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멧 스트림러
Helmet streamer헬멧 스트리머는 태양의 활동 지역에서 발달하는 밝은 고리 모양의 구조물이다. 그들은 서로 반대되는 자기 극성의 영역을 연결하는 닫힌 자기 루프다. 전자는 이러한 루프에 포착되어 매우 밝게 빛나게 한다. 태양풍은 이 고리들을 끝이 뾰족하도록 길게 한다. 그것들은 코로나로 가장 두드러진 부분보다 훨씬 위에 뻗어 있으며, 일식 동안에 쉽게 관찰될 수 있다. 헬멧 스트리머는 보통 중위도의 "스트림어 벨트"에 국한되며, 이들의 분포는 태양 주기 동안 활동 지역의 움직임을 따른다. 작은 플라즈마 블롭, 즉 "플라모이드"가 헬멧 스트리머의 끝에서 방출되기도 하는데, 이것은 태양풍의 느린 구성 요소의 한 가지 원인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자기장이 열린 형태를 코로나홀이라고 하는데, 이는 더 어둡고 빠른 태양풍의 근원이 된다. 헬멧 스트림러는 또한 많은 양의 플라즈마가 스트림러 끝 근처에서 분리될 경우 관상 질량 배출을 생성할 수 있다.[1]
구조
헬멧 스트리머는 세 가지 주요 특징으로 구성된다: 높은 전자 밀도의 돔, 이 돔 아래에 있는 낮은 전자 밀도의 캐비티, 그리고 이 캐비티 안에 있는 대기 전류의 두각을 나타낸다.[2]
헬멧 스트리머의 백광은 주변의 코로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자 수가 많기 때문이다. 광권으로부터의 빛은 톰슨이 관찰자의 시선선을 따라 흐르는 전자 수에 따라 산란된 빛의 세기로 이들 전자로부터 흩어진다.[3]
코로나 질량 방출에서의 역할
관상 질량 방출(CME)이 폭발하면 오버레이 헬멧 스트림러가 CME의 선행 가장자리가 된다. 마찬가지로 헬멧 스트림러의 공동은 CME의 공동이 되고 헬멧 스트림러의 두드러기는 CME의 핵심이 된다.[3]
참고 항목
참조
- ^ Kallenrode, May-Britt (2004). Space Physics: An Introduction to Plasmas and Particles in the Heliosphere and Magnetospheres. Berlin: Springer. p. 145. ISBN 3-540-20617-5.
- ^ Guo, W. P.; Wu, S. T. (10 February 1998). "A Magnetohydrodynamic Description of Coronal Helmet Streamers Containing a Cavity". The Astrophysical Journal. 494 (1): 419–429. doi:10.1086/305196. Retrieved 27 August 2021.
- ^ a b Gopalswamy, N. (January 2003). "Coronal mass ejections: Initiation and detection" (PDF). Advances in Space Research. 31 (4): 869–881. doi:10.1016/S0273-1177(02)00888-8. Retrieved 27 August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