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모겐타우 시니어

Henry Morgenthau Sr.
헨리 모겐타우 시니어
Henry Morgenthau.jpg
모겐타우, 1913년
제4대 오스만 제국 주재 미국 대사
재직중
1913년 12월 11일 – 1916년 2월 1일
대통령우드로 윌슨
선행자윌리엄 W. 록힐
성공자아브람 1세 엘커스
개인내역
태어난(1856-04-26)1856년 4월 26일
만하임, 바덴 (현재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
죽은1946년 11월 25일 (1946-11-25) (90세)
미국 뉴욕시
정당민주적인
배우자조세핀 사이크스
아이들.
모교
직업변호사, 외교관
종교개혁 유대교

헨리 모겐소(/ˈmɔːrɡəntaʊ/:4월 26일 1856년 – 11월 25일 1946년)는 독일 태생 미국인 변호사이자 사업가, 최상의 것으로 오스만 제국에 제1차 세계 대전 모겐소 동안 대사의 역할은 한 가장 중요한 미국인들이 그리스 집단 학살과는 자신이 말하였다.`나는 firml해 아르메니아 genocide[1]에 대해 언급했다 잘 알려 져.cy"이것은 당대의 가장 큰 범죄라고 확신했다."[2]

Morgenthau는 정치가인 Henry Morgenthau Jr.의 아버지였다. 그의 손자들은 로버트 M을 포함한다. 35년간 맨해튼 지방검사였던 모겐타우바바라 W. 투흐만, 그녀의 책 "The Guns of 8월의 총"으로 퓰리처상을 받은 역사학자.

조기생활과 교육

모겐타우는 1856년 바덴만하임(현재의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에서 아슈케나지 유대인 가정에서 11명의 살아 있는 아이들 중 9번째로 태어났다. 그는 라자루스와 바베트(구겐하임) 모겐트하우(Morgenthau)의 아들이었다.[3] 그의 아버지는 만하임, 로르쉬, 헤펜하임 등에 시가 공장을 두고 무려 1,000명을 고용한 성공한 시가 제조사였다(만하임은 이 기간 동안 인구가 2만1000명이었다). 그의 사업은 1862년 수입품에 대한 담배 관세 부과로 인해 미국 남북전쟁 동안 심각한 재정적인 차질을 겪었고, 이로 인해 독일의 대미 담배 수출이 영원히 중단되었다.

Morgenthau 가족은 1866년에 뉴욕으로 이주했다. 그곳에서 상당한 저축에도 불구하고 아버지는 재창업을 할 수 없었다. 그의 다양한 발명품 개발과 마케팅과 다른 기업에 대한 투자는 실패했다. 레자로스 모겐트하우(Lazarus Morgenthau)는 실패를 면하고 유대교 예배당의 모금자가 됨으로써 수입을 안정시켰다. 헨리는 뉴욕 시립대학에 다녔고, 그곳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후에 컬럼비아 로스쿨을 졸업했다.

사업경력

변호사 생활을 시작했지만 부동산 투자로 상당한 재산을 모았다.[4] 1898년 그는 윌리엄 발도르프 아스토르로부터 뉴욕 로어 이스트사이드 41필지를 85만 달러에 취득했다.[5] 몇 년 후, 그는 워싱턴 하이츠 181번가 일대에 미개발 토지를 매입한 신디케이트를 이끌고 이 지역을 통과하는 첫 지하철의 건설을 기대했다.[6]

Morgenthau는 1882년에 조세핀 사이크스와 결혼했고 그들은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 헬렌, 알마, 헨리 주니어,[7] 루스. 그의 딸 알마는 금융가 모리스 베르테임과 결혼했다.[8]

모겐타우는 변호사로서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고 뉴욕의 개혁 유대인 사회의 지도자로 활동했다.[9]

정치 경력

Morgenthau의 경력은 그가 1912년 Woodrow Wilson 대통령의 선거 운동에 멋지게 기여할 수 있게 했다. 는 1911년 자유회당사회 창립 4주년 기념 만찬에서 윌슨을 처음 만나 '모젠트하우 정치 경력의 전환점'을 맞았다.[10] 미국 정치에서 그의 역할은 이후 몇 달 동안 더욱 뚜렷해졌다. 윌슨의 선거자금위원회 위원장직을 얻지는 못했지만, 모겐타우는 오스만 제국의 대사직을 제의받았다. 그는 각료직도 희망했지만 한 자리를 얻는 데는 성공하지 못했다.

