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무트 라인하르트
Hellmuth Reinhard헬무트 라인하르트 | |
---|---|
생년월일 | 헤르만 구스타프 헬무트 파츠슈케 |
태어난 | 1911년 7월 24일 독일 제국 작센 현 바이엔펠스 |
죽은 | 2002년(90~91세) |
얼리전스 | ![]() |
서비스/브런치 | ![]() |
근속 연수 | 1933–1945 |
순위 | 친위대 친위대 지도자 |
명령어 보유 | 나치 점령 노르웨이 게슈타포 수장(1942년 1월~1945년 2월) |
전투/전투 | 제2차 세계 대전 |
헬무트 라인하르트(Hellmuth Reinhard, 1911년 7월 24일 ~ 2002년)는 독일의 친위대 지도자로 1942년부터 1945년까지 나치 점령하의 노르웨이 게슈타포의 지도자로 잘 알려져 있다.전쟁 후 라인하드는 1964년 체포되기 전까지 거의 20년 동안 체포를 피했다.그는 [1][2][3][4]2002년에 죽었다.
배경
라인하르트는 1911년 7월 24일 독일 제국의 작센 프러시아 지방의 바이엔펠스에서 헤르만 구스타프 헬무트 파츠슈케로 태어났다.그는 비엔나, 라이프치히, 그리고 베를린에서 법학을 공부했고 [1][2]1938년에 졸업했습니다.
Patzschke는 1939년에 그의 성을 Germanic Reinhard로 바꿨다.1940년, 그는 군힐트 뢰슈만과 결혼하여 세 [2][3][4]딸을 두었다.
나치 관리
SS 경력
어린 시절부터 히틀러 청년단(히틀러주겐트)의 일원이었던 라인하르트는 1933년 3월 SS(일련 번호 121174), 같은 해 [2][4][5]5월 NSDAP(일련 번호 2.382.157)의 회원이 되었다.당시 친위대는 "SA와 당의 인간적 성격과 거리를 두고 정신적으로나 정치적으로 [6]친위대를 엘리트 질서로 보는" 젊은 남성들을 영입한 조직이었다.
라인하르트는 1935년부터 라이프치히와 [1][3]베를린에서 시체르히츠디엔스트에서 근무했다.1938년 9월, 그는 레지룽사소르라는 칭호를 받았고 빈과 [2]프라하의 SS제국지도자 역사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그는 1939년 9월 시체르히츠폴라이제이로 이송되어 오스트리아 수상 엥겔베르트 돌푸스의 [1]암살을 조사하는 임무를 맡았다.이 기간 동안 라인하르트는 무장 친위대에 들어가고 싶었지만 [4]네덜란드에서 다리가 부러진 후 영구히 후보에서 제외되었다.1940년 8월 8일, 그는 1941년 11월 3일까지 암스테르담에 있는 젠트랄스텔 푸르 쥐르 쥐르 쥐디셰 아우스완데룽의 지도자가 되었고,[1][2][3] 그 후 키예프에 있는 게슈타포의 부사령관이 되었다.
노르웨이에서의 역할
1942년 1월 28일 라인하르트는 [2]노르웨이로 보내졌다.1943년까지 그는 SS-Sturmbannfuhrer 계급이 주어졌고 오슬로의 빅토리아 테라스에 주둔하는 시포의 압테일룽 4세(게슈타포)의 수장이 되었다.그는 하인리히 힘러의 개인적인 [2][4]명령으로 그곳에 배치되었다.하인리히 펠리스의 지휘 아래, 그는 노르웨이 저항군에 맞서 싸우면서 [2][3]포로들의 고문을 감독했다.그는 심지어 전쟁 [2][3]후 명령을 어기면 노르웨이 북부나 강제수용소로 보내겠다고 위협했다고 주장했던 그의 부하들에 의해 두려웠다.1944년 여름, 히틀러의 명령에 따라, 시포 프리오스너의 운명은 더 이상 법정에서 결정되지 않고 라인하르트에 의한 평가에 의해 결정되었다.그 해 말 노르웨이 [2]죄수들이 '콘토르돔'(사무실 판결)이라고 부른 결과 노르웨이인 일당이 트란망 레이르에서 비밀리에 처형되었다.노르웨이에서 지내는 동안 라인하르트는 또한 유대인의 추방과 일련의 살인에 연루되어 Blumenpflucken [1][2][3]작전의 일부로 행해졌다.
전쟁이 끝날 무렵, 라인하드는 젊은 남성 죄수들을 그의 집에서 저녁식사에 초대하기 시작했고, 그곳에서 철학, 문학, 정치에 대한 대화를 나누곤 했다.경우에 따라서는 초청인이 다른 죄수들을 석방할 수 있었다.레인하드가 이 식사를 주최한 목적이 무엇이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는 마지막까지 술을 많이 마셨고 때때로 그가 나쁜 [2]양심을 가지고 있었던 사형선고를 언급하기도 했다.
노르웨이 다음으로
1945년 2월 1일 라인하르트는 노르웨이에서 수데텐란트로 전근되었다.여기서 그는 라이첸베르크의 게슈타포의 지도자가 되었고, 그는 나치 [2]항복 때까지 그 역할을 수행했다.
전후 몇 년
유럽에서 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라인하르트는 영국에 의해 체포되었을 때 헤르만 파츠슈케라는 가명을 사용하기 시작했다.신원 확인을 피해 풀려난 그는 슈투트가르트 인근 뵐링겐에서 교통 관리인으로 일했다.그는 만하임에 있는 미군 연대의 서기가 되기 전에 잠시 수감되고 미국인들에 의해 심문을 받았다.1948년 가을부터 라인하르트는 출판업계에서 다양한 직업을 가졌으며, 결국 슐레스비히 [1][4]홀슈타인에 정착했다.
새로운 신분으로, 라인하드는 1951년 12월 헬무트 라인하드의 [1][2][3]미망인으로 행세하던 그의 아내와 재혼할 수 있었다.
1964년이 되어서야 서독 경찰은 헤르만 파츠슈케를 헬무트 라인하르트라고 밝히고 그를 전쟁 범죄로 체포했다.1967년 6월 30일 그는 5년 [1][2][3]징역형을 선고받았다.
라인하드는 1970년에 석방되었고 [1]2002년에 사망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c d e f g h i j Pryser, Tore (2017-04-27), "Hellmuth Reinhard", Store norske leksikon (in Norwegian Bokmål), retrieved 2021-04-14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Nøkleby, Berit (2020-02-25), "Hellmuth Reinhard", Norsk biografisk leksikon (in Norwegian Bokmål), retrieved 2021-04-14
- ^ a b c d e f g h i Nøkleby, Berit (1995). Dahl; Hjeltnes; Nøkleby; Ringdal; Sørensen (eds.). "Norsk krigsleksikon 1940–1945: Reinhard (Hermann Gustav), Hellmuth" (in Norwegian). Oslo: Cappele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12-31. Retrieved 2021-04-14.
- ^ a b c d e f Bergfald, Odd (1967). "Hellmuth Reinhard : soldat eller morder?". Nasjonalbiblioteket (www.nb.no) (in Norwegian). Oslo: Schibsted. Retrieved 2021-04-16.
{{cite web}}
: CS1 maint :url-status (링크) - ^ 연방정부, SS 파일
- ^ Herbert, Ulrich: Best: Biographisch Studien über Radikalismus, Weltanschauung und Vernunft, 1903-1989, Bonn, Dietz, 1989, 페이지 119, 독일어 번역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