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수이 모헤

Heishui Mohe

헤이수이 모헤(중국어: 黑水靺鞨; 핀인: 흑수말갈이라고도 하며 [citation needed]블랙리버 모헤 또는 블랙워터 모헤(Blackwater Mohe)로 표기된 호이슈우 므헤; 만추: 사할리얀 아이만 또는 薩哈廉部)[citation needed]아무르 강(중국어: ;; pinyin: 하비 슈; 점등. 현재 러시아하바롭스크 크라이, 아무르 주, 유대 자치 주, 중국헤이룽장(黑龍江)인 곳에는 '흑수' 또는 '흑수'가 있다.

역사

남부 흑강 모허는 발해 선왕의 신하였다. 발해는 서기 926년에 거란 요제국에 의해 정복되었다.

블랙리버 모헤는 10세기에 중국진나라를 세운 쥬르첸족과, 17세기에 청나라를 세운 만추족의 핵심을 형성한 유르첸족과 연결되기도 한다.[2] 중국 역사학자들의 통고 당시 쥬르첸인들은 현재 흑강 모헤의 사정권 [3]밖에 있는 중국 헤이룽장성러시아 연해주로 갈라진 땅의 숲과 강 계곡에 거주했으며, 그러한 연결고리는 추측으로 남아 있다.[4]

문화

모헤는 돼지고기를 즐겨 먹고, 돼지농사를 광범위하게 연습했으며, 주로 좌식성이었으며,[5] 코트에 돼지와 늑대의 가죽을 모두 사용하기도 했다. 그들은 주로 농부였고 사냥에 종사하는 것 외에 콩, 밀, 기장, 쌀을 재배했다.[6]

고고학적 탐험

아무르/헤일롱장 강 양쪽의 현대 고고학자들은 발견된 고고 문화가 고대 기록에서 알려진 인종 집단과 일치한다는 많은 결론을 내렸다. 러시아 고고학자들에 따르면, AD 7세기 후반 이전에 레더킨산맥은 두 그룹의 고고학 문화 사이에 자연적인 경계를 형성했다. 사정거리의 서쪽에서는 몽고어를 사용하는 시웨이족과 동일시되어 온 미하일롭스카야 문화(美하일롭스카야 문화)가 계승하고 있다. East of the range, the Poltsevo Culture (польцевская культура) and the Naifeld Group (найфельдская группы, also known as Tongzhen Culture based on the findings on the Chinese side of the River) of the Mohe Culture was found; the latter was identified with the Tungusic Heishui Mohe people.[7]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AD 7세기 후반에서 10세기 사이에 일부 네이펠트-컬처 하이수이 모헤가 사정거리 서쪽(부레야 강 서쪽 아무르 계곡의 구간, 아마도 넨 유역까지)으로 이주하여 그 지역의 토착인구를 흡수하였다(예: 존재에 의해 증명된다). 미하일롭스카야의 옛 지역으로 이주해 온 네이펠드[헤이슈이 모헤] 사람들의 도자기에 대한 오토체인식 미하일롭스카야 문화와 관련된 장신구들 중에서. 현대 연구자들은 7세기 후반에서 8세기 초 사이에 일부 모헤족의 서쪽 이주가 발해의 남쪽 더 먼 곳의 압력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고 추측하고 있다.[7]

또 다른 모헤 그룹인 선가리 계곡의 스모 모헤도 거의 비슷한 시기에 서부 아무르 계곡으로 이주했다. 어느 모헤 일행이 먼저 이 지역에 도착했는가는 여러 곳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과 성층 연대 측정으로 분쟁의 주체로 남아 있다.[7]

스모 모헤가 북동쪽으로, 오호츠크연안으로 이주했다는 고고학적 증거, 즉 후기 토카레보 문화의 도자기에서 발견된 네이펠드 문화의 명백한 영향도 있다.[7]

치프테인

  • 니슐리지(시니시즈드: 倪屬利,, 핀인: Nishlìjī) 722년경.
  • 가오질루오 / 고자라(시니치즈: 子子,, 핀인: 가오쩌루)는 921년 2월 170명의 남성들과 함께 고려로 망명했다.
  • 아구랑 / 아어한(시니사이즈: 阿於閒, pinyin: āxián, āxiánán)은 921년 4월 200명의 남자를 거느리고 고려로 망명하였다.
  • 아두투오푸 / 아두타불(시니치: 阿阿弗)은 1021년 고려 현종에게 공물을 바쳤다.

참고 항목

참조

인용구

  1. ^ Huang Pei (June 1990), "New Light on the Origins of the Manchu", Harvard Journal of Asiatic Studies, 50, pp. 239–82.
  2. ^ 예를 들면 이.[1]
  3. ^ 엘리엇(2001), 페이지 47.
  4. ^ 엘리엇(2001년), 페이지 48.
  5. ^ 고렐로바 2002 페이지 13-4.
  6. ^ 고렐로바 2002 페이지 14.
  7. ^ a b c d С.П. Нестеров (S.P. Nesterov) ПУТИ И ВРЕМЯ МИГРАЦИИ ХЭЙШУЙ МОХЭ В ЗАПАДНОЕ ПРИАМУРЬЕ Archived 2006-06-16 at the Wayback Machine (The routes and timing of the migration of the Heishui Mohe into the western Amur valley) (in Russian)

참고 문헌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