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7세
Henry VII of England헨리 7세 | |
---|---|
![]() | |
영국의 왕, 아일랜드의 군주 | |
통치. | 1485년 8월 22일 ~ 1509년 4월 21일 |
대관식 | 1485년 10월 30일 |
전임자 | 리처드 3세 |
후계자 | 헨리 8세 |
태어난 | 1457년 1월 28일 웨일스 펨브로크셔 주 펨브로크 성 |
죽은 | 1509년 4월 21일 (52세) 리치몬드 궁전, 서리, 영국 |
매장 | 1509년 5월 11일 웨스트민스터 사원, 런던 |
배우자. | (m.1486년, 1503년 사망) |
쟁점. 더... | |
하우스. | 튜더 |
아버지. | 에드먼드 튜더 |
어머니. | 레이디 마가렛 보퍼트 |
서명 | ![]() |
헨리 7세(Harry VII, 1457년 1월 28일 ~ 1509년 4월 21일)는 1485년 8월 22일부터 1509년 사망할 때까지 잉글랜드와 아일랜드의 군주였다.그는 튜더 [a]왕가의 첫 번째 군주였다.
헨리의 어머니 마가렛 보퍼트는 플랜태저넷 가문의 랑카스트리아 가문의 후손이었다.헨리의 아버지인 영국 헨리 6세의 이복형제이자 페니디드의 웨일스 튜더 가문의 일원이었던 제1대 리치몬드 백작 에드먼드 튜더는 그의 아들 헨리가 태어나기 3개월 전에 사망했다.헨리의 어린 시절, 그의 삼촌 헨리 6세는 요크주의 플랜태저넷 지부의 일원인 에드워드 4세와 싸우고 있었다.1471년 에드워드가 왕위를 되찾은 후, 헨리 튜더는 브르타뉴에서 14년간 망명 생활을 했다.그는 프랑스, 스코틀랜드, 웨일즈의 지원을 받은 그의 군대가 장미전쟁의 정점인 보스워스필드 전투에서 에드워드 4세의 동생 리처드 3세를 물리쳤을 때 왕좌에 올랐다.그는 전장에서 왕좌를 차지한 영국의 마지막 왕이었다.그는 에드워드 4세의 딸인 요크의 엘리자베스와 결혼함으로써 그의 주장을 확고히 했다.
헨리는 내전에 이어 영국 왕정의 권력과 안정을 회복하는데 성공했다.그는 많은 행정, 경제 및 외교적 이니셔티브를 주도했다.영국의 양털 산업에 대한 그의 지지 정책과 저지대 국가들과의 대립은 영국 경제에 장기적인 이익을 가져다 주었다.그는 세세한 부분까지 신경을 많이 썼고, 아낌없이 돈을 쓰는 대신 새로운 수익을 올리는 데 주력했다.그는 몇 가지 새로운 세금을 도입하여 정부의 재정을 안정시켰다.그가 죽은 후 위원회는 세금 징수 과정에서 만연한 악용을 발견했다.헨리는 거의 24년 동안 통치했고 그의 아들인 헨리 8세가 평화롭게 승계했다.
조상과 초기 생활
헨리 7세는 1457년 1월 28일 웨일즈 너머의 리틀 잉글랜드로 알려진 펨브로크셔의 영어권 지역에 있는 펨브로크 성에서 태어났다.그는 레이디 마가렛 보퍼트와 초대 리치몬드 백작 에드먼드 튜더의 외동딸이었다.그는 아마도 펨브로크 [1][2]성모 교회에서 세례를 받았을 것이다. 하지만 그 사건에 대한 기록은 [3]없다.그의 아버지는 그가 [4]태어나기 3개월 전에 돌아가셨다.헨리의 친할아버지 오웬 튜더는 웨일즈 앵글시섬의 페니니드 튜더 가문 출신으로 헨리 5세의 궁정의 한 페이지였다.그는 아쟁쿠르 [5]전투에서 군 복무를 마치고 "왕에게 몸을 바치는 스퀴어" 중 한 명이 되었다.오웬은 헨리 5세의 미망인 발루아의 캐서린과 비밀리에 결혼했다고 한다.그들의 아들 중 하나는 헨리의 아버지 에드먼드였다.에드먼드는 1452년에 리치몬드 백작으로 임명되었고,[6] 의회에 의해 공식적으로 합법이라고 선언되었다.
헨리의 어머니 마가렛은 보포트 왕가를 통해 헨리의 왕위 계승권을 제공했다.그녀는 제1대 랭커스터 공작 존 오브 건트와 그의 세 번째 부인 캐서린 스윈포드의 증손녀였다.캐서린은 약 25년간 건트의 정부였다.그들이 1396년에 결혼했을 때 헨리의 증조할아버지 존 보퍼트를 포함한 네 명의 아이들이 이미 있었다.따라서 헨리의 주장은 다소 미미한 것이었다. 그것은 여자로부터, 그리고 사생아로부터였다.이론적으로 포르투갈 왕실과 카스티야 왕실은 곤트의 존과 [citation needed]카스티야의 두 번째 부인 콘스탄스의 딸인 랭카스터의 캐서린의 후손으로서 더 나은 권리를 가지고 있었다.
건트의 조카 리처드 2세는 1397년 캐서린 스윈포드에 의해 건트의 아이들을 레터스 특허에 의해 합법화했다.1407년, 건트의 첫 번째 부인의 아들인 헨리 4세는 그의 이복 동생들의 합법성을 확인하는 새로운 특허서를 발행했지만,[7] 그들은 왕위에 오를 자격이 없다고 선언했다.이전에 의회법에 의해 보포트 가문이 합법화 되었기 때문에 헨리 4세의 행동은 합법성이 의심스러웠지만, 헨리의 [citation needed]주장을 더욱 약화시켰다.1483년에 헨리 6세(헨리 5세의 아들과 발루아의 캐서린), 그의 아들 에드워드 웨스트민스터 사원, 웨일즈의 왕자,과 하강의 레이디 마거릿의 삼촌인 에드먼드 보퍼트, 2공작 서머셋을 통해 다른 보퍼트 라인의 살인자나 수행에 의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헨리는 선배 남자Lancastrian 청구인 전투에서 사망 후 남아 있는,.[표창 필요한]
헨리는 또한 그의 웨일즈 조상을 이용해 약간의 정치적 자본을 만들어 군사적 지원을 이끌어내고 보즈워스 [8][9]전투로 가는 그의 군대가 웨일스를 통과하는 것을 보호했다.그는 전설상 마지막 고대 영국 [10]왕인 카드왈라드르의 [8]후손이라고 주장하는 오래되고 확립된 앵글시 가문 출신이었고 헨리는 때때로 카드왈라드르의 붉은 용을 전시했다.세인트루이스의 기준뿐만 아니라 가져갔어요 조지, [11]보즈워스에서의 승리 후 런던을 통과하는 행군 중.현대 작가이자 헨리의 전기 작가인 버나드 앙드레도 헨리의 웨일스 혈통을 [10]높이 평가했다.
