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무트 비쇼프
Helmut Bischoff헬무트 비쇼프 | |
---|---|
태어난 | 1908년 3월 1일 실레시아 주 글로가우 독일 제국 |
죽은 | 1993년 1월 5일 독일 함부르크 | (84세)
얼리전스 | ![]() |
서비스/지점 | ![]() |
순위 | 오버슈투름반프뤼허 |
구성 단위 | SS-Reichssicherheitshauptamt(RSHA) |
전투/와이어 | 제2차 세계 대전 |
헬무트 비쇼프(Helmut Bischoff, 1908년 3월 1일 ~ 1993년 1월 5일)는 독일의 SS-Obersturmbannführer이자 나치 관료였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그는 폴란드에서 아인사츠코만도 1/IV의 지도자였으며, 이후 포즈나(포센)와 마그데부르크에 있는 게슈타포 사무소장을 맡았다.
1943년 비쇼프는 SS-오베르그루펜프뤼셀러 한스 카믈러의 수석 부관이 되었고 독일의 V-무기 프로그램의 보안 책임자로 일했다. 이후 미텔바우도라 수용소에서 시셰르헤이트디엔스트(SD)를 지휘했다. 1967년과 1970년 사이에 비쇼프는 에센도라 전범 재판의 피고였다.
초년기
비쇼프는 1908년 3월 1일 당시 독일 제국(현재: 폴란드 그워고프)의 일부였던 실레시아 지방의 글로가우 마을에서 태어났다. 번창하는 메츠게르마이스터(정육장)의 아들로 젊었을 때 글로가우 체육관에 다녔다. 1923년부터 1925년까지 비쇼프는 우파 조직 집정관 운동과 연관된 준군사 단체인 번 위키링의 일원이었다. 체육관을 졸업한 후, 비쇼프는 라이프치히 대학과 제네바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비쇼프가 처음 나치 운동에 적극적이 된 것은 법대 시절이었다. 1930년 1월 나치당(당원 #203 122)과 1933년 스터마브테이룽(SA)에 입당하였다. 법학박사(법학박사)를 받은 후. 비쇼프는 로어 실레시아로 돌아와 슈바이드니츠와 스트렐렌 지방 법원 사무소에서 심사원으로 일했다.[1] 1934년 그는 나치당의 정보기관인 시셰르헤이트디엔스트(SD)의 요원과 정보원(베르트라우엔스만)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게슈타포
법률 사무원직을 마친 비쇼프는 1935년 11월(SS # 272 403) 슈츠타펠(SS)에 가입했다. 그 직후 게슈타포에 입성하여 1936년 10월까지 리그니츠에서 조직 지구국장을 지냈다. 비쇼프는 계속해서 하르부르크윌헬름스부르크(1936-1937)와 쾨슬린(1937-1939)의 게슈타포 부서를 이끌었다.[2]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할 무렵 그는 SS의 스투르망프뤼허(주요) 계급에 올랐다.
아인사츠그루펜
1939년 9월 폴란드 침공 당시 비쇼프는 폴란드 북부 포메라니아, 바르샤바, 폴란드 영토에 배치된 아인사츠코만도 1/IV(로타 뷰텔의 아인사츠그루페 4의 하위 유닛)의 사령관을 지냈다. 비쇼프의 부대는 폴란드 지식인들을 겨냥한 나치 인종청소 운동인 탄넨베르크 작전의 일환으로 실시된 민족 학살과 함께 바이고스츠(브롬버그)의 유혈 진압에 관여했다.
1939년 9월 27일 비쇼프와 아인사츠코만도는 푸우투스크 마을을 습격했다. 이 행동은 유대인 마을의 많은 인구가 그들의 집에서 집단으로 팽창하는 것으로 끝났고, 그 후 그들은 나레우 강을 건너 소련 점령 동부로 추방되었다.[3] 1939년 10월, 아인사츠그루페 4세는 바르샤바에 주둔했고, 그 도시의 유대인 거주자들의 초기 검거에 관여했고, 결국 그들의 게토화 운동을 시작했다.