오스만 제국의 대사

모겐타우가 1915년 국무부에 쓴 전보에는 오스만 제국의 아르메니아인 학살 사건이 "인종 몰살 운동"이라고 기술되어 있다.

초기 윌슨 지지자로서, 모겐타우는 윌슨이 그를 장관급 직위에 임명할 것이라고 추측했지만, 새로운 대통령은 그를 위한 다른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다른 저명한 유대계 미국인, 오스카 스트라우스솔로몬 허쉬와 마찬가지로, 모겐타우는 오스만 제국의 대사로 임명되었다. 유대인이 어떻게든 무슬림 투르크인과 기독교 아르메니아인 사이의 다리를 대표한다는 윌슨의 가정은 모겐트하우로 분류되었다. 윌슨은 대답에서 콘스탄티노플의 포르테가 "팔레스타인의 유대인들의 복지에 대한 미국 유대인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지점이며, 그 p에 내가 유대인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거의 없어서는 안 될 점"이라고 그에게 장담했다.ost". 비록 시온주의자는 없었지만, 모겐트하우는 그의 공동종교주의자들의 곤경에 대해 "무서운" 관심을 가졌다.[11] 그는 처음에는 그 자리를 거절했지만 유럽 순방에 이어 친지오니즘 친구인 랍비 스티븐 와이즈의 격려로 자신의 결정을 재고하고 윌슨의 제안을 받아들였다.[12] 1913년 오스만 제국 주재 미국 대사로 임명되어 1916년까지 이 직책을 지냈다.

대부분 기독교 선교사와 유대인인 오스만 제국의 미국 시민들의 안전이 대사관에서 일찍부터 크게 나타났지만, 모겐타우는 아르메니아인 질문에 가장 몰두하고 있다고 말했다.[13] 1914년 전쟁이 발발한 후에도 미국은 중립을 지켰기 때문에 미국 대사관은 물론, 나아가 모젠트하우 대사관은 적대관계로 인해 외교공관을 철수했기 때문에 콘스탄티노플(이스탄불)에 대한 연합군의 많은 이익을 추가로 대변했다. 오스만 당국이 1914~1915년에 아르메니아인 학살을 시작하자 제국 각지에 거주하는 미국 영사들은 거의 매시간마다 모로겐타우의 책상 위에 폭주하여 학살과 추방행렬이 벌어지고 있음을 문서화했다.[14] 증빙자료가 쌓이는 상황에서 오스만 정부의 활동을 미국 정부에 공식 통보하고 워싱턴에 개입을 요청했다.[15]

모겐타우 대사의 이야기 24장 "국가의 살인"의 오디오 녹음.
모겐타우의 이야기, 1918년

그러나 미국 정부는 논쟁에 끌려가기를 원하지 않았고, 그 당시 분쟁에서 중립적인 권력으로 남아있었고 공식적인 반응을 거의 보이지 않았다. 모르젠타우는 오스만 제국의 지도자들과 고위급 회담을 열어 아르메니아인들의 입장 완화를 도왔으나 터키인들은 그의 항의를 묵살하고 말았다. 그는 오스만 내무장관 탈라트 파샤에게 "우리 민족은 이 학살들을 결코 잊지 못할 것"[16]이라고 훈계한 것으로 유명하다. 대량학살이 계속되자 모겐타우와 몇몇 다른 미국인들은 아르메니아 인들을 돕기 위해 공공 기금 모금 위원회를 구성하기로 결정했다. 아르메니아 인들은 아르메니아 인들의 잔혹행위에 대한 위원회로 이름을 바꾸었고, 이는 오늘날 10억 달러에 상당하는 1억 달러 이상의 원조를 모금했다. 모겐타우는 뉴욕타임스 발행인 아돌프 오치스와의 친분을 통해 학살 사건이 계속해서 두드러진 취재를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하기도 했다. 뉴욕타임스는 1915년에만 145편의 기사를 실었다.[17]

