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크 램지
Henrik Ramsay헨리크 램지 | |
---|---|
![]() 1941년 램지 | |
외무부 장관 | |
재직중 1943년 3월 4일 – 1944년 8월 8일 | |
수상 | 에드윈 린코미스 |
선행자 | 롤프 위팅 |
성공자 | 칼 엔켈 |
개인내역 | |
태어난 | 칼 헨리크 울터 램지 )1886년 3월 31일 핀란드 헬싱키 |
죽은 | 1951년 7월 25일 스웨덴 비즈비 | (65세)
국적 | 핀란드어 |
정당 | 스웨덴 인민 공화국 |
모교 | 헬싱키 대학교 |
직업 | 이코노미스트 |
칼 헨리크 울터 램지(Carl Henrik Wolter Ramsay, 1886년 3월 31일 헬싱키 ~ 1951년 7월 25일 비스비)는 핀란드의 정치인이자 스웨덴 국민당 출신의 경제학자였다.[1] 람세이는 1946년 전쟁 책임 재판에서 형을 선고받은 사실이 대부분 기억된다.[2][3]
전기
초년기
그의 아버지는 정치가 어거스트 램지였고 어머니는 역사학자 줄리 램지였다. 그는 16세기에 핀란드로 이주한 스코틀랜드 귀족 가문에 속했고, 그는 핀란드에서 경이라는 칭호를 사용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사람들 중 하나였지만, 램지는 그 칭호를 사용하지 않았다. 헨리크 람세이는 1909년 헬싱키 대학에서 화학 박사과정을 마치고 러시아에서 설탕 화학자로 졸업한 뒤 헬싱키에서 설탕 정제소장으로 일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람세이 장관은 1910년대부터 핀란드 사회에서 다재다능한 배우였다. 람세이는 1917년부터 1935년까지 스웨덴 인민당 중앙위원회 위원이었으며, 그 중 1922~1935년 기간에는 당 부위원장이었다. 그러나 1943~1944년 외무부 장관을 지냈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무명이 알려져 있지 않다.
램지의 태도와 의견은 종종 매너하임의 그것과 같았다. 람세이와 마샬이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 때문이었다. 둘 다 상황과 그 요구 사항에 대해 비슷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휴전 이후, 공화국의 대통령으로서 매너하임은 램지가 그의 총리가 되기를 원했다. 그러나 스웨덴 국민당은 그의 총리직을 막았다.
람세이 외무장관의 폭넓은 관계망은 핀란드 정부가 연합군 쪽으로 시선을 돌렸을 때 독일 붕괴 이후 그의 의견에 무게를 둘 수 있게 했다. 그러나, Risto Ryti는 Ramsay가 이니셔티브와 활동을 위한 충분한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또한 나치 독일은 핀란드 외교정책의 기동성을 좁혔다.
램지는 미국과 스웨덴의 의사결정자들로부터 독점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외교관들에 의한 핀란드와의 좋은 관계는 외교 정책 입장을 따르는 그의 능력을 향상시켰다. 독일 연락관 발데마르 에르푸르스는 람세이가 독일과 나쁜 관계를 맺고 있다고 불평했다. 람세이는 본능적으로 제3제국의 대표들과 거리를 두려고 애썼는데, 그들이 평화결정의 걸림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공공 유지 관리 장관 출신으로 식량 부족을 우려했기 때문에 식량 섭취에 대한 큰 우려를 품었다.
외무부 장관으로서 그는 미국 차르제 수관들과 교제하는 데 조금도 어려움이 없었다. 마찬가지로 스웨덴과의 인맥도 풍부했다.
독일과 핀란드의 조약에 대한 독일의 요구사항은 람세이의 끈기와 협상력 때문에 리스토 라이티가 아돌프 히틀러에게 보내는 편지로 변형되었다 독일은 마침내 에르클라릉을 손에 넣었지만, 오직 라이티 자신만을 묶는 형태로만, 국가가 아니었다. 램지는 전쟁 책임 재판에서 2.5년(1946–1947)의 실형을 선고받았다. 출소 후 그는 더 이상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전후
램지는 1920년과 1946년 사이 그리고 1948년부터 1951년까지 핀란드 증기선 회사의 사장 겸 CEO였다. 그는 또한 1934-1946년 이사회 의장이었다. 그는 1943-1944년 계속되는 전쟁 동안 죽카 랑겔 내각의 공공 유지부 장관과 에드윈 린코미스 내각의 외무부 장관을 지냈다.[4]
그는 항해 도중 자신의 요트 선실에 있는 비스비 항구에서 갑작스러운 병으로 사망했다.
참조
- ^ "Ministerikortisto". Valtioneuvosto (Finnish Governm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22. Retrieved 2011-05-23.
- ^ Meinander, Henrik (2 February 2018). "Ramsay, Henrik (1886 - 1951)". Kansallisbiografia. Translated by Aulikki Litzen. Retrieved 20 August 2020.
- ^ Maasalo, Erkki Tapio (19 May 2004). "Sir Henrik receives a mission - Henrik Ramsay as the Finnish Foreign Minister in 1943 - 1944". University of Helsinki. Retrieved 20 August 2020.
{{cite journal}}
: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journal=
(도움말) - ^ "Ministry for Foreign Affairs of Finland – Ministers of Foreign Affairs". Valtioneuvost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uly 2011. Retrieved 30 January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