1456년, 헨리의 아버지 에드먼드 튜더는 사우스 웨일스에서 요크주의자들과 맞서 헨리 6세를 위해 싸우다가 붙잡혔습니다.그는 곧 카마텐 성에서 죽었다.그의 동생인 펨브로크 백작 재스퍼 튜더는 에드먼드의 미망인 마가렛이 [12]헨리를 낳았을 때 그녀가 13살이었던 그녀를 보호하는 일을 맡았다.에드워드 4세가 1461년에 왕이 되었을 때, 재스퍼 튜더는 해외로 망명했다.펨브로크 성, 그리고 나중에는 펨브로크 백작이 요크주의자인 윌리엄 허버트에게 주어졌고, 허버트도 마가렛 보퍼트와 어린 [13]헨리의 후견인이 되었다.
헨리는 워릭 백작 리처드 네빌이 랭커스터로 넘어간 1469년까지 허버트 가문에 살았다.허버트는 요크주의자들을 위해 싸우다가 워릭에 [14]의해 붙잡혀 처형되었다.1470년 워릭이 헨리 6세를 복위시켰을 때, 재스퍼 튜더는 망명으로부터 돌아와 헨리를 [14]법정에 세웠다.요크주의자인 에드워드 4세가 1471년에 왕위를 되찾았을 때, 헨리는 다른 랭커스터교도들과 함께 브르타뉴로 도망쳤다.그는 이후 14년의 대부분을 [15]브르타뉴 공작 프랑수아 2세의 보호 아래 보냈다.1476년 11월, 프랜시스는 병에 걸렸고 그의 주요 고문들은 에드워드 왕과의 협상에 더 순순히 응했다.그래서 헨리는 영국 사절들에게 인도되었고 생말로의 브르타뉴 항구로 호송되었다.그곳에 있는 동안, 그는 위경련으로 가장하고 조수를 놓칠 정도로 출발을 지연시켰다.헨리의 동맹자 장 뒤 퀴레넥 이 곧 도착하여 프랑수아가 회복되었다는 소식을 전했고, 혼란 속에서 헨리는 수도원으로 도망칠 수 있었다.그는 사절들이 떠날 [16]때까지 그곳에서 은신처를 요구했다.
왕위에 오르다
1483년까지 헨리의 어머니는 요크교도인 스탠리 경과 결혼했음에도 불구하고 리처드 3세의 대안으로 헨리를 적극적으로 홍보했다.헨리는 1483년 크리스마스 날 렌 대성당에서 에드워드 4세의 장녀인 요크의 엘리자베스와 결혼하기로 약속했다.그녀는 그녀의 형제들인 타워의 왕자 에드워드 5세와 [17]요크 공작 슈루즈베리의 리처드 사망 추정 이후 에드워드의 후계자였다.그의 호스트인 브르타뉴의 프란시스 2세로부터 빌린 돈과 물자를 가지고, 헨리는 영국에 상륙하려고 시도했지만, 그의 음모는 드러나지 않았고, 결국 그의 주된 공모자인 [18]버킹엄의 제2대 공작인 헨리 스태퍼드의 처형을 초래했다.현재 프랑수아 2세의 수상인 피에르 란데의 지원을 받은 리처드 3세는 브리타니에서 헨리를 인도하려 했지만 헨리는 [19]프랑스로 도망쳤다.그는 프랑스군의 환영을 받았고, 프랑스군은 그에게 두 번째 [citation needed]침략을 위한 병력과 장비를 기꺼이 제공했다.헨리는 고 에드워드 4세의 사돈인 우드빌 부부의 지지를 얻어 소규모 프랑스와 스코틀랜드 군대를 이끌고 펨브로크셔 [20]데일 근처의 밀 베이에 상륙했다.그는 삼촌 재스퍼와 13대 옥스퍼드 백작 존 드 베어와 함께 영국을 향해 행진했다.웨일스는 역사적으로 랑카스트리아의 거점이었고 헨리는 리스 압 그루피드의 [21]불가지론적인 후손인 그의 웨일즈 출신과 조상에게 지지를 받았다.그는 약 5,000~6,000명의 [22][23]군사를 모았다.
헨리는 리처드가 노팅엄과 레스터에 증원군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리처드와 재빨리 교전하여 왕위를 차지하려는 계획을 세웠다.비록 수적으로 열세였지만, 헨리의 랑카스트리아 군대는 1485년 8월 22일 보즈워스 필드 전투에서 리처드의 요크주의자 군대를 결정적으로 물리쳤다.제4대 노섬벌랜드 백작 헨리 퍼시와 스탠리 경과 그의 동생 윌리엄과 같은 리처드의 주요 동맹자들 중 몇 명은 결정적으로 편을 바꾸거나 전장을 떠났다.보즈워스 필드에서 리처드 3세의 죽음은 [citation needed]장미 전쟁을 사실상 종식시켰다.
통치.
왕좌에 대한 그의 지배력을 확보하기 위해, 헨리는 보즈워스 [24]필드 전날인 1485년 8월 21일부터 소급해서 정복할 권리로 자신을 왕으로 선언했다.따라서, 리처드를 위해 그와 싸운 사람은 누구든 반역죄를 범하게 될 것이고 헨리는 리처드 3세의 토지와 재산을 합법적으로 몰수하면서 자신의 소유를 회복할 수 있었다.헨리는 리처드의 조카이자 후계자로 지명된 링컨 백작 존 드 라 폴을 살려주고 요크주의 상속녀인 마거릿 플랜타제넷 백작 부인을 솔즈베리 수쥬르로 만들었다.그는 1485년 [25]10월 30일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열린 대관식이 끝날 때까지 남작에게 연설하거나 의회를 소집하지 않도록 조심했다.대관식 후 헨리는 자신에게 충성을 맹세한 모든 신사는 이전의 어떤 획득자에도 불구하고 그의 재산과 [citation needed]개인에 안전할 것이라는 칙령을 내렸다.
헨리는 요크의 엘리자베스와 결혼하겠다는 1483년 12월의 서약을 지켰고 1486년 웨스트민스터 [26][18][27]사원에서 결혼식을 올렸다.그들은 [28]모두 곤트의 존의 증손자였기 때문에 3촌이었다.헨리는 플랜태저넷 왕조 분쟁의 요크파와 랑카스트리아파를 통합하려는 희망으로 요크의 엘리자베스와 결혼했고, 그는 크게 성공했다.하지만, 그러한 편집증의 정도가 지속되어 플랜타제네와 혈연관계가 있는 사람은 누구나 [30]왕위를 탐낸다는 의심을 받았다.[29]
헨리는 의회에 에드워드 4세의 결혼이 무효이고 그의 자녀들이 불법이라고 선언한 법령인 티툴루스 레지우스를 폐지하도록 하여 그의 아내를 합법화시켰다.아마추어 역사학자 버트람 필즈와 클레멘츠 마캄 경은 티툴루스 레기우스의 폐지로 왕자가 자신의 왕위보다 더 강력한 왕위 권리를 갖게 되었기 때문에 그가 탑의 왕자 살해에 연루되었을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Alison Weir는 헨리와 그의 지지자들이 왕자들이 이미 [31]죽었다고 확신했을 때에만 2년 전에 렌의 결혼식은 그럴듯했다고 지적한다.헨리는 주로 귀족의 권력을 분열시키고 약화시킴으로써 왕관을 확보했고, 특히 충성심을 확보하기 위해 채권과 인정을 적극적으로 사용했다.그는 또한 영주들의 기장이나 제복을 착용하고 잠재적인 사설 [citation needed]군대를 구성하는 다수의 "유지군"을 두는 위대한 영주들의 관행인, 도복과 유지에 대한 법을 제정했다.
