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스트라카

Heather Straka
헤더 스트라카
태어난1972
교육오클랜드 엘람 예술학교
직업아티스트

헤더 스트라카(Heather Straaka, 1972년 출생)는 오클랜드에 본사를 둔 뉴질랜드의 화가로서 주로 회화와 사진의 매체와 함께 작업한다.[1]스트라카는 디테일을 많이 쓰는 화가로 잘 알려져 있다.[2]그녀는 종종 자신의 것이 아닌 문화를 묘사하는데, 이것은 때때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그녀의 작품은 전후 중국의 경제적 사회적 격변, 아랍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 뉴질랜드의 식민지화와 관련된 마오리 등의 주제와 맞물려 있다.[3]결국, 그 모습은 스트라카의 연습에서 중요해졌고 그녀는 사진을 몇몇 작품의 출발점으로 사용하기 시작했고, "너무나 여성스러운 몸매가 그녀의 환경이 되었다"[4]고 말했다.

교육

중등학교 기간 동안, 스트라카는 예술을 공부하는 야간 수업을 들었다.그녀는 엘람 미술학교에 입학하여 조각을 공부했다.그녀는 1994년에 미술 학사 학위를 받았다.그녀의 지도교사로는 크리스틴 헬리아그리어 트위스가 있었다.졸업 후 그녀는 프랑스에서 5년을 보냈고, 그곳에서 미술가 줄리아 모리슨과 함께 일했고, 그림에 대해 배웠고, 그 후 그녀의 매개체로 그림으로 전환했다.스트라카는 2000년에 캔터베리 미술대학에서 석사과정을 마쳤다.[3][5]

미술작품 및 주요 전시회

스트라카의 연습에서 그녀는 논쟁적인 주제와 질문의 전통을 가지고 일한다.[1]샤를 골디, 고트프리드 린다워, 식민지 사진작가 W.H.T. 이별턴 등의 작가들이 마오리족 수장들의 초상화를 전용한 그녀의 그림 시리즈는 2005년 조나단 스마트 갤러리에서 열린 파라다이스 로스트라는 전시회에 전시되었다.스트라카는 자신의 트레이드 마크인 세련되고 디테일한 스타일로 이 그림들을 베꼈지만 붉은 색의 피부, 문신, 뿔 그리고 할로스와 같은 새로운 요소들을 추가했다.마오리 족장들을 사탄으로 그리고 천사로서 묘사하는 것은 "마오리 사회에서 경건함을 추구했던 열성적인 선교사들의 노력"을 상기시켰다.초상화 중 일부는 인물의 가슴에 '성심'을 얹었다.스트라카가 iwi로부터 이러한 이미지들을 그리도록 허가를 받지 않았다는 사실이 공격과 분노를 일으켰다.[6]이와 관련, 지나 아이리쉬는 "이미지 소유자는 누구인가?스트라카, 골디, 린다우어, 아니면 이별통?베이비시터나 모델 후손? 이위?식민지의 거장들과 지금 스트라카가 묘사한 개인들이 어떻게 진정으로 개간될 수 있을까?"[6]

2010년에 스트라카는 그녀의 주요 프로젝트인 "The Asian"을 전시했다.이 프로젝트를 위해 스트라카는 다펜 화단의 예술가들에게 그녀의 그림 The Asian (2009년)을 50장 복사하라고 의뢰했다.51점의 그림은 모두 두네딘 공공미술관에서 전시되었는데, 각각의 그림은 세부적인 색채와 미묘한 덧셈 등 약간의 차이가 있다.이 이미지는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서양에서 온 중국인들에게 제품을 팔기 위해 사용되었던 중국 포스터를 모방한다.이 프로젝트는 "진정성, 독창성, 익명성에 대한 개념과 작가의 손과 눈의 개성에 대한 전체적인 질문으로" 있다.

