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인리히 할러

Heinrich Harrer
하인리히 할러
Harrer Frankfurt 1997.jpg
1997년 해러
태어난
하인리히 요제프 하러

(1912-07-06) 1912년 7월 6일
죽은2006년 1월 7일 (2006-01-07) (93세)
오스트리아, 프리샤흐
국적.오스트리아인
모교그라즈 대학교
직종.산악인, 스포츠맨
지리학자, 저자
로 알려져 있다티베트에서의 7년(1952)
하얀 거미 (1959)
배우자샬럿 베그너(1938~1943)
마르가레 트룩사 (1953년-1958년
카타리나 하르하우스 (1962년 ~ 2006년, 사망)
웹 사이트www.harrerportfolio.com

하인리히 할러(Heinrich Harrer, 1912년 7월 6일 ~ 2006년 1월 7일)는 오스트리아의 산악인, 스포츠맨, 지리학자, 슈츠태펠 오베르샤르프 지도자(일반적으로 SS라고도 함)이자 작가이다.그는 알프스 산맥의 "마지막 문제"인 아이거 산의 북쪽 면을 처음으로 등정한 4인조 등산팀의 일원이었다.그는 "티베트에서의 7년"과 "하얀 거미"를 썼다.[1]

초기 생활

하인리히 할러는 1912년 7월 6일 오스트리아 휘텐베르크에서 카린티아 주의 산트 베이트데르 글란 지역에서 태어났다.그의 아버지 요제프 해러는 우체부였다.1933년부터 1938년까지, 할러는 Graz에 있는 Karl-Franzens University에서 지리학과 스포츠를 공부했다.Harrer는 전통적인 학생 법인 ATV Graz의 회원이 되었다.

1935년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열린 1936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 스키 대회에 출전하도록 지정되었다.그러나 오스트리아 알파인 스키팀은 스키 강사의 프로로서의 지위를 둘러싼 갈등으로 대회를 보이콧했다.그 결과, Harrer는 참가하지 않았다.

1937년, 할러는 젤암시에서 [2]열린 세계학생선수권대회에서 활강 종목에서 우승했다.

아이거 노스페이스

등산은 Harrer의 진정한 열정이었다.히말라야 탐험대에 오를 수 있는 비범한 위업을 알게 된 할러와 친구 프리츠 카스파렉은 스위스에 있는 아이거 산의 북쪽 면 (3,967 미터, 13,025 피트)을 최초로 등반하기로 결심했다.하얀 거미로 알려진 얼음장이 있는 거의 수직의 벽은 여러 명의 목숨을 앗아갔고, 심지어 베른 당국은 이 벽을 오르는 것을 금지했다.1938년 7월 마지막 대학 시험을 치른 후, 할러와 카스퍼렉은 아이거 강 기슭에 있는 클라이네 샤이데그로 여행을 떠나 등반을 시작했다.산 중턱에서, 할러와 카스파렉은 시도를 하고 있는 또 다른 팀, 독일의 루드비히 뵈르크와 안데를 만났다.이들 4명은 경험이 풍부한 헥메어를 [2]앞세워 나머지 등반을 단일팀으로 결정했다.

아이거 노스페이스, 베른즈 알프스, 스위스

등반 내내, 네 명의 남자들은 눈사태와 낙석에 의해 끊임없이 위협을 받았다.그들은 윗면에 있는 하얀 거미에 올라갔을 때 눈사태에 휘말렸지만, 모두 얼굴에서 쓸려 내려가지 않을 정도의 힘을 가지고 있었다.회원들은 1938년 [3]7월 24일 오후 4시에 성공적으로 정상에 올랐다.이 아이거 노스 페이스의 첫 등정은 이탈리아 등반가 라인홀드 메스너에 의해 " 명의 등반가들이 이전에 [4]페이스로 사망했기 때문에 등반 역사에 영광스러운 순간이자 큰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고, 전 세계적으로 [5]헤드라인을 장식했으며, 1959년에 출판된 하러의 책 화이트 스파이더에 묘사되어 있다.