헨리는 보즈워스 필드 이후 레스터에 있는 동안 반란에 대한 예방 조치를 취하기 시작했다.에드워드 4세의 동생인 클래런스 공작 조지의 열 살 난 아들인 워릭 백작 에드워드는 [32]요크 가문의 생존 남성 중 연장자였다.런던으로 떠나기 전에 헨리는 로버트 윌러비를 요크셔의 허튼 보안관에게 보내 워릭을 체포하고 런던 [33]타워로 데려갔다.그러한 예방책에도 불구하고 헨리는 이후 12년 [citation needed]동안 몇 번의 반란에 직면했다.첫 번째는 러벨 자작의 방조한 스태퍼드 형제의 1486년 반란으로,[34] 싸우지 않고 무너졌다.
다음으로, 1487년에 링컨이 이끄는 요크주의자들이 그들이 주장하는 워릭의 에드워드라고 주장하는 소년 램버트 심넬을 지지하기 위해 반란을 일으켰다.반란은 아일랜드에서 시작되었는데, 그 곳에서 강력한 제럴드 피츠제럴드가 이끄는 요크주의 귀족들이 심넬을 왕으로 선포하고 그의 영국 침략을 위한 군대를 제공했다.반란은 패배했고 링컨은 스토크 전투에서 죽었다.헨리는 살아남은 반란군에 대해 놀라운 관용을 베풀었다: 그는 킬데어와 다른 아일랜드 귀족들을 사면했고,[35] 그가 침으로 고기를 굽는 일을 맡고 있는 왕실 주방에서 소년 심넬을 하인으로 만들었다.
1490년, 젊은 플레밍, 퍼킨 워벡이 나타나 자신이 "탑 안의 왕자" 중 젊은 슈루즈베리의 리처드라고 주장했다.워벡은 에드워드 4세의 여동생인 부르고뉴 공작부인의 지지를 얻었다.그는 1491년 아일랜드와 1495년 잉글랜드에 대한 침략 시도를 이끌었고, 1496년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4세를 설득하여 영국을 침공했다.1497년 워벡은 수천 명의 군대와 함께 콘월에 상륙했지만 곧 붙잡혀 [36]처형되었다.
왕의 요원들이 윌리엄 스탠리의 재산을 수색했을 때, 그들은 약 10,000 파운드에 달하는 동전 한 봉지와 요크주의 장식품이 들어간 양복 깃을 발견했습니다.스탠리는 워벡의 대의를 지지한 혐의로 기소되어 체포되었고 나중에 처형되었다.자신의 가정 내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여, 왕은 자신의 [37]개인에 대한 접근을 위해 보다 엄격한 보안을 도입했다.1499년 헨리는 워릭 백작에게 [38]사형을 선고했다.하지만, 그는 워릭의 누나 마가렛을 살려주었고, 마가렛은 헨리 [39]8세에 의해 처형된 1541년까지 살아남았다.
경제학

헨리 7세의 통치 기간 동안 에드워드 스토리는 치체스터의 주교였다.스토리의 기록부는 여전히 존재하며, 19세기 역사학자 W.R.W. Stephens에 따르면, "왕의 탐욕스럽고 인색한 성격의 몇 가지 삽화"라고 한다.헨리는 프랑스와의 전쟁이나 스코틀랜드와의 전쟁을 포함한 많은 핑계로 그의 신하들로부터 돈을 끌어내는 데 능숙했던 것으로 보인다.이렇게 추출된 돈은 명시된 [40]목적에 사용되기보다는 왕의 개인 재산이 더해졌다.
그의 전임자들과 달리, 헨리 7세는 재산 관리나 금융 [41]행정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 없이 왕위에 올랐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그는 재정적으로 신중한 군주가 되어 사실상 파산한 재무부의 부를 회복시켰다.헨리 7세는 그의 통치 기간 내내 같은 재정 고문들을 유지함으로써 영국의 금융 행정에 안정을 가져왔다.예를 들어, 통치의 처음 몇 달을 제외하고, 다이넘 남작과 서리 백작이 그의 [42]통치 기간 내내 유일한 최고 재무장관이었다.
헨리 7세는 무자비하게 효율적인 과세 메커니즘을 도입함으로써 왕국에서 세금 징수를 개선했다.그는 그의 수상인 존 모튼 대주교에 의해 지지를 받았는데, 그의 "모튼의 포크"는 귀족들이 증가된 세금을 확실히 납부하도록 하는 캐치 22 방법이었다: 적은 돈을 쓴 귀족들은 많은 돈을 절약했을 것이고, 따라서 증가된 세금을 낼 수 있었을 것이다; 반대로, 많은 돈을 쓴 귀족들은 분명히 증가된 세금을 낼 수단을 가지고 있었다.헨리는 또한 1486년의 재개를 통해 토지를 취득함으로써 부를 증가시켰는데, 이는 그가 교회와 그의 개인 그리고 그의 [44]왕국을 지키는 것에 초점을 맞추면서 지연되었다.[43]
많은 사람들에게 빚을 진 변덕과 정당한 절차의 부족은 그의 유산을 더럽힐 것이고 위원회가 광범위한 [45]학대를 폭로한 후 헨리 7세의 죽음으로 곧 끝이 났다.현대 역사학자 폴리도르 베르길에 따르면, 단순한 "욕심"은 헨리의 말년에 [46]왕실의 통제가 지나치게 강조된 수단을 강조했다고 한다.헨리 7세가 죽은 후, 헨리 8세는 그가 가장 싫어하는 두 명의 세금 징수원 리처드 엠슨과 에드먼드 더들리를 반역죄로 [47]처형했다.
헨리 7세는 무게의 기준으로서 파운드 아부아르두포이를 제정했다; 그것은 후에 제국적이고[48] 관습적인 [48]단위 체계들의 일부가 되었다.1506년 그는 헨리 6세 치하에서 시작한 케임브리지 킹스 칼리지 채플의 건설을 재개하여 그가 [49]죽은 후에도 계속될 재정을 보장하였다.