2009년 스트라카는 블루 오이스터 아트 프로젝트 스페이스에서 그리고 2010년 조나단 스마트 갤러리에서 그녀의 쇼 Do Not Resuscitate를 전시했다.스트라카는 이번 전시회에서 앤드루 폴 우드가 '산리요 키치 헬로키티 귀여움과 유치한 롤리타 교태의 저 소아성애 혼합물'이라고 표현한 에로 카와이의 일본 개념을 참고한 대형 포맷 사진을 개발했다.이번 전시회는 일본, 중국, 한국 젊은 여성 모델들의 개인 초상화 벽과 들것에 실린 금발의 시체 주위에 모인 같은 소녀들의 식탁보 활보기로 구성됐다.[2]

수상 및 잔류물

  • NZ주 인버카길의 윌리엄 호지스 펠로우쉽 2012.
  • 2009 Wallace Arts Trust/Altes Spital Lospital, 스위스 솔로던.
  • 2008 Frances Hodgkins 펠로우쉽, NZ, Dunedin, Ottago University.
  • 2002 피어스 로위상 영국 런던 로열 해외 리그
  • 2001년 에델 수전 존스 여행 장학금, NZ 캔터베리 대학교
  • NZ주 캔터베리 대학교의 2000 에델 로즈 오버턴 장학금.[7]

개인전

  • 2017년 오클랜드 트리시 클라크 갤러리의 이방인 방.
  • 2016 X 마크 더 스팟, 나딘 밀른 갤러리, 애로우타운.
  • 2016 NZ, 웰링턴의 페이지블랙리 갤러리 허니트랩 리턴즈.
  • 2015년 오클랜드 NZ 트리쉬 클라크 갤러리 모티브 아이즈.
  • 2014 The Creator, 페이지 Blackie Gallery, Wellington, NZ.
  • NZ, 페이지 블랙키 갤러리 & 오클랜드 아트페어 2013 부르카바베.
  • 2013 블러드 러스트, Jonathan Smart Gallery & Museum, 인버카길, NZ.
  • NZ 크라이스트처치의 조나단 스마트 갤러리 2012 더 노블 새비지
  • 2011년 NZ 로토루아 아시아 로토루아 박물관.
  • 2010년 NZ 웰링턴의 Blackie Gallery 페이지.
  • 2009 Do Not Resuscitation, Blue Oceel Art Project Space, Dunedin, NZ.
  • 2009년 NZ주 두네딘의 Hocken Collections 갤러리 수면실.
  • NZ 크라이스트처치의 조나단 스마트 갤러리 2008 기부자
  • 2007년 연회, NZ, 오클랜드의 안나 비비 갤러리.
  • 2006년 NZ 크라이스트처치 조나단 스마트 갤러리 해피니스 판매.
  • NZ 크라이스트처치 조나단 스마트 갤러리 2005 파라다이스 로스트.
  • 2004년 첫인상, NZ, Dunedin의 Milford Gallery.[7]

출판물

  • 헤더 스트라카: 아시안, 듀네딘 공공미술관이 2010년 출간 ISBN0-908910-60-6[8][9]

컬렉션

[5]

참조

  1. ^ a b Trish Clark Gallery. "Heather Straka". Retrieved 22 May 2018.
  2. ^ a b Eye Contact Art Forum (29 March 2010). "Andrew Paul Wood on Heather Straka's Photographs".
  3. ^ a b Priscilla Pitts, Andrea Hotere (2017). Undreamed of ... 50 Years of the Frances Hodgkins Fellowship. Dunedin: University of Otago Press. pp. 194–197.
  4. ^ "Heather Straka". The Central. Retrieved 16 February 2019.
  5. ^ a b "Resumé". Heather Straka. Retrieved 19 June 2021.
  6. ^ a b Irish, Gina (2005). "Exhibitions Christchurch". Art New Zealand.
  7. ^ a b The Central Art Gallery. "Heather Straka CV" (PDF). Retrieved 16 February 2019.
  8. ^ "Heather Straka: The Asian". Dunedin Public Art Galle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June 2021. Retrieved 19 June 2021.
  9. ^ "Heather Straka: The Asian by Aaron Kreisler, Heather Straka, Robyn Notman 9780908910601". Get Textbook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June 2021. Retrieved 19 June 2021.
  10. ^ "Spectator - Double the life". Christchurch Art Gallery.org.nz. Retrieved 19 June 2021.{{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11. ^ "Search Results - Dunedin Public Art Gallery". collection.dunedin.art.museum. Retrieved 19 June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