나치의 개입

1996년 ORF 편집자이자 영화제작자인 제럴드 레너는 1933년 10월 스투르마브테일룽(SA)에 가입한 할러의 회원증을 미국 기록 보관소에서 발견했다.1938년 3월 안슐루스 전쟁 이후 독일이 오스트리아를 합병하면서 는 4월 1일 친위대에 합류했다.그는 오베르샤르프지도자(중사)의 지위를 가지고 있었으며, 5월 1일 나치당의 일원이 되었다.아이거 노스 페이스 등정 후, 4명의 등반가들은 아돌프 히틀러에게 영접을 받고 사진을 찍었습니다.해러는 나중에 저명한 탐험가이자 학자인 알프레드 [1]베그너의 딸 샬럿 베그너와 결혼하던 날 SS 유니폼을 딱 한 번 입었다고 말했다.1952년 유럽으로 돌아온 후, Harrer는 전쟁 전 범죄에서 벗어났고 이것은 나중에 Simon Wiesenthal[2]지원을 받았다.그의 회고록인 "티베트에서의 7년을 넘어서"에서, 할러는 아직 [6]스스로 생각하는 법을 배우지 못한 젊은 시절에 저지른 실수라고 말했다.

인도에서의 억류

1939년, Harrer는 Peter Aufschnaiter가 이끄는 4인 탐험대에 합류하여 낭가 파르바트의 디아미르 얼굴로 정상에 오르는 더 쉬운 길을 찾아냈다.이 얼굴이 살아있다는 결론을 내린 4명의 산악인은 8월 말 인도 카라치에서 화물선이 그들을 집으로 데려다주기를 기다리고 있었다.한참 늦어진 하러, 루트비히, 한스 로벤호퍼는 페르시아에 도착하려고 했지만 카라치에서 북서쪽으로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적 외계인으로 영국군에 체포되어 아우프슈나이터가 머물렀던 카라치로 다시 호송되었다.이틀 후 전쟁이 선포되었고 1939년 9월 3일 봄베이 인근아흐메드나가르 수용소로 이송되기 위해 모든 것이 철조망 뒤에 놓였다.그들은 포르투갈의 고아로 탈출하는 것을 고려했지만, 1,000명의 다른 적들과 함께 몇 년 동안 그곳에 억류되기 위해 더 데라둔으로 이송되었을 때, 티베트가 더 유망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최종 목표는 버마나 중국의 일본 전선이었다.

Aufschnaiter와 Harrer는 탈출하여 여러 번 다시 잡혔고 마침내 성공했다.1944년 4월 29일, 롤프 매그너와 하인스 폰 하브(영국 장교로 위장), 아우프슈나이터(Aufschnaiter), 살츠버거 브루노 트레이펠(Treipl), 베를린인 한스 콥과 사틀러(인도 원주민 노동자로 위장) 등 6명은 수용소를 떠났다.매그너와 폰은 캘커타로 가는 기차를 탔고 거기서 버마의 일본 [7][8]군대로 가는 길을 찾았다. 일본 점령

다른 사람들은 랜두어를 통해 가장 가까운 국경으로 향했다.사틀러가 5월 10일 포기한 후, 나머지 4명은 1944년 5월 17일 창촉라 고개(5,896m, 19,350피트)를 넘어 티베트에 입성하여 두 그룹으로 나뉘었다.할러와 콥, 아우프슈나이터와 트리펠.6월 17일, Treipel은 기진맥진하여 말을 사서 저지대로 돌아갔다.몇 달 후, 나머지 세 명도 여전히 티베트로 가는 비자가 없을 때, 캅은 또한 포기하고 네팔로 떠났다. 그곳에서 그는 며칠 [8]안에 영국 당국에 넘겨졌다.

티베트에서의 7년

오늘(왼쪽) 라싸 [9]당국이 재건한 파르고 칼링 초르텐입니다.

아우프슈나이터와 할러는 티베트의 언어 지식을 바탕으로 서티베트, 기롱현 남서부, 북부 창상거쳐 1946년 1월 15일(독일 항복 6개월 후) 티베트의 수도 라싸로 갔다.

1948년, 할러는 티베트 정부의 월급쟁이가 되어 외국 뉴스를 번역하고 궁정 사진작가로 활동했습니다.하러는 14대 달라이 라마가 포탈라궁에 불려가 [8]티베트에 소개한 아이스 스케이트에 관한 영화를 만들어 달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처음 만났다.Harrer는 그를 위해 지프 엔진에서 작동하는 프로젝터로 영화관을 지었다.하러는 곧 달라이 라마의 영어, 지리학, 그리고 몇몇 과학 과외교사가 되었고, 하러는 그의 제자가 서양의 [8]지식을 얼마나 빨리 흡수했는지에 놀랐다.그들은 같은 생일을 보냈고 두 사람 사이에 돈독한 우정이 형성되어 Harrer의 [10]여생을 지속할 것이다.