대외 정책
헨리 7세의 정책은 평화를 유지하는 동시에 경제적 번영을 창출하는 것이었다.어느 정도까지는 그는 성공했다.레동 조약은 1489년 2월에 앙리와 브르타뉴의 대표자들 사이에 체결되었다.협정 조건에 따라 헨리는 도베니 경의 지휘 하에 (브르타뉴의 희생으로) 6000명의 군대를 보냈다.그 협정의 목적은 프랑스가 브르타뉴를 합병하는 것을 막는 것이었다.존 M에 따르면.Currin, 조약은 영국과 브레튼의 관계를 재정립했다.헨리는 프랑스에서 Guyenne과 다른 잃어버린 Plantagenet의 권리를 되찾기 위해 새로운 정책을 시작했습니다.이 조약은 프랑스의 브르타뉴 침공에 대한 중립에서 [50]이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으로 전환되었다.
헨리는 나중에 Etaples에서 프랑스와 조약을 맺어 영국의 금고에 돈을 들여왔고, 프랑스가 Perkin Warbeck와 같은 영국 왕위 계승자를 지지하지 않을 것을 보장했다.그러나 헨리가 1492년 11월 브르타뉴를 소규모로 침공하면서 이 조약은 대가를 치르게 되었다.헨리는 브르타뉴를 프랑스의 손에 넣지 않기로 결심하고, 이를 위해 스페인과 동맹을 맺었고,[51] 6,000명의 군대를 프랑스로 보냈다.브르타뉴 정치의 혼란스럽고 까다로운 성격은 그의 노력을 약화시켰고, 결국 24,000파운드의 비용을 들여 세 번의 대규모 원정 끝에 실패로 돌아갔다.하지만, 프랑스가 이탈리아 전쟁에 더 관심을 갖게 되자, 프랑스인들은 기꺼이 에타플스 [52]조약에 동의하였다.헨리는 1492년 [citation needed]10월에 불로뉴를 포위함으로써 프랑스군을 압박했다.헨리는 왕이 되기 전까지 프랑스 왕위나 그 신하들의 재정적, 육체적 보호를 받아왔다.그러나 그의 지위를 강화하기 위해 그는 조선에 보조금을 지급하여 해군을 강화하였고(1495년 포츠머스에 있는 유럽 최초의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건선 도크를 위탁) 무역 [citation needed]기회를 개선하였다.원래 제노바와 베니스 출신인 존 카봇은 브리스톨에서 온 배들이 아일랜드 서쪽에서 미지의 새로운 발견 지역을 발견했다는 소식을 들었다.런던의 피렌체 은행가들로부터 재정적인 지원을 받은 카봇은 1496년 3월 헨리로부터 조심스럽게 표현된 편지 특허를 받아 서쪽으로 탐험 여행을 떠날 수 있게 되었다.카봇이 어디에 상륙했는지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는 결국 왕으로부터 연금을 받았다; 카봇은 나중에 실패한 탐험 [53]후에 바다에서 죽은 것으로 추정된다.
헨리 7세는 새롭게 통합된 스페인 왕국의 중요성을 인식한 최초의 유럽 군주들 중 한 명이었다; 그는 메디나 델 캄포 조약을 체결했고, 이 조약으로 그의 아들인 웨일스의 왕 아더는 [54]아라곤의 캐서린과 결혼했다.그는 또한 그의 딸 마가렛 튜더를 스코틀랜드의 왕 제임스 4세와 약혼시킨 스코틀랜드와의 영구 평화 조약을 체결하였다.이 결혼으로 헨리 7세는 스코틀랜드와 프랑스 사이의 올드 동맹을 깨기를 원했다.비록 이것은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헨리의 손녀 엘리자베스 [citation needed]1세가 사망한 후, 마거릿의 증손자 제임스 6세와 내가 이끄는 영국과 스코틀랜드 왕실의 결합으로 이어졌다.헨리는 또한 신성 로마 황제 막시밀리안 1세와 동맹을 맺고 교황 인노첸시오 8세를 설득하여 헨리의 [citation needed]왕좌에 대한 모든 가식자들에 대한 파문이라는 교황 칙서를 발표했습니다.
1506년, 기사단장 에머리 당부아즈는 십자군 [55]원정에 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헨리 7세에게 기사단의 수호자이자 후원자가 되어달라고 부탁했다.나중에, 헨리는 1507년 교황 율리우스 2세와 편지를 주고받았고, 그곳에서 그는 그에게 기독교 왕국 사이의 평화를 확립하고 오스만 [56]제국의 터키에 대항하는 원정을 조직하도록 격려했다.
무역 협정
헨리 7세는 염색 원단의 [57]화학 고정제로 양모와 옷감 거래에 사용된 명반을 거래함으로써 훨씬 더 풍요로워졌다.명반은 유럽의 한 지역에서만 채굴되었기 때문에 희귀 상품이었고, 따라서 토지 소유자인 교황에게 특히 가치가 있었다.영국의 경제가 양모 생산에 많이 투자되면서, 헨리 7세는 1486년에 명반 무역에 관여하게 되었다.이탈리아의 상인 은행가인 Lodovico della Fava와 이탈리아 은행가인 Girolamo Prescobaldi의 도움으로, 헨리 7세는 선박을 허가하고,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명반을 얻고, 그것을 저지대 국가들과 영국에 [58]팔면서 무역에 깊이 관여하게 되었다.톨파 광산이 교황의 영토의 일부였고 교황에게 [citation needed]명반에 대한 독점권을 주었기 때문에, 이 무역은 비싼 상품을 싸게 만들었고, 교황 율리우스 2세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경제와 관련하여 헨리의 가장 성공적인 외교적 업적은 1496년의 마그누스 인터쿠르수스("위대한 협정")이다.1494년 헨리는 페르킨 워벡에 대한 부르고뉴의 마가렛의 지원에 대한 보복으로 부르고뉴 네덜란드와의 무역(주로 양털)을 금지했다.플랑드르 양털 무역의 독점권을 누렸던 상인 모험가들은 앤트워프에서 칼레로 이전했다.동시에, 플랑드르 상인들은 영국에서 쫓겨났다.그 논쟁은 결국 헨리를 위해 결실을 맺었다.양측은 무역 감소로 서로 불이익을 당했다는 것을 깨달았다.매그너스 인터커서스에 의한 복원은 영국 상인에 대한 세금을 없애고 영국의 부를 크게 증가시키는 데 있어 영국에 매우 유익했다.그 후 앤트워프는 발트해에서 온 상품, 동쪽에서 온 향신료, 이탈리아산 비단 등을 영국 [59]옷과 교환하는 매우 중요한 무역항이 되었다.
1506년 헨리는 부르고뉴 공작 필립 1세로부터 윈저 조약을 갈취했다.필립은 영국 해안에서 난파되었고, 헨리의 손님인 동안 네덜란드를 희생시키면서 영국에 유리한 협정으로 왕따를 당해 말루스 인터쿠르수스("악의 협정")로 불리게 되었다.프랑스, 부르고뉴, 신성로마제국, 스페인, 한자 동맹은 발효되지 않은 조약을 모두 거부했다.필립은 [60]협상 직후 사망했다.