포즈나치와 마그데부르크
1939년 11월 아인사츠그루페 4세가 해체된 후 비쇼프는 새로 개척된 폴란드 영토인 라이히스고 바르트헤란트로 이양되어 포즈나시(포센)의 게슈타포 서장을 지냈다. 이 역량으로 비쇼프는 포트 7 수용소의 지휘관 역할을 하기도 했는데, 처음에는 "KZ 포센"이라고 불렸고, 1939년에는 "위베르강슬래거(트랜스리트 수용소) 포트 7"이 되었다. 주로 수용소였던 포트 7세는 또한 많은 지역 폴란드인, 유대인,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위한 정기적인 처형장소 역할을 했다. 수감자들은 보통 약 6개월 동안 수용소에 머물다가 사형, 장기 징역 또는 더 큰 수용소로 이송되었다.[4]
비쇼프는 1941년 9월 SS-오베르스투르망프르(위계 대령) 계급으로 승진하여 독일로 돌아왔고, 그곳에서 마그데부르크의 주 경찰 본부장으로 임명되었다. 비쇼프는 마그데부르크와 인근 스텐달, 드사우, 베른부르크, 아스체슬레벤 마을에서 유대인들을 추방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1942년 11월부터 1943년 3월까지 수백 명의 독일 유대인들이 SS에 의해 추방되었다. 초기 강제 추방자들의 물결은 주로 테레시엔슈타트와 바르샤바 게토에, 이후 철도 수송은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에 직접 파견되었다.[5]
보안 책임자 V-weepons 보안 책임자
1943년 12월 비쇼프는 SS-주요 경제행정국(SS-WVHA)에 배속되어 SS-오베르그루펜피히르 한스 카믈러 총참모부 소속으로, 표면적으로는 군비부 대표로서 파견되었다. 캄믈러는 SS의 광범위한 토목공학과 군사공학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임무를 맡은 암츠그루페 C(Buildings and Works)의 이사였다. 여기에는 독일의 다양한 비밀 무기 프로그램을 위한 공장, 창고 및 기타 제조 시설의 건설이 포함되었다.
독일의 V-1 비행 폭탄과 V-2 탄도 미사일의 상당 부분은 카믈러 SS 부서에 의해 건설되어 부분적으로 관리되어 온 하즈 산맥의 정교한 터널 시스템에 수용되어 있는 주요 군수 공장인 미텔베르크에서 생산되었다. V-무기들을 직접 조립하기 위해 수행된 복잡하고 위험한 작업은 미텔바우-도라 강제 수용소의 수용자 인구로부터 수천 명의 노예 노동자들(주로 러시아인, 폴란드인, 프랑스인)이 터널 안에서 잔인한 조건 하에서 행해졌다.
비쇼프는 독일의 브이바폰 프로그램 '방어관'(Abwehrbeauftragter)에서 '국방관'(Abehrbeftragter)으로 임명됐다. 비쇼프는 보안 책임자로서 나치 미사일 생산 프로그램의 존재를 연합군 정보로부터 감추기 위한 SD의 대첩작전을 관리했다. 비쇼프는 또한 미텔워크의 수감자들이 조립 과정에서 V-무기들을 파괴하려는 조직적인 시도를 방지하는 역할도 했다.[6]
미텔바우도라
1944년 2월, 노르다우센 지구(미텔워크와 미텔바우도라의 부속 수용소를 포위한)의 나치 경찰과 경비대는 현재 일펠트에 본부를 두고 있는 비스초프의 SS 조직의 권한에 놓였다. 반사보타지 작전은 곧이어 시작되었는데, 주로 미텔베르크의 터널에서 일하는 죄수들과 도라의 수용소에 수감된 죄수들 사이에서 활동하는 수많은 저항 조직을 대상으로 했다.[7]
비쇼프의 지시에 따라 미텔바우도라의 폴리티슈 압테일룽(정치부)은 1944년 11월 수용소의 러시아, 프랑스, 공산당 수감자 지도자들을 검거해 독방에 수감시켰다. 구금된 사람들 중 상당수는 고문을 받고 심문을 받았으며 일부는 나중에 처형되었다.[8] 1945년 2월 미텔바우 도라의 SS 행정부는 전 아우슈비츠 지휘관 리처드 배어(Richard Baer)에 의해 재편성되었다. 이 새로운 합의에 따라 비쇼프는 미텔바우도라 내부 SD국장을 맡았다.
비쇼프는 1945년 3월 도라에서 일련의 교수형에 처해진 수백 명의 포로, 대부분 소련군 포로들이 살해되는 것을 본 대규모 처형 파동을 감독했다. 1945년 4월 미군에 의한 미텔바우도라 해방에 앞서 캠프 저항조직의 생존 지도부에 총격을 가할 것을 명령하기도 했다.[9] 1943년에서 1945년 사이에 미텔베르크나 미텔바우 도라에서 모두 약 2만 명의 사람들이 죽었다.
전후
독일의 패배 이후 비쇼프는 바이에른과 함부르크에 은신했다가 마그데부르크로 돌아와 1946년 1월 소련 보안국에 의해 신원이 확인되어 체포되었다. 비쇼프는 1948년 9월까지 뮐베르크 인근 NKVD 특별캠프 1호(옛 부첸발트 강제수용소)에 수용되어 바이마르 외곽의 NKVD 특별캠프 2호(구 부첸발트 강제수용소)로 이송되었다.