오스만 정부와의 관계에 격분한 그는 1916년 대사직에서 물러났다. 그는 '국가의 살인'에 나오는 이 결정을 돌이켜보며 오스만 제국을 "공포스러운 곳"으로 보러 왔다고 썼다. 나는 내 자원의 끝에 도달했다. 백만 명에 가까운 인간의 피 냄새를 풍기고 있는 남자들과의 매일의 연정은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친절하고 관대했다."[18] 그는 오스만 지도자들과의 대화와 1918년 아르메니아인 대량학살에 대한 그의 이야기를 '모젠트하우 대사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19]

1917년 6월, 펠릭스 프랑크푸르터는 전쟁부의 대표로서 오스만 제국을 전쟁 노력에 있어서 중앙 열강들을 포기하도록 설득하는 비밀 임무를 수행했다. 이 임무는 "팔레스타인 내 유대인 공동체의 상태를 개선"[20]하기 위한 목적을 명시했다. 1918년 모겐타우는 미국에서 공공연설을 통해 그리스인과 아시리아인이 아르메니아인으로서 '동일한 추방 방법'과 '도살자 학살'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2백만 명의 아르메니아인, 그리스인, 아시리아인이 이미 사망했다고 경고했다.[21]

전쟁중기

전쟁 이후 유대인 공동체 내에서는 팔레스타인의 유대인 조국의 개념을 지지하고 반대하는 단체들에 의해 곧 있을 파리 평화 회의에 대한 많은 관심과 준비가 있었다. 1919년 3월, 우드로 윌슨 대통령이 회의장으로 떠날 때, 모겐타우는 미국 하원의원 줄리어스 칸이 제출한 반자이온주의 청원서에 서명하기 위해 31명의 저명한 유대인 중 한 명이었다.[22] 그와 다른 저명한 유대인 대표들이 회의에 참석했다. 모겐타우는 동유럽과 중동 관련 고문을 지냈고, 이후 중동구호위원회, 그리스 난민정착위원회, 미국적십자사 등 전쟁 관련 자선단체와 함께 일했다. 1919년, 그는 미국 정부의 폴란드로의 진상 조사 임무를 이끌었고, 폴란드는 모겐타우 보고서를 작성했다. 1933년에 그는 제네바 회의의 미국 대표였다.[citation needed]

죽음

모겐타우는 2015년 아르메니아인 우표에 "아르메니아인 학살 100주년" 시리즈를 찍었다. 배경에는 에 그려진 전보(한 페이지에 붙여진 스트립 형태의 전보가 있다.

모겐타우는 1946년 뇌출혈뉴욕에서 사망했고, 뉴욕 호손에 묻혔다. 그의 아들 헨리 모겐타우 주니어재무부 장관이었다. 그의 딸 알마 베르테임은 은행가 모리스 베르테임과 결혼하여 역사가 바바라 터흐만의 어머니였다. 그의 딸 루스 모겐트하우(Ruth Morgenthau)는 은행가 조지 W. 나움부르크(Elkan Naumburg의 아들), 그리고 존 나이트(John Knight)와 결혼했다.[23]

선택한 작품

Morgenthau는 몇 권의 책을 출판했다. 의회 도서관은 그의 개인 논문에서 다음과 같은 약 3만 건의 문서를 소장하고 있다.

  • 모겐타우 대사 이야기(1918). 뉴욕 가든 시티: 더블데이(온라인)
  • 보스포러스의 비밀 (1918) (온라인)
  • 제2 폴란드 공화국에서의 유대인들의 곤경에 관한 모겐타우 보고서(1919년 10월 3일).
  • All In a Lifetime (Garden City, New York: Doubleday, Page & Co, 1925), 454페이지, 7개의 삽화; Morgenthau Report(Archive.org)수록되어 있다.
  • 는 그리스 난민들과 함께 일한 그의 시간을 다룬 아테네 (1998년)로 보내졌다.
  • 국가의 살인(1974년). W. N. Medlicott의 서문과 함께. 뉴욕: 아르메니아 일반 자선 연합 오브 아메리카.
다이어리
  • 보스포루스에서의 미국 외교: The Diary of Morgenthau, 1913–1916 (2004) 대사. 아라 사라피안의 소개로 편찬되었다. 런던: 타데론 프레스 (고미다스 연구소) ISBN1-903656-40-0.
공문서
  • Ara Sarafian (ed.): Armenian 대량학살에 대한 미국 공식 기록. 1915–1917 (2004) 런던과 프린스턴: 고미다스 연구소. ISBN 1-903656-39-7