법 집행 기관과 치안 판사
헨리의 주된 문제는 장미 전쟁으로부터 회복된 왕국에서 왕권을 회복하는 것이었다.너무 많은 강력한 귀족들이 있었고, 소위 서자 봉건제도의 결과로, 각 귀족들은 계약된 가신들의 개인 군대(종업원으로 가장한 용병들)[citation needed]에 해당하는 것을 가지고 있었다.에드워드 4세의 예를 따라, 헨리 7세는 그의 아들 아서를 위해 웨일즈와 행진곡을 만들었는데, 이것은 웨일즈와 행진곡, 체셔와 [61][62][63]콘월을 통치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는 귀족들이 자신에게 충성한다면 그들의 지역적 영향력을 허용하는 것에 만족했다.예를 들어, 스탠리 가문은 랭커셔와 체셔의 지배권을 가지고 있었고, 그들이 법을 준수한다는 조건으로 평화를 유지했다.다른 경우에는, 그는 그의 지나치게 강력한 신하들을 법령에 의해 굴복시켰다.그는 "사랑"(상류층이 그들의 지지자들에게 배지와 엠블럼을 줌으로써 과시하는 것)과 "유지"(너무 많은 남성 "하인"을 유지하는 것)에 반대하는 법을 통과시켰다.이 법들은 그가 [citation needed]위협으로 인식한 사람들에게 벌금을 부과하는 데 약하게 이용되었다.
그러나 그의 주요 무기는 스타 챔버 코트였다.이것은 추밀원의 소규모(신뢰받는) 그룹을 개인 또는 특권 법원으로 사용하는 이전의 관행을 되살려 복잡한 법체계를 뚫고 신속하게 행동할 수 있게 했다.개인 권력의 사용, 즉 왕권에 대한 위협과 관련된 심각한 분쟁들이 이렇게 [64]다루어졌다.
헨리 7세는 대규모의 전국적인 규모로 치안판사를 고용했다.그들은 모든 샤이어에 임명되었고 한번에 1년 동안 복무했다.그들의 주요 임무는 그들의 지역에서 국가의 법이 준수되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그들의 힘과 숫자는 튜더 왕조 기간 동안 꾸준히 증가했는데, 헨리의 [65]통치 기간보다 더 늘어난 적은 없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헨리는 그들의 권력과 영향력을 제한하고 싶어했고, 그가 귀족들에게 했던 것과 같은 원칙을 평화 재판관들에게 적용했다: 이러한 지방 [citation needed]관리들에게 그들의 높은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했던 상류층과 귀족 모두에게 적용되는 것과 유사한 유대감과 인정의 체계.
의회의 모든 법령은 치안 판사들이 감독했다.예를 들어 1495년 배심원 부패방지법에 따라 치안판사가 배심원단을 교체할 수 있다.도량형 검사 [citation needed]등 각종 행정업무도 담당했다.
1509년까지, 치안판사들은 헨리 7세에게 법과 질서의 핵심 집행관이 되었다.그들은 미납되었고, 이것은 현대 기준에 비해 법 집행을 위한 더 적은 세금 청구서를 의미했다.지역 신사들은 그 사무소를 지역 영향력과 명성 중 하나로 보았고, 따라서 기꺼이 봉사하려 했다.전반적으로, 이것은 헨리에게 효율의 측면과 중세 [citation needed]귀족들의 풍토적인 부패를 줄이는 방법 둘 다로 성공적인 정책 영역이었다.
만년과 죽음

1502년, 헨리 7세의 삶은 어렵고 개인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헨리 7세는 그와 가까운 많은 사람들이 연이어 죽었습니다.그의 첫 아들이자 후계자인 웨일즈 왕세자 아서가 루드로 성에서 갑작스럽게 사망했는데, 이는 당시 "잉글랜드 땀병"[66]으로 알려진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것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이것은 헨리 7세의 둘째 아들인 요크 공작 헨리를 왕위 계승자로 만들었다.평소에는 화를 내지 않는 한 대중 앞에서 많은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내성적인 성격이었던 왕은 아들의 죽음에 대한 극심한 슬픔과 흐느낌으로 신하들을 놀라게 했고, 반면 여왕에 대한 그의 걱정은 엘리자베스 여왕의 죽음에 대한 반응처럼 행복한 결혼이었다는 증거이다.아무한테도 [67]말 안 하고 며칠째요헨리 7세는 엘리자베스의 죽음으로 인해 산산조각이 났고, 그녀의 죽음은 그에게 [68]심각한 영향을 끼쳤다.
헨리는 스페인 동맹을 유지하기를 원했다.따라서, 그는 교황 율리우스 2세로부터 헨리 왕자가 그의 동생의 미망인 캐서린과 결혼하도록 허락받았고, 그렇지 않았다면 교회에서 결혼이 불가능했을 관계였다.엘리자베스는 출산 중에 죽었기 때문에 헨리는 또한 캐서린과 결혼하는 것을 허락받았다.허가를 받은 후 헨리는 아들과 캐서린의 결혼에 대해 다시 생각했다.캐서린의 어머니 이사벨라 1세는 죽고 캐서린의 여동생 조안나는 그녀의 뒤를 이었다. 따라서 캐서린은 오직 한 명의 군주의 딸이었고 헨리 7세의 후계자 배우자로서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았다.그 결혼은 그의 생전에 이루어지지 않았다.그렇지 않으면, 아버지가 아라곤의 캐서린과 결혼을 주선했을 때, 미래의 헨리 8세는 너무 어려서 캐논법에 따라 결혼 계약을 맺을 [69]수 없었고 14세까지 결혼 자격이 없을 것이다.
헨리는 재혼해서 더 많은 상속인을 낳겠다는 건 건성으로 계획을 세웠지만, 결국 아무 성과도 거두지 못했다.그는 스페인과의 동맹을 갱신하기 위해 재혼할 생각을 즐겼다 – 나폴리의 여왕 조안나, 카스티야의 여왕 조안나, 사보이 공작부인 마가렛 (카스티야의 조안나의 처제) 모두 [70]고려되었다.1505년 그는 나폴리의 조안나와의 결혼 가능성에 충분히 관심이 있어서 27세의 조안나의 신체 [71]적합성에 대해 보고하기 위해 나폴리에 대사를 보냈다.결혼식은 성사되지 않았고 헨리가 대사들과 함께 보낸 그가 새 부인에게 원하는 것에 대한 신체적 묘사는 그의 아내 [citation needed]엘리자베스에 대한 묘사와 일치했다.
1503년 이후, 기록에 따르면 런던 탑은 헨리 7세에 의해 왕궁으로 사용되지 않았고 헨리 8세 치하의 모든 왕실의 탄생은 [72]궁궐에서 행해졌다.헨리 7세는 알려진 정부들을 갖지 못한 소수의 영국 군주들 중 한 명이고, 그가 재혼하지 않은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 그의 아들 헨리는 그의 아내의 죽음 후에 남겨진 유일한 남자 후계자였기 때문에, 아서 왕가의 죽음은 [citation needed]튜더 왕가에 불안정한 정치적 위치를 만들었다.