1950년 1월 비쇼프는 소련으로 추방되었다. 그는 모스크바의 군사재판소에서 25년의 중노동을 선고받고 시베리아에 위치한 독일 포로 수용소로 보내졌다. 비쇼프는 향후 5년간 구소련에 수감될 것이다. 1955년 10월 비쇼프는 소련에 의해 감금상태에서 풀려난 마지막 독일 전쟁포로와 전범에 속하게 될 것이다. 비쇼프는 서독에서 재정착한 후 1957년부터 1965년까지 독일 적십자 트레이싱 서비스에 고용되었다.[10]
에센도라 재판
1967년 11월 17일 비쇼프와 그와 함께 미텔바우도라에서 근무했던 다른 SS 장교 2명이 에센 지방법원에 의해 전쟁범죄로 기소되었다. 비쇼프에 대한 혐의는 1945년 2월에서 4월 사이에 미텔바우 도라에서 일어난 일련의 집단 처형에 그가 연루되었기 때문이다. 그는 또한 심문을 받고 있는 죄수들에게 고문을 가한 혐의로 기소되었다. 비쇼프는 무죄를 주장했다.[11]
재판(Essen-Dora Process)은 1967년 11월에 시작되어 2년 반 동안 계속되었다. 그 절차에는 300명이 넘는 목격자들의 증언이 포함되었는데, 그 중에는 전 나치 군사 장관 알버트 스피어와 V-2 로켓의 유명한 발명가인 현재 미국의 최고 로켓 과학자인 베르너 폰 브라운도 포함되어 있었다. 동독의 저명한 법학자 프리드리히 칼 카울은 원고측 변호사로 활동했다.
1970년 5월 5일, 비쇼프에 대한 소송은 건강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 법원에 의해 연기되었다.[12] 따라서 그는 전쟁 범죄로 정식 유죄판결을 받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비쇼프에 대한 소송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취하되었다.
만약 주요 청문회가 계속된다면, 피고가 살인죄로 기소되어 혈압이 과도하게 상승하게 될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는 심각한 근거가 있다.[13]
비쇼프의 전시 활동으로 기소하려는 다른 노력들도 거의 성공하지 못했다. 서베를린 지방법원에 의한 바이고스츠크에서의 아인사츠그루펜 살해사건에 대한 그의 연루에 대한 조사는 1971년 증거부족을 이유로 중단되었다. 이번에는 포즈나에서 게슈타포 수장으로 재임 중 저지른 만행으로 비쇼프를 기소하려는 추가적인 노력은, 비쇼프의 위태로운 건강 때문에, 마찬가지로 1976년에 포기되었다. 비쇼프는 여생 동안 서독에 계속 거주했다. 그는 1993년 1월 5일 함부르크에서 사망했다.[14]
참조
- ^ 젠-크리스티안 바그너:Producation des Todes: Das KZ Mittelbau-Dora, Götingen 2001, S. 666.
- ^ 에른스트 클라이: 제3제국의 백과사전. Wer 전쟁은 1945년과는 달랐다. 1945년 이전과 이후의 저 사람은 누구였을까. Fischer Taschenbuch Verlag, Zweite Aktualisierte Auflage, 프랑크푸르트 Am 2005, S. 51. Penguin Books, 2판, 프랑크푸르트 Am 2005, 페이지 51.
- ^ 에른스트 클라이: 제3제국의 백과사전. Wer 전쟁은 1945년과는 달랐다. 1945년 이전과 이후의 저 사람은 누구였을까. Fischer Taschenbuch Verlag, Zweite Aktualisierte Auflage, 프랑크푸르트 Am 2005, S. 51. Penguin Books, 2판, 프랑크푸르트 Am 2005, 페이지 51.
- ^ 포즈난에 있는 오윈스카와 포트 7세 병원(deathcamps.org
- ^ 알프레드 고트발트, 다이애나 슐레: 1941-1945년 독일 제국에서 유대인의 추방 - 2005년 비즈바덴의 주석 연대기 ISBN3-86539-059-5.
- ^ 에른스트 클라이: 제3제국의 백과사전. Wer 전쟁은 1945년과는 달랐다. 1945년 이전과 이후의 저 사람은 누구였을까. Fischer Taschenbuch Verlag, Zweite Aktualisierte Auflage, 프랑크푸르트 Am 2005, S. 51. Penguin Books, 2판, 프랑크푸르트 Am 2005, 페이지 51.
- ^ 옌스 크리스티안 바그너, 죽음의 제작: 2001년 S. 666회 괴팅겐 미텔바우 도라.
- ^ 셀리에, 안드레. 도라 캠프의 역사. 시카고: 이반 R. 디 2003.
- ^ "Mittelbau: Last Phase". Ushmm.org. Retrieved 30 May 2012.
- ^ 옌스 크리스티안 바그너, 죽음의 제작: 2001년 S. 666회 괴팅겐 미텔바우 도라.
- ^ 안드레 셀리에: 미사일 터널에서의 강제 노동 - 2000년 뤼네부르크, 518페이지의 도라 캠프의 역사.
- ^ 에른스트 클라이: 제3제국의 백과사전 피셔 타셴부흐 2005, S. 51, 퀼레: 24Js 549/61 (Z) OSTA 쾰른. Penguin Books 2005, 페이지 51, 출처: 24Js 549/61 (Z) OSTA 쾰른.
- ^ 에른스트 클라이: 제3제국의 백과사전 피셔 타셴부흐 2005, S. 51, 퀼레: 24Js 549/61 (Z) OSTA 쾰른. Penguin Books 2005, 페이지 51, 출처: 24Js 549/61 (Z) OSTA 쾰른.
- ^ 셀리에, 안드레. 도라 캠프의 역사. 시카고: 이반 R. 디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