묘사

오스만 제국의 마지막 해를 배경으로 한 테리 조지의 2016년 드라마 <프로미션>에서 모젠트하우 감독은 제임스 크롬웰이 연기한다.[24]

참고 항목

참조

  1. ^ Balakian, Peter (2003). The Burning Tigris: The Armenian Genocide and America's Response. New York: HarperCollins. pp. 219–221. ISBN 0-06-055870-9.
  2. ^ Berlatsky, Noah (2015). The Armenian Genocide. Greenhaven Publishing LLC. p. 130. ISBN 978-0-7377-7319-4.
  3. ^ "Collection: Morgenthau Family Collection the Center for Jewish History ArchivesSpace".
  4. ^ 발라키아의 버닝 티그리스, 페이지 219.
  5. ^ 1900년 12월 6일 뉴욕 타임즈 "Coll. Astor Sells a Block"
  6. ^ Clifton Hood, "IRT가 뉴욕시에 미치는 영향"은 HAER NY-122, 페이지 145–145에서 확인할 수 있다.
  7. ^ 헨리 모겐타우에 대해서. henrymorgenthaupreserve.com
  8. ^ "Mrs. Wertheim to Marry Paul L. Weiner Today". Jewish Telegraph Agency. January 24, 1934.
  9. ^ Oren, Michael B (2007). Power, Faith, and Fantasy: America in the Middle East 1776 to the Present. New York: W. W. Norton & Co. pp. 332–333. ISBN 978-0-393-33030-4.
  10. ^ 발라키아의 버닝 티그리스, 220페이지.
  11. ^ 오렌. 힘, 믿음, 판타지, 333페이지.
  12. ^ 발라키아의 버닝 티그리스 222쪽
  13. ^ 발라키아의 버닝 티그리스 223쪽
  14. ^ Oren, Michael B. (2007). "Spectators of Catastrophe". Power, Faith, and Fantasy: America in the Middle East, 1776 to the Present. Armenian Research Center collection. W. W. Norton & Company. p. 334. ISBN 9780393058260. Retrieved 2016-02-25. Daily at first and then almost hourly, the reports reached Morgenthau's desk.
  15. ^ 오렌. 힘, 믿음, 판타지, 페이지 333–336.
  16. ^ 오렌. 힘, 믿음, 판타지, 페이지 335.
  17. ^ 오렌. 힘, 믿음, 판타지, 페이지 336.
  18. ^ 오렌. 힘, 믿음, 판타지, 337페이지.
  19. ^ 모겐타우, 헨리(1918). 모겐타우 대사의 이야기. 뉴욕 가든 시티: 더블데이.
  20. ^ Hirsch, H. N. (1981). The Enigma of Felix Frankfurter. New York: Basic Books. p. 53. ISBN 0-465-01979-X.
  21. ^ 트래비스, 한니발. "토종 기독교인 학살: 제1차 세계 대전 중의 아시리아인의 오스만 대량 학살." 대량 학살 연구방지, 제1권, 제3권, 2006년 12월, 페이지 327.
  22. ^ 알프레드 M. 릴리엔탈, 시오니즘 연결 II: What Price Peace? (뉴브런즈윅, 뉴저지 주: 북미, 1982), 페이지 768–769. 에드워드 C에서 인용했다. 코리건, 유대인의 시오니즘 비판 2010-07-06, 웨이백 머신, 중동 정책 위원회, 저널, 윈터 1990–91, 넘버 35에 보관
  23. ^ "Mrs. Ruth M. Knight, a Civic Leader, 77". New York Times. May 18, 1972.
  24. ^ Bezdikian, Hooshere (20 April 2017). "'The Promise' Premieres in New York with Full Cast, Filmmakers, and UN Dignitaries". The Armenian Weekly. Retrieved 2 October 2017.

추가 읽기

외부 링크

-——. 제1차 세계 대전 문서 보관소의 모겐트하우 대사 이야기.
——. 모겐타우 대사 이야기. 프랑스어, 독일어, 터키어 번역으로.
외교관직
선행자 주터키 미국 대사
1913–1916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