그의 생전에 귀족들은 종종 헨리 7세가 런던에서 권력을 다시 집중시킨 것에 대해 비판했고, 후에 16세기 역사학자 프랜시스 베이컨은 그가 세법을 시행한 방법에 대해 무자비하게 비판했지만 헨리 7세가 그의 개인 재정에 대한 자세한 기록을 유지하는 것에 부지런했던 것은 반펜 후반까지 마찬가지로 사실이다.이것들과 그의 여왕의 지출에 대한 상세한 회계장부 한 권은 영국 국립문서보관소에 남아 있으며, 신하들과 왕의 많은 친서에 대한 기록도 남아 있다.[73]그의 아내가 죽기 전까지, 헨리는 널리 알려진 것보다 더 헌신적인 아버지이자 남편이었다는 증거가 이 회계 장부들에서 분명했고 그의 겉으로 엄격한 성격이 그의 가족에 대한 헌신을 거짓으로 했다는 증거가 있다.친척들에게 보내는 편지는 그의 어머니 마가렛에게 쓴 많은 편지들에서 입증되었듯이 공식적인 국가 업무에서는 포착되지 않은 애정어린 어조를 가지고 있다.많은 출품작들은 필수품뿐만 아니라 그의 아내와 아이들을 위해 그의 지갑을 후하게 풀어준 한 남자를 보여준다: 1491년 봄에 그는 그의 딸 메리를 위해 거액의 금을 썼고, 이듬해 그는 엘리자베스의 메나지를 위해 사자를 위해 돈을 썼다.엘리자베스의 죽음과 함께, 그러한 가족의 면죄부를 받을 가능성은 크게 줄어들었다.[74]그 직후 헨리는 매우 아파서 거의 죽을 뻔했고, 그의 어머니 마가렛 보퍼트만 그의 근처에 남겨두었다. "사적으로, 아무도 [75][76]헨리를 의지하지 않았으면 좋겠다."헨리의 고충을 더욱 악화시킨 것은 그의 큰 딸 마가렛이 이전에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4세와 약혼을 했고, 그녀의 어머니가 죽은 지 몇 달도 지나지 않아 그녀는 그녀의 아버지가 그녀를 국경까지 호위해야 했다는 것이다. 그는 그녀를 다시는 [77]볼 수 없을 것이다.마가렛 튜더는 그녀의 아버지에게 향수병을 선언하는 편지를 썼지만 헨리는 가족의 상실을 애도하고 스코틀랜드 [78]왕과 합의한 평화 조약의 조건을 존중하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헨리 7세는 1509년 4월 21일 리치몬드 궁전에서 결핵으로 사망했고 그의 아내 엘리자베스 [79]옆에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있는 예배당에 묻혔다.그의 뒤를 이어 둘째 아들 헨리 8세 (재위 1509–47)가 영국에서 [80][81]개신교 개혁을 일으켰다.그의 어머니는 두 달 뒤인 1509년 [82]6월 29일에 세상을 떠났다.
외모와 성격
상냥하고 의기양양한 헨리는 태도가 품위있어도 친절했고, 그가 매우 똑똑하다는 것이 분명했다.그의 전기 작가인 Chrimes 교수는 그가 왕이 되기 전부터 "높은 개인적 매력, 자신감을 불어넣는 능력, 그리고 약삭빠른 결단력에 대한 평판"을 그에게 돌렸다.외견상,[27][83] 그는 건강이 나빠서 조금 약해보였을지도 모른다.
레거시 및 메모리
역사학자들은 항상 헨리 7세를 그의 대륙 동시대인들, 특히 프랑스의 루이 11세와 아라곤의 페르디난드 2세와 비교해왔다.1600년에 이르러 역사학자들은 헨리가 다른 군주들로부터 정치학에 대한 교훈을 얻는 지혜를 강조했다.1622년 프랜시스 베이컨은 헨리 7세의 통치사를 출판했다.1900년까지 "신군주제"의 해석은 각 나라의 군주제 권력의 부활을 이끈 공통적인 요소들을 강조했다.이 접근법은 국가 발전의 유사성과 차이에 대한 곤혹스러운 의문을 제기했다.20세기 후반에 헨리가 루이와 [84]페르디난드를 덜 닮은 유럽 국가 형성의 모델이 두드러졌다.
가족
헨리 7세와 엘리자베스는 7명의 [b]자녀를 두었다.
- 아서(1486년 9월 19일–1502년 4월 2일), 출생부터 사망까지 명백한 후계자(전설의 [86]아서 왕의 이름을 따서 명명)
- 마거릿(1489년 11월 28일–1541년 10월 18일), 제임스 4세의 아내이자 그들의 아들 제임스 5세의 섭정
- 헨리 8세 (1491년 6월 28일–1547년 1월 28일), 헨리 7세의 후계자
- 엘리자베스 (1492년 7월 2일-1495년 9월 14일)
- 메리(1496년 3월 18일–1533년 6월 25일), 당시 서퍽 공작 찰스 브랜든의 아내였던 루이 12세의 아내로서 잠시 프랑스의 여왕
- 에드먼드(1499년 2월 21일~1500년 6월 19일), 서머셋 공작이라고 칭했지만 정식으로 귀족을[87] 만든 적은 없었다.
- 캐서린 (1503년 2월 2일 ~ 1503년 2월 10일)
요크 왕가와 랭커스터 왕가에 대한 헨리 7세의 입장(선택 차트)[88] | ||||||||||||||||||||||||||||||||||||||||||||||||||||||||||||||||||||||||||||||||||||||||||||||||||||||||||||||||||||||||||||||||||||||||||||||||||||||||||||||||||||||||||||||||||||||||||||||||||||||||||||||||||||||||||||||||||||||||||||||||||||||||||||||||||||||||||||||||||||||||||||||||||||||||||||||||||||||||||||||||||||||||||||||||||||||||||||||||||||||||||||||||||||||||||||||||||||||||||||||||||||||||||||||||||||||||||||||||||||
---|---|---|---|---|---|---|---|---|---|---|---|---|---|---|---|---|---|---|---|---|---|---|---|---|---|---|---|---|---|---|---|---|---|---|---|---|---|---|---|---|---|---|---|---|---|---|---|---|---|---|---|---|---|---|---|---|---|---|---|---|---|---|---|---|---|---|---|---|---|---|---|---|---|---|---|---|---|---|---|---|---|---|---|---|---|---|---|---|---|---|---|---|---|---|---|---|---|---|---|---|---|---|---|---|---|---|---|---|---|---|---|---|---|---|---|---|---|---|---|---|---|---|---|---|---|---|---|---|---|---|---|---|---|---|---|---|---|---|---|---|---|---|---|---|---|---|---|---|---|---|---|---|---|---|---|---|---|---|---|---|---|---|---|---|---|---|---|---|---|---|---|---|---|---|---|---|---|---|---|---|---|---|---|---|---|---|---|---|---|---|---|---|---|---|---|---|---|---|---|---|---|---|---|---|---|---|---|---|---|---|---|---|---|---|---|---|---|---|---|---|---|---|---|---|---|---|---|---|---|---|---|---|---|---|---|---|---|---|---|---|---|---|---|---|---|---|---|---|---|---|---|---|---|---|---|---|---|---|---|---|---|---|---|---|---|---|---|---|---|---|---|---|---|---|---|---|---|---|---|---|---|---|---|---|---|---|---|---|---|---|---|---|---|---|---|---|---|---|---|---|---|---|---|---|---|---|---|---|---|---|---|---|---|---|---|---|---|---|---|---|---|---|---|---|---|---|---|---|---|---|---|---|---|---|---|---|---|---|---|---|---|---|---|---|---|---|---|---|---|---|---|---|---|---|---|---|---|---|---|---|---|---|---|---|---|---|---|---|---|---|---|---|---|---|---|---|---|---|---|---|---|---|---|---|---|---|---|---|---|---|---|---|---|---|---|---|---|---|---|---|---|---|---|---|---|---|---|---|---|---|---|---|---|---|---|---|---|---|---|---|---|---|---|---|---|---|---|---|---|---|---|---|---|---|---|---|
|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레퍼런스
인용문
- ^ "Tudor Pembroke Ymddiriedolaeth Harri Tudur Henry Tudor Trust". www.henrytudortrust.org.uk.