1952년, 할러는 오스트리아로 돌아와 그의 경험을 "티베트에서의 7년"과 "라싸 잃어버린"에 기록했습니다.'티베트에서의 7년'은 53개 언어로 번역돼 1954년 미국에서 300만 부가 [1]팔리며 베스트셀러였다. 책은 1956년과 1997년, 같은 제목의 두 편의 영화의 기초가 되었고 브래드 피트가 해러 [11]역을 맡았다.

"티베트에서의 7년"에서 Harr는 다음과 같이 썼다.

나는 어디에 살든 티베트가 그리울 것이다.나는 종종 기러기와 두루미가 맑고 차가운 달빛 아래 라싸 상공을 날 때 우는 소리와 날개 치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나의 진심 어린 바람은 평화롭고 자유로운 삶을 살고자 하는 의지가 무관심한 [12]세계로부터 거의 공감을 얻지 못한 사람들에게 나의 이야기가 이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기를 바라는 것이다.

나중의 모험

티베트에서 돌아온 후, 할러는 오스트리아의 키츠뷔헬에 정착했고, 나중에는 리히텐슈타인에 정착했다.그는 알래스카, 안데스 산맥, 중앙 아프리카 달의 산악 탐험뿐만 아니라 많은 민족지학적 탐험에 참여했습니다.1953년에 그는 아마존 강의 근원을 탐험했고 Ausangate(6384m)를 처음으로 등정했다.1954년, 독일계 미국인 프레드 베키와 함께, 해러는 알래스카에 있는 데보라 산 (3,761m, 12,339피트), 헌터 산 (4,442m, 14,573피트), 드럼 산 (3661m)의 첫 등정을 했다.1957년, 그는 벨기에의 레오폴드 3세와 함께 콩고 강을 탐험했다.

1962년 2월, 그는 오세아니아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자 7대 정상 중 하나인 인도네시아 파푸아에 있는 카르텐즈 피라미드(4,884m, 16,024ft; 후에 펀카크 자야)를 처음으로 등정한 네 명의 등반가 팀의 리더였다.이것과 야리메에 있는 신석기시대 돌도끼 채석장에 도달하기 위한 그의 개척 탐험은 그의 회고록 '석기시대부터 왔다'에 기록되어 있다.

1966년 그는 브라질 마토 그로소신구 인디언스를 만났다.1972년, Harrer는 보르네오 을 횡단했다.그는 또한 네팔, 프랑스령 기아나, 그린란드, 수단, 인도, 라다크, 안다만 제도, 우간다, 케냐, [13]부탄탐험했다.

할러는 그의 모험에 관한 20여 권의 책을 썼으며, 일부는 티베트 전통문화의 가장 훌륭한 기록 중 하나로 여겨지는 사진들도 포함되어 있다.할러는 1958년과 [2]1970년 오스트리아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한 뛰어난 골프 선수이기도 했다.

사생활

1938년 12월, 할러는 독일 극지 연구자이자 대륙 이동 이론의 창시자인 알프레드 베게너의 딸인 롯데 베게너와 결혼했다.그녀의 아버지는 그녀가 10살 때 그린란드 탐험에서 죽었다.그들의 아들 피터 해러는 1939년 12월, 해러가 인도에 영국군에 의해 억류된 지 3개월 만에 태어났다.그들의 결혼은 1943년 그가 아직 인도에 있을 때 파탄났다.1953년 마르가레사 트룩사(1958년 이혼)와 결혼했고 1962년 카타리나(카리나) 하르하우스(1922~2014년)와 결혼했다.

최종년도

오스트리아 휘텐베르크에 있는 하인리히 할러 박물관

1980년대 초, 그는 티베트를 다시 방문했고, "티베트에서의 7년"속편인 "티베트로 돌아가기: 중국 점령티베트그의 속편의 커커스 리뷰는 말했다."

