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 플로어
Hardfloor이 글은 검증을 위해 인용구가 추가로 필요하다. 플로어 – · · 책 · · (2011년 4월) (이 |
하드플로어는 올리버 본지오와 라몬 젠커로 구성된 독일의 일렉트로닉 뮤직 듀오다.[1] 그들의 가장 유명한 곡은 "Accessence 1"(많은 컴파일 앨범에서 종종 "Accession"으로 더 간단히 제목이 붙는다)[1]이며, 영국의 BBC 라디오 4에서 인터뷰를 할 때 Feargal Sharkey가 그의 'Inheritance Tracks'[2] 중 하나로 선정했다.
이들의 독특한 산성 하우스 사운드는 한 번에 최대 6대의 기계를 사용하여 [1]롤랜드 TB-303 베이스 합성기를 조작하는 기술 덕분이다. 그들의 영국 차트 히트는 "Hardtrance Acperience" (1992), "Transcript" (1993) 그리고 앞서 언급한 "Accerience" (1997)의 리믹스를 포함한다.[3] 그들의 1996년 앨범 《Home Run》은 영국 앨범 차트에서 68위로 정점을 찍었다.[3]
음반 목록
앨범
TB 소생 | 1993 | 하하우스 |
존중하다 | 1994 | 하하우스 |
홈런 | 1996 | 하하우스 |
하드 플로어 베스트 오브 하드 플로어 | 1997 | Eye Q 레코드 |
모든 대상 다운 | 1998 | 하하우스 |
그래서 뭐?! | 2000 | 하하우스 |
5명 중 4명의 외계인이 이것을 추천한다 | 2005 | www.hardfloor.de |
컴파일러 1.0 | 2006 | www.hardfloor.de |
우리가 선택한 삶 | 2007 | www.hardfloor.de |
투 가이즈 쓰리 박스 | 2010 | www.hardfloor.de |
산술 | 2014 | www.hardfloor.de |
베이스라인 비즈니스 | 2017 | www.hardfloor.de |
다제 프레이크 노이즈 펑크
하드플로어는 또한 Da Damn Freak Noize Phunk라는 필명으로 앨범을 발매했다. 이 노래들은 냉방과 라운지 장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citation needed]
전기 크라테 디거 | 1999 | 스튜디오 !K7 |
다 핫 스웨터 벗기 | 2002 | 콤비네이션 레코드 |
로스트 앤 파운트 | 2003 | 콤비네이션 레코드 |
치어리더들이 널 향해 스마일린 | 2009 | 몰 경청 진주 |
하드 플로어에서 컴파일한 앨범 믹스
싱글 및 EP
렛다 베이스 고 | 1991 | Eye Q 레코드 |
"마약 오버로드" | 1992 | Eye Q 레코드 |
"하드트랜스 애퍼시티 EP" | 1992 | 하하우스 |
"트랜스크립트" | 1993 | 하하우스 |
"자연 속으로" | 1994 | 하하우스 |
"Funalogue Mini Album" | 1994 | 하하우스 |
"앤더슨 씨" / "피시앤칩스" | 1994 | 하하우스 |
"마호가니 루트" | 1994 | 하하우스 |
"존중" | 1994 | 하하우스 |
"예고된 리믹스" | 1995 | 하하우스 |
"다 빌어먹을 프레이크 노이즈펑크?" | 1995 | 하하우스 |
"스트라이크아웃" | 1996 | 하하우스 |
"비비스 애트 바트" | 1996 | 하하우스 |
"다 빌어먹을 프레이크 노이즈펑크? 제2권" | 1997 | 하하우스 |
"하드 플로어 윌 서바이벌"(푸튀르와 협업) | 1998 | 하하우스 |
"스킬 샷" | 1999 | 하하우스 |
"스매쉬 더 그나트" | 2000 | 하하우스 |
"없음 통신" | 2001 | 하하우스 |
"평균 이상 노출되지 않음" | 2001 | 하하우스 |
"알파벳어" / "수신된 파일" / "미투" | 2003 | www.hardfloor.de |
"다 리바이벌" / "허브럽 루브" | 2004 | www.hardfloor.de |
"솔풀 스피릿" / "브로플로프스키 부인" | 2004 | www.hardfloor.de |
"무라노" / "조피에머플러" | 2004 | www.hardfloor.de |
"Groupie Love" / "Plasticacid" / "Jack the House" | 2005 | www.hardfloor.de |
"T 2 Da C"(Da Remixes) | 2005 | www.hardfloor.de |
"Devils & Donuts" / "누가 다 박스를 가져갔지?" | 2006 | www.hardfloor.de |
"터거" / "봇터멜크의 버터플라이" | 2006 | www.hardfloor.de |
"히치하이커 습관" / "블루프린트"(Rob Acid 편) | 2006 | www.hardfloor.de |
"707" (안드레아스 안드레아스 편) / "그야, 그야" | 2007 | www.hardfloor.de |
선택한 하드 플로어 리믹스
- 로버트 아르마니 - "Circus Bells" 1993년 잭스 업비츠
- 라이징 하이 콜렉티브 - "Fever Call Love" 1993년 라이징 하이 레코드
- Sourmash - "Pilliamage To Paradise" 1994 Prolekult 레코드
- Mory Kante - 1995년 FFRR 레코드
- Mary Kiani - "내가 너의 이름을 부를 때" 1995년 Mercury Records
- 베이스헤드 - "저 밖에 누구 없나?" 1995년 해체 레코드(Desa Basshead)
- 새 주문 - "Blue Monday" 1995년 런던 레코드
- 아기 의사 및 치과의사 - 1995 TEC 부처님께 맨트라
- TWA - 1995년 Mercury Records
- 샤멘 - "Destination Escaton" 1995년 에픽 레코드
- Depeech 모드 - "It's no Good" 1997년 음소거[1] 레코드
참조
- ^ Jump up to: a b c d Colin Larkin, ed. (2000). The Virgin Encyclopedia of Nineties Music (First ed.). Virgin Books. p. 186. ISBN 0-7535-0427-8.
- ^ "BBC Radio 4 - Inheritance Tracks, Feargal Sharkey". BBC.
- ^ Jump up to: a b Roberts, David (2006). British Hit Singles & Albums (19th ed.). London: Guinness World Records Limited. p. 243. ISBN 1-904994-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