- ^ Breverton, Terry (15 May 2016). Henry VII: The Maligned Tudor King. Amberley Publishing Limited. ISBN 9781445646060 – via Google Books.
- ^ "BBC Wales – History – Themes – Pembroke The Main Street".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 ^ Rogers & Turvey 2000.
- ^ 켄달 1973, 13페이지
- ^ 윌리엄스 1973, 17페이지
- ^ 켄달 1973, 페이지 156
- ^ a b 1999년 3페이지
- ^ Davies, Norman. The Isles – A History. pp. 337–379.
- ^ a b 맥키 1952, 페이지 47
- ^ 맥키 1952, 54페이지
- ^ 스타키 2006, 페이지 4
- ^ Marilee Mongello. "Tudor Monarchs – Henry VII, one". Englishhistory.net. Retrieved 7 February 2013.
- ^ a b 윌리엄스 1973, 19페이지
- ^ Soden, Iain (2013). "Rooms with no view". Royal Exiles: From Richard the Lionheart to Charles II. Amberley Publishing. ISBN 9781445612034.
- ^ Breverton, Terry (2016). Henry VII: The Maligned Tudor King. Amberley Publishing. ISBN 9781445646060.
- ^ 1977년, 65페이지
- ^ a b 윌리엄스 1973, 페이지 25
- ^ 켄달 1973, 페이지 297
- ^ "Henry Tudor's landing site". History Points. Retrieved 14 January 2019.
- ^ Rees, David (1985). The Son of Prophecy: Henry Tudor's Road to Bosworth. London: Black Raven Press. ISBN 978-0-85159-005-9.
- ^ 켄달 1973, 361페이지
- ^ 윌리엄스 1973, 31페이지
- ^ Chrimes 1999, 페이지 50
- ^ "Westminster Abbey website: Coronations, Henry VII and Elizabeth of York". Retrieved 4 March 2013.
- ^ 위어 2007, 7페이지
- ^ a b Chrimes 1999, 페이지 53
- ^ 모건 1988, 페이지 709
- ^ Chrimes 1999, 페이지 72
- ^ 2011년 10월, 22-23페이지
- ^ 위어 1995, 190페이지
- ^ Chrimes 1999, 페이지 72
- ^ Chrimes 1999, 페이지 51
- ^ Chrimes 1999, 페이지 69
- ^ 윌리엄스 1973, 페이지 62
- ^ Chrimes 1999, 페이지 69-70
- ^ Arthurson, Ian (2009). The Perkin Warbeck Conspiracy. History Press Limited. ISBN 978-0750939898.[페이지 필요]
- ^ Arthurson, Ian (1997). The Perkin Warbeck Conspiracy, 1491–1499. Sutton. p. 215. ISBN 9780750916103.
- ^
앞의 문장 중 하나 이상에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 스티븐스 1876, 176-177페이지
- ^ 1977년, 페이지 119
- ^ Chrimes 1999, Chrimes 1999
- ^ Chrimes 1999, 페이지 203
- ^ Chrimes 1999, 페이지 123
- ^ 2011년 10월, 371페이지
- ^ 가이 1988, 272~273페이지
- ^ 2013년 1월, 55페이지
- ^ a b "pound avoirdupois". Sizes, Inc. 17 April 2012. Retrieved 13 September 2016.
1497–1558 – Henry VII authorizes standard. & A unit of mass = 453.592 37 grams (now, technically, the international pound), now used chiefly in the United States, but since the 16th century the most commonly encountered unit of mass throughout the English-speaking world. The magnitude of the pound avoirdupois has varied less than 1% since the middle of the 14th century.
- ^ Hunt & Towle 1998, 88페이지
- ^ 존 M. 커린, "헨리 7세와 레돈 조약 (1489년) : 플랜타제네트의 야망과 초기 튜더 외교 정책"이력 81.263(1996년): 343~358.온라인 카레, 1996년.
- ^ 맥키 1952, 97페이지
- ^ Currin 2000, 379–412페이지
- ^ Chrimes 1999, 페이지 228-230
- ^ 워니케 2000, 페이지 103
- ^ 1976년 세튼, 47페이지
- ^ 세튼 1976, 50페이지
- ^ 2011년 10월, 페이지 201
- ^ 2011년 10월, 203-204페이지
- ^ 윌리엄스 1973, 167-168페이지
- ^ 윌리엄스 1973, 198-201페이지
- ^ Horrox, Rosemary (2004). "Arthur, prince of Wales (1486–1502)".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nline ed.).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ref:odnb/705. Retrieved 7 October 2013. (구독 또는 영국 공공도서관 회원권 필요) (설명 필요)
- ^ Griffiths, Ralph (1972). "Wales and the Marches in the Fifteenth Century". In Chrimes, Stanley; Ross, Charles; Griffiths, Ralph (eds.). Fifteenth Century England, 1399–1509: Studies in Politics and Society. Bristol: Sutton Publishing. pp. 145–72. ISBN 9780064911269.
- ^ Chrimes 1999, 페이지 249-256
- ^ 윌리엄스 1973, 페이지 178
- ^ 맥컬록 1996, 39~42페이지
- ^ 2011년 10월, 페이지 70
- ^ Chrimes 1999, 페이지 302-304
- ^ 위어 2013, 페이지 404
- ^ 2013년 10월, 페이지 204
- ^ Bergenroth, G A. "Calendar of State Papers, Spain: Supplement To Volumes 1 and 2, Queen Katherine; Intended Marriage of King Henry VII To Queen Juana". British History Online. Retrieved 7 August 2020.
- ^ Schwarz, Arthur L. (2009). "Henry's Father Searches for a New Wife". VIVAT REX! An Exhibition Commemorating the 500th Anniversary of the Accession of Henry VIII. The Grolier Club. p. 58. ISBN 978-1605830179.
- ^ Herman, Peter C. (21 March 2011). A Short History of Early Modern England. John Wiley & Sons. ISBN 9781444394993.[페이지 필요]
- ^ "Domestic and foreign policy of Henry VI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June 2015. Retrieved 16 November 2015.