1982년 그는 '중국의 해빙' 기간 동안 티베트를 다시 방문할 수 있었고, 그는 가슴 아파했고, 관찰된 것에 영감을 받았다: 귀중한 문화재가 침략자들에 의해 파괴되었고, 강제 노동, 정치적 살인에 대한 이야기들이 그를 휘청거리게 했다.그러나 이 나라의 종교는 여전히 강했고, 중국인에 대한 무력 저항과 불굴의 국민적 [14]의지 둘 다 계속되었다.

그는 이후 2007년 [10]티베트에서 7년을 넘어 영어로 출간된 자서전을 썼다.그는 약 40편의 다큐멘터리 영화를 만들었고 티벳을 위한 오스트리아 휘텐베르크에 하인리히 할러 박물관을 설립했다.2002년 10월 달라이 라마는 할러에게 티베트의 상황을 국제적인 주목을 [12]끌기 위한 노력에 대해 티베트의 진실을 위한 국제 캠페인을 수여했다.할러는 2006년 1월 7일 오스트리아 프리샤흐에서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영예와 상

출판물

  • 티베트에서의 7년(1952)
  • 잃어버린 라싸 (1953)
  • 하얀 거미: 아이거 등정에 대한 고전적 설명(1959)
  • Tibet is My Country. (1961년) – 달라이 라마의 형인 툼텐 지그메 노르부의 자서전, 할러에게 전해짐
  • 나는 석기시대에서 왔다(1965)
  • Ladakh: Gods and Mortals Behind the Himalayas. 1980. (1980년)
  • 티베트로 돌아가기 (1985년)
  • 티베트로 돌아가기: 중국 점령티베트 (1998년)
  • 부탄의 덴키치 (2005)
  • 티베트에서의 7년을 넘어서: 마이 라이프 비포, 데잉, 애프터 (2007)

레퍼런스

  1. ^ a b c d Martin, Douglas (10 January 2006). "Heinrich Harrer, 93, Explorer of Tibet, Dies".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December 2011. Retrieved 15 January 2012.
  2. ^ a b c d "Heinrich Harrer Obituary". The Telegraph. 9 January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July 2013. Retrieved 14 January 2012.
  3. ^ 엥겔, 클레어 엘리언알프스 산악의 역사.런던:George Allen & Unwin, 1950년
  4. ^ 메스너, 라인홀드 벽: 아이거의 북쪽 면부터 Dhaulagirl의 남쪽 면까지.Crowood, 2001, 105페이지. ISBN 1-86126-467-4
  5. ^ Streit, Clarence K. (26 July 1938). "Climbers Conquer Dread Eiger Peak".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June 2011. Retrieved 15 January 2012.
  6. ^ Harrer, Heinrich (2007). Beyond Seven Years in Tibet. ISBN 9781921196003.
  7. ^ Saxon, Wolfgang (3 July 2000). "Rolf Magener, German Escapee, Dies at 89".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rch 2016. Retrieved 15 January 2012.
  8. ^ a b c d "Rolf Magener". The Telegraph. 18 May 200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June 2011. Retrieved 15 January 2012.
  9. ^ Claire Harris, The Museum of the Roop: Art, Politics, and the Represent of Tibet, Chicago Press, 2012, 314 p.199: "라싸 당국은 1960년대에 파괴된 파르고 칼링의 3개의 탑을 재건함으로써 (경관을) 복원하려는 시도를 했다.
  10. ^ a b "His Holiness the Dalai Lama said Heinrich Harrer Will Always be Remembered by the Tibetan People". Central Tibetan Administration. 10 January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July 2013. Retrieved 15 January 2012.
  11. ^ "Seven Years in Tibet". IMDb.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January 2012. Retrieved 15 January 2012.
  12. ^ a b "Heinrich Harrer Biography". Harrer Portfoli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anuary 2012. Retrieved 15 January 2012.
  13. ^ Croston, Roger (2005). "Heinrich Harrer: An Obituary: 6th July 1912 - 7th January 2006". The Tibet Journal. 30/31 (4/1): 189–192. JSTOR 43301153.
  14. ^ "RETURN TO TIBET: TIBET AFTER THE CHINESE OCCUPATION". Kirkus Reviews. 1 June 199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January 2018.
  15. ^ "Reply to a parliamentary question" (PDF) (in German). p. 648.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2 October 2012. Retrieved 3 November 2012.
  16. ^ "Ehrungen" (in German). Humboldt-Gesellschaft. 9 March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March 201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