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인즈 루티샤우저
Heinz Rutishauser하인즈 루티샤우저 | |
---|---|
![]() 루티샤우저 1960 | |
태어난 | 와인펠덴, 스위스 | 1918년 1월 30일
죽은 | 1970년 11월 10일( | 11월 10일)(52세
모교 | ETH 취리히 |
로 알려져 있다 | |
과학 경력 | |
필드 | |
기관 | ETH 취리히 |
논문 | 위버 폴겐 und 샤렌 폰 analytischen und meromorphen Funktionen Meherer Varabeln, sowie von analytischen Abbildungen |
박사 어드바이저 |
하인츠 루티샤우저(Heinz Rutishauser, 1918년 1월 30일 ~ 1970년 11월 10일)는 스위스의 수학자이자 현대 수치 수학과 컴퓨터 과학의 선구자이다.
인생
류티샤우저의 아버지는 그가 13살 때 사망했고 어머니는 3년 후 사망했기 때문에 그는 남동생과 여동생과 함께 삼촌 집에 살게 되었다.1936년부터, Rutishauser는 ETH 취리히 대학에서 수학을 공부했고 1942년에 졸업했다.1942년부터 1945년까지, 그는 ETH에서 월터 색서의 조교였고, 1945년부터 1948년까지 글라리제그와 트로겐에서 수학 교사를 했다.1948년, 그는 ETH에서 복잡한 분석에 대한 좋은 평가를 받은 논문과 함께 철학 박사(PhD)를 받았습니다.
1948년부터 1949년까지 Rutishauser는 미국 하버드 대학과 프린스턴 대학에서 컴퓨터 기술을 공부했습니다.1949년부터 1955년까지 그는 최근 에두아르트 스티펠이 설립한 ETH 취리히 응용수학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으며, 그곳에서 암브로스 스피저와 함께 스위스 최초의 컴퓨터 ERMETH를 개발했으며, 프로그래밍 언어 슈퍼플랜(1949-1951)을 개발했으며, 이 이름은 레첸(영어: 컴퓨터:단일 Plankalkül 프로그램을 지정하는 Konrad Zuse의 용어로는 ation plan).그는 특히 컴파일러 선구적 연구 분야에 기여했고 결국 ALGOL 58과 ALGOL 60 언어를 정의하는 데 관여했다.그는 국제정보처리연맹(IFIP) IFIP 알고리즘 언어 및 계산 [1]실무그룹 2.1의 멤버로 ALGOL 60 및 ALGOL [2]68을 지정, 유지 및 지원했습니다.
다른 기여들 중에서, 그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몇 가지 기본적인 구문적 특징, 특히 예약된 단어(키워드)를 소개했다.for
for 루프의 경우, 처음에는 Superplan에서 독일어 für로, 그 다음에는 ALGOL 58에서 영어 번역을 통해.
1951년, Rutishauser는 강사가 되었습니다.독일어로 Privatedozent입니다.1955년, 그는 특별 교수로 임명되었고 1962년 ETH 응용 수학 부교수로 임명되었습니다.1968년에 그는 후에 컴퓨터 과학 연구소가 된 컴퓨터 과학 그룹의 수장이 되었고 1981년에는 ETH 취리히의 컴퓨터 과학 분과가 되었습니다.
적어도 1950년대부터 Rutishauser는 심장병을 앓았다.1964년, 그는 심장마비를 겪었고, 회복되었다.1970년 11월 10일, 그는 급성 심부전으로 사무실에서 사망했다.그가 요절하자 그의 아내 마가렛이 그의 [3]유작 출판을 주도했다.
그의 텍스트의 서문에서 체계적 프로그래밍: 서론에서 니클라우스 워스는 루티샤 사용자를 프로그래밍 언어의 아이디어의 창시자이며 ALGOL-60의 공동 저자로 언급하였다.[4]
페이퍼
- 오토마티스 레첸플란페르티궁입니다Habilitationsschrift ETHZ, 1951년.계산계획의 자동구축, 하빌리테이션 논문)
- Automatische Rechenplanfertigung bei programmgesteuerten Rechenmaschinen.바젤: Birkhauser, 1952년.
- ERMETH, JACM, 2(1), 페이지 1-4, Januar 1955의 프로그래밍 기법.
- Der Quotienten-Differenzen-Algorithmus.바젤: Birkhauser, 1957년.
- Volesungen über numberische Mathemik. 밴드 I: Gleichungssysteme, 보간 및 근사.마르틴 구트크네히트 (Hrsg.)바젤: Birkhauser, 1976. ISBN3-7643-0810-9.[5]
- Volesungen über numberische Mathemik. 밴드 II: Differentialgleichungen and Igenwert probleme.마르틴 구트크네히트 (Hrsg.)바젤: Birkhauser, 1976.ISBN 3-7643-0850-8.[5]
- Heinz Rutishauser, Ambros Paul Speiser, Eduard Stiefel: Programgesteuerte digitale Rechengeréte (엘렉트로니쉬 Rechenmaschinen).바젤: Birkhauser, 1951년.[6]
- Hans Rudolf Schwarz, Heinz Rutishauser, Eduard Stiefel:누메릭 대칭자 마트리젠입니다슈투트가르트:튜브너, 1972년, 2세Auflage, ISBN 3-519-12311-8.
- Numerische Prozeduren. 오스 나흐라스와 레흐레월터 갠더(Hrsg.)바젤: Birkhaeuser, Mai 1998, ISBN 3-7643-0874-5.
문학.
- Friedrich Ludwig Bauer (2005), "Rutishauser, Heinz", Neue Deutsche Biographie (in German), vol. 22, Berlin: Duncker & Humblot, pp. 305–305
레퍼런스
- ^ Jeuring, Johan; Meertens, Lambert; Guttmann, Walter (17 August 2016). "Profile of IFIP Working Group 2.1". Foswiki. Retrieved 4 September 2020.
- ^ Swierstra, Doaitse; Gibbons, Jeremy; Meertens, Lambert (2 March 2011). "ScopeEtc: IFIP21: Foswiki". Foswiki. Retrieved 4 September 2020.
- ^ Bauer, Friedrich L. "My years with Rutishauser" (PDF).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University of Maryland.
- ^ Wirth, Niklaus (1973). "Preface". Systematic Programming: An Introduction. pp. xiii. ISBN 0-13-880369-2.
- ^ a b Stewart, G. W. (1978). "Review: Vorlesungen über numerische Mathematik, by H. Rutishauser". Bull. Amer. Math. Soc. 84 (4): 660–663. doi:10.1090/s0002-9904-1978-14517-0.
- ^ Todd, John (1952). "Brief Review: Programmgesteuerte digitale Rechengeräte (elektronische Rechenmaschinen), by H. Rutishauser, A. Speiser, and E. Stiefel". Bull. Amer. Math. Soc. 58 (2): 278. doi:10.1090/s0002-9904-1952-09611-7.
외부 링크
- ETH 취리히의 Wayback Machine에서의 전기(2011년 6월 13일 아카이브)
- O'Connor, John J.; Robertson, Edmund F., "Heinz Rutishauser",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archive, University of St Andrews
- 스위스 온라인 역사 사전의 독일어, 프랑스어 및 이탈리아어로 된 하인즈 루티샤 사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