린
  • "오토 슈미트"쿤스트라믹, 1951년 제4권, 페이지 219–221.
  • "에두아르 마네츠 바 보조 폴리스 베르게르"Beitrége für Georg Swarzenski zum 11. 야누아르 1951년1951년 베를린 228-232 페이지
  • 뒤러:말러.1952년 베른
  • "Das nederlanndische Architekturbild".네델란드세 아치텍투우르스 아동 1600-1900.내쉬다. 고양이.센트라알 박물관 위트레흐트.위트레흐트, 1953년 페이지 1a-10a.
  • "윌헬름 뷔게"쿤스트롱틱, 제6권, 제4권, 1953년, 페이지 104-109.
  • "Unbekante Arbyten des 'Meisters mit dem Blattfries' und seine Kreises".Zeitschrift für Kunstwissenschaft, 1956년 10권, 페이지 193–198.
  • 다이하 쿤스트겔레르텐1959년 뮌헨.
  • 다이 나움버거 스티프터피린1959년 슈투트가르트
  • 고딕 양식: 샤르트르, 랭스, 아미앵의 클래식 대성당.James Palmes에 의해 독일어로 번역되었다.1962년 뉴욕.
  • 디 고딕 데 아벤드랜드: 이데 운트 완델, 쾰른, 1962년
  • 뮌헨 쿤스트게슈치히틀리헨 라움베그리프다르슈타트, 1962년
  • 뱀버거 반복.슈투트가르트, 1964년
  • 콘스탄티노펠의 헤이자 소피아카이져스 저스티니안.쾰른, 1967년
  • 오토니스체 쿤스트.F. 브루크만, 뮌헨 1947네우아우스가베:Rowohlts 도이치 Ezyclopédie, Nr. 89; Rinebek Bei Hamburg 1959.네우아우스가베:1990년 베를린 라이머
  • 쿤스트 데어 고티크: 클라시셰 카테드랄렌 프랑크라이츠 – 샤르트르, 랭스, 아미엔스.로울트, 1957년 함부르크.Erweitterte Neuusgabe:라이머, 1987년 베를린 ISBN3-496-00898-9.

추가 읽기

  • 커트 바우치, 에드, 페스트슈리프트 퓌르 한스 얀첸1951년 베를린
  • "비블리오그래피 한스 얀츠엔스.Zusammengestellt Anlésslich는 70세 이다.거버스타지는 24살이다.1951년 4월", Zeitschrift für Kunstgeschichte. 제14권, 페이지 184–186.
  • 헤르베르트 폰 에이넴 "한스 얀첸 줌 게데흐트니스, 잉태. 15.1967년 Febr. Freiburg".쿤스트론틱, 1967년 20권, 페이지 144–146.
  • 레나테 마스, 디아판 운트 게디히테.Der Künstlerische Raum Bei Martin Haidger und Hans Jantzen, Kasel: 카셀 대학교 언론, 2015, ISBN 978-3-86219-854-2
  • 레나테 마스, 한스 얀츠엔스 분석 오트니스처 쿤스트: 더 빌드라움 알스 기호 역사 안팡스 und 온톨로지센 우르스프룽스.In: Ingrid Baumghtner et al. (Hg.), Raumkonzepte.괴팅겐: V&R 유니프레스, 2009, S. 95-123.
  • 위르겐 바울 "한스 얀첸:Skizze einer wissenschaftlichen Biographie".브루노 클라인과 하랄드 울터본 뎀 크네섹, 에드스, 노빌리스 아르테 마누스.세컨드 에디션.Dresden, 2002 페이지 555–57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