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윌슨 호지
Henry Wilson Hodge헨리 윌슨 호지 | |
---|---|
![]() 헨리 윌슨 호지, 1915년 경 | |
태어난 | 미국 워싱턴 D.C. | 1865년 4월 14일
죽은 | 1919년 12월 21일 뉴욕, 뉴욕, 미국. | (54세)
파묻힌 | |
얼리전스 | 미국 |
서비스/지점 | 군대 |
근속년수 | 1917–1919 |
순위 | 대령 |
보유된 명령 | 도로관리자 수석 엔지니어 철도청장 |
전투/와이어 | 제1차 세계 대전 |
헨리 윌슨 호지 대령(Henry Wilson Hodge, 1865년 4월 14일 ~ 1919년 12월 21일)은 미국의 토목 기술자 겸 브리지 디자이너였다.그는 알프레드 P와 함께 엔지니어링 회사인 볼러 앤 호지스를 공동 설립했다. 볼러는 여러 나라에 수많은 다리를 설계했고, 울워스 빌딩, 싱어 빌딩, 뉴욕시의 쿠나드 빌딩 등 철강 건물을 지었다.그는 1916년부터 1917년까지 뉴욕시의 공공서비스위원회에서 근무했으며, 제1차 세계대전 중에는 미 육군 대령으로 근무하면서 프랑스에 있는 미국 원정군의 모든 철도 구조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었다.
조기생활과 교육
1865년 4월 14일, 워싱턴 D.C.에서 태어난 그는 존 레드야드 호지(1834–1902)와 수잔 새비지 윌슨(1838–1911)의 아들이었다.[1]워싱턴 D.C.의 영스 사립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15세의 나이에 웨스트 버지니아 산에서 열린 체서피크와 오하이오 철도 측량 파티에 참가하였다.그는 1885년에 렌셀라이어 폴리테크닉 연구소를 졸업했다.[2]그는 1918년 렌셀라이어로부터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다.[3]
공학 경력
호지는 피닉스 브릿지 컴퍼니에서 경력을 시작해 6년간 그곳에서 일했다.1891년, 그는 뉴욕의 유니온 아이언웍스의 수석 엔지니어로 일했고, 2년 후 유니언 아이언웍스를 떠나 독립 엔지니어링 컨설턴트로 일했다.1895년에 그는 알프레드 P를 위해 일하기 시작했다. 볼러와 1899년, 그의 전 상사와 함께 엔지니어링 회사 볼러&호지를 공동 설립했다.그 회사는 하워드 C가 추가되면서 확장되었다.베어드는 볼러, 호지 & 베어드가 되었다.[4]1912년 볼러가 죽은 후, 회사는 호지, 베어드로 개명되었다.[2]
그는 콕토, 오클라호마, 걸프만 철도, 북방철도를 포함한 미국의 다중 철도 확장을 위한 다리들뿐만 아니라 멕시코, 브라질, 필리핀의 국가 철도를 위한 모든 다리들을 설계했다.[2]그는 캔틸레버 다리를 설계했다. 피츠버그의 모농가헬라 강과 스투벤빌의 오하이오 강을 건너 와바시 철도를 위해.그는 하트포드, 올드 세이브룩, 이스트 해담 스윙 브리지 등 코네티컷 강에 걸쳐 있는 세 개의 다리를 설계했다.그는 캐나다 정부에 퀘벡 대교의 설계를 돕기 위해 컨설팅 엔지니어로 고용되었다.[4]
그는 한동안 포터필드 건설 회사의 사장으로 일했다.[5]그는 울워스 빌딩, 싱어 빌딩, 쿠나드 빌딩, 그리고 뉴욕시의 다른 건물들의 건설의 엔지니어였다.[6]그는 여러 프로젝트에 대해 조언하고 자문했다; 1916년 1월, 그는 뉴욕시의 공공 서비스 위원회의 지하철 확장 공사를 감독하는 직책을 수락했다.[2]제1차 세계대전에서 복무를 마치고 돌아온 후, 뉴욕과 뉴저지 자동차 터널의 컨설팅 엔지니어 이사회의 일원으로 활동했다.[7]
군경력
1891년경, 호지는 뉴욕주 방위군 제7연대에 입대했고, 그 후 기술 장교 예비군단에 임무를 부여받았다.미국이 제1차 세계대전에 돌입하자 호지스는 공익위원을 사임하고 1917년 7월 소령 계급으로 프랑스로 항해를 떠났다.퍼싱 장군의[9] 참모로 미국 원정군 군 철도국장을[8] 지냈고, 프랑스 주둔 미 육군의 철도 구조 업무를 담당했다.도로 관리자와 군사 교량 담당 수석 기술자 등을 역임하기도 했다.[2]
1917년 10월 16일에 중령으로, 1918년 8월 13일에 대령으로 진급하였다.그는 미국으로 돌아왔고 1919년 1월 22일 명예롭게 제대했다.[2]
프로페셔널 멤버십
그는 렌셀라이어 폴리테크닉 인스티튜트, 뉴욕 대학교, 프린스턴 신학교의 관리 위원회에서 근무했다.[11]그는 크니커보커 병원장을 역임했다.[12]1914년 그는 장로교 재외공관장로회 회원이 되었다.[11]
호지는 미국 토목 공학 협회, 미국 컨설팅 엔지니어 협회, 캐나다 토목 공학 협회의 회원이었다.[13]
개인생활 및 말년