- ^ "Henry VII Winter King". Queen to History.
- ^ Chrimes 1999, 페이지 304
- ^ 2013년 10월, 110-113페이지
- ^ "Queen Margaret's Arch York Civic Trust". Retrieved 9 March 2020.
- ^ "Tudor Times". Tudor Times. Retrieved 9 March 2020.
- ^ Chrimes 1999, 페이지 313-314, n5
- ^ Hunt & Towle 1998, 페이지 69
- ^ 락커 2014, 페이지 88
- ^ "Margaret Beaufort, Countess of Richmond". Westminster Abbey. Retrieved 10 January 2021.
- ^ 데스몬드 수워드, 장미의 전쟁 318페이지
- ^ Gunn 2009, 380-392페이지
- ^ Chrimes 1999, 페이지 67 n3
- ^ Wagner & Schmid 2011, 페이지 1104.
- ^ Chisholm, Hugh, ed.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25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385. .
- ^ 1972년 Chrimes, 혈통 선택:I 및 II
참고 문헌
- Chrimes, Stanley B. (1972). Henry VII (1 ed.). Methuen Publishing. ISBN 9780413285904.
- Chrimes, Stanley B. (1977). Henry VII (2 ed.).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413384003.
- Chrimes, Stanley B. (1999). Henry VII (3 ed.).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0-02266-9.
- Currin, John M. (November 2000). "'The King's Army into the Partes of Bretaigne': Henry VII and the Breton Wars, 1489–1491". War in History. 7 (4). doi:10.1177/096834450000700401. S2CID 154603131.
- Elgin, Kathy (2013). Henry VIII: The Charismatic King who Reforged a Nation. Arcturus Publishing. p. 55. ISBN 9781782128595.
- Gunn, Steven (August 2009). "Politic history, New Monarchy and state formation: Henry VII in European perspective". Historical Research. 82 (217): 380–392. doi:10.1111/j.1468-2281.2009.00492.x.
- Guy, John (1988). "The Tudor Age (1485–1603)". In Morgan, Kenneth O. (ed.). The Oxford History of Britai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285202-1.
- Hunt, Jocelyn; Towle, Carolyn (1998). Henry VII. Longman History in Depth. New York: Longman. p. 88. ISBN 978-0-582-29691-6.
- Kendall, Paul Murray (1973). Richard the Third. Sphere Books. ISBN 978-0-351-17095-9.
- Lockyer, Roger (2014). Henry VII. Taylor & Francis. p. 88. ISBN 9781317894322.
- MacCulloch, Diarmaid (1996). "The Consolidation of England 1485–1603". In Morrill, John (ed.).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Tudor and Stuart Britai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289327-7.
- Mackie, John Duncan (1952). The Earlier Tudors, 1485–1558.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217060.
- Morgan, Kenneth O. (1988). The Oxford History of Britai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285202-1.
- Penn, Thomas (2011). Winter King – Henry VII and The Dawn of Tudor England (1 ed.). London: Simon & Schuster. ISBN 978-1-4391-9156-9.
- Penn, Thomas (12 March 2013). Winter King: Henry VII and the Dawn of Tudor England (Reprint ed.). Simon and Schuster. ISBN 978-1439191576.
- Rogers, Caroline; Turvey, Roger (2000). Henry VII. London: Hodder & Stoughton Educational. ISBN 978-0-340-75381-1.
- Setton, Kenneth Meyer (1976). The Papacy and the Levant, 1204–1571.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ISBN 9780871691613.
- Starkey, David (2006). Monarchy: From the Middle Ages to Modernity. New York: Harper Perennial. ISBN 978-0-00-724766-0.
- Stephens, W. R. W (1876). Memorials of the South Saxon See and Cathedral Church of Chichester. London: Bentley.
- Wagner, John; Schmid, Susan Walters (2011). Encyclopedia of Tudor England. Santa Barbara: ABC-CLIO. ISBN 978-1-59884-298-2.
- Ward, Kevin (2006). A History of Global Anglican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008662.
- Warnicke, Retha M. (2000). The Marrying of Anne of Cleves: Royal Protocol in Early Modern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179690.
- Weir, Alison (1995). The Princes in the Tower. New York: Ballantine. ISBN 978-0-345-39178-0.
- Weir, Alison (2007). The Six Wives of Henry VIII. New York: Grove Press. ISBN 9780802198754.
- Weir, Alison (2013). Elizabeth of York: The First Tudor Queen. Random House. ISBN 9781448191383.
- Williams, Neville (1973). The Life and Times of Henry VII. London: Weidenfeld and Nicolson. ISBN 978-0-297-76517-2.
역사학
- 앵글로, 시드니'죽음의 병'헨리 7세의 사후 명성,"르네상스 연구 1 (1987) : 27-47. 온라인.
외부 링크

- Gairdner, James (1891). Lee, Sidney (e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Vol. 26. London: Smith, Elder & Co. pp. 67–94. . In
- 헨리 7세의 튜더 플레이스 페이지
- Janina Ramirez와 Jonathan Foyle의 부부침대 토론: 아트 탐정 팟캐스트, 2017년 2월 15일
추가 정보
- Ashley, Mike (2002). British Kings & Queens. Carroll & Graf. pp. 280–286. ISBN 978-0-7867-1104-8.
- Cooper, J. P. (1959). "Henry VII's Last Years Reconsidered". Historical Journal. 2 (2): 103–129. doi:10.1017/S0018246X00022056. JSTOR 3020534. S2CID 162609810.
- Cunningham, Sean (2007). Henry VII. New York: Routledge. ISBN 978-0-415-26620-8.
- Elton, G. R. (1961). "Henry VII: A Restatement". Historical Journal. 4 (1): 1–29. doi:10.1017/S0018246X00022184. JSTOR 3020379.
- Fritze, Ronald H. (1991). Historical Dictionary of Tudor England, 1485–1603. Greenwood Publishing Group. ISBN 978-0313265983.
- Gunn, Steven (2007). "Henry VII in Context: Problems and Possibilities". History. 92 (307): 301–17. doi:10.1111/j.1468-229X.2007.00397.x.
- Morrill, John (1996).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Tudor and Stuart Britai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William Stubbs (1886). "The Reign of Henry VII. (1): (April 24, 1883.)". Seventeen lectures on the study of medieval and modern history and kindred subjects: 334–352. Wikidata Q107248208.
- William Stubbs (1886). "The Reign of Henry VII.: (April 25, 1883.)". Seventeen lectures on the study of medieval and modern history and kindred subjects: 353–371. Wikidata Q107248250.
- Towle, Carolyn; Hunt, Jocelyn (1998). Henry VII. New York: Longman. ISBN 978-0-582-29691-6.
- Weir, Alison (2011). Britain's Royal Families: The Complete Genealogy. London: Vintage. ISBN 978-1-446-44911-0.
- Weir, Alison (2002). Henry VIII: King and Court. London: Pimlico. ISBN 978-0-7126-6451-6.
- Wernham, R.B. (1966). Before the Armada: the growth of English foreign policy, 1485–1588. OCLC 530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