그는 1897년 12월 14일 조지아주 사바나에서 사라 밀스 호지로 불리는 사라 커닝햄 밀스와 결혼했다.[14][3]
프랑스에서 돌아온 후 호지의 건강은 쇠퇴하기 시작했다.1919년 12월 21일 뉴욕에서 색전증으로[9] 사망했으며 필라델피아 로렐 힐 묘지에 안치되었다.[3]
참조
- ^ James Terry White (1927). "Henry Wilson Hodge". The National Cyclopaedia of American Biography. Retrieved November 23, 2013.
- ^ a b c d e f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ume 46, Part 1.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1920. pp. 701–705. Retrieved April 4, 2022.
- ^ a b c The Princeton Seminary Bulletin, Volumes 14-17. Princeton, NJ: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May 1920. p. 9. Retrieved April 5, 2022.
- ^ a b The Street Railway Journal. New York: McGraw Publishing Company, Inc. 1916. p. 107. Retrieved April 7, 2022.
- ^ "Col. H.W. Hodge, Engineer Dies". Times-Union. December 22, 1919. p. 12. Retrieved April 10, 2022 – via Newspapers.com.
- ^ The Princeton Seminary Bulletin, Volumes 14-17. Princeton, NJ: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May 1920. p. 8. Retrieved April 5, 2022.
- ^ The Bulletin of the General Contractors Association, Volume 11. The General Contractors Association. January 1920. p. 50. Retrieved April 6, 2022.
- ^ Colby, Frank Moore (1920). The New International Year Book. New York: Dodd, Mead & Company. p. 329. Retrieved April 7, 2022.
- ^ a b "Col. H. W. Hodge Dead. Noted Bridge Engineer Succumbs To Embolism In New York. Relatives Hear The News. He Was Director Of Railroads For The A. E. F. When The Armistice Was Signed". New York Times. December 23, 1919. Retrieved November 23, 2013.
- ^ Armed Forces Journal. Army and Navy Journal, Incorporated. 1924. p. 83. Retrieved April 7, 2022.
- ^ a b The Princeton Seminary Bulletin, Volumes 14-17. Princeton, NJ: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May 1920. pp. 17–18. Retrieved April 5, 2022.
- ^ Reports, Constitution, By-Laws and List of Members of the Century Association for the Year 1920. New York: The Knickerbocker Press. p. 38. Retrieved April 5, 2022.
- ^ The Princeton Seminary Bulletin, Volumes 14-17. Princeton, NJ: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May 1920. pp. 8–9. Retrieved April 5, 2022.
- ^ "If We Forget, Who Will Remember?". savannahherald.net. Retrieved April 10,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