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버트 벤슨
Herbert Benson허버트 벤슨 | |
---|---|
태어난 | 1935년(86-87세) 욘커스, 뉴욕, 미국 |
국적 | 미국인의 |
모교 | 하버드 의대 |
로 알려져 있다. | 대기도 실험 벤슨-헨리 연구소 |
배우자 | 마릴린 벤슨 |
아이들. | 2, 제니퍼와 그레고리 |
과학 경력 | |
필드 | 의학, 생리학 |
기관 | 하버드 의대 베스 이스라엘 병원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앤도버 뉴턴 신학대학원 |
허버트 벤슨(Herbert Benson, 1935년 출생)은 미국의 의사, 심장학자, 보스턴 매사추세츠 종합병원(MGH)의 마인드/바디 메디컬 인스티튜트(Mind/Body Medical Institute)의 설립자다. 하버드 의대 심신의학과 교수, MGH의 벤슨-헨리 연구소(BHI) 명예 이사로 미국 스트레스 연구소의 창립 수탁자다. 그는 190개 이상의 과학 출판물과 12권의 책을 기고했다.[1] 그의 책은 5백만 부 이상이 다른 언어로 인쇄되었다.[2][3]
1998년 시작된 벤슨은 이른바 '위대한 기도 실험', 즉 기술적으로 '중간기도의 치료 효과 연구(STEP)'의 리더가 됐다.[4] 2006년에 발표된 결과는 중보기도가 관상동맥우회술 수술 환자들에게 유익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결론지었다.[5] 그러나 그는 여전히 기도가 긍정적인 건강상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6]
벤슨은 명상을 위한 과학적 용어로서 이완 반응(그리고 같은 제목의 책을 썼다)을 만들어 냈고, 근육과 장기의 이완을 자극하는 신체의 능력을 설명하는 데 그것을 사용했다.[7]
전기
벤슨은 뉴욕 욘커스에서 태어났다. 그는 1957년 웨슬리안 대학에서 생물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 의과대학의 의과대학에 입학하여 1961년 MD학위를 취득하였다. 그는 시애틀의 킹 카운티 병원, 워싱턴 대학, 시애틀 대학 병원, 국립 심장 연구소, 베데스다, 푸에르토리코 대학, 보스턴 시립 병원의 손디케 기념 연구소에서 박사 후 과정을 계속했다. 1969년에 그는 생리학 강사로 임명되었고 후에 하버드 의과대학의 의학 강사로 임명되었다. 그는 이듬해 의대 조교수로 승진했다. 1972년부터 그는 부교수가 되었다. 그는 1987년까지 재임했던 1977년 베스 이스라엘 병원의 부교수로 임명되었다. 그리고 나서 그는 하버드의 의학 교수진으로 돌아왔다. 1992년 하버드대 정신·신체의학연구소가 설립되면서 부교수가 됐고, 현재는 전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1974년부터 베스 이스라엘 병원의 개업 의사다. 1990년과 1997년 사이에 그는 뉴턴 센터의 앤도버 뉴턴 신학 학교에서 의학과 종교 강사로 일했다.[8][9]
벤슨은 1988년에 하버드 의과대학의 정신/신체의학연구소 설립자가 되었다. 그는 2006년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의 벤슨-헨리 정신건강의학연구소를 설립하고 그곳에서 원장이 되었다.[10][1]
주목할 만한 프로젝트
마인드 보디 메디컬
1960년대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벤슨은 스트레스와 의학의 이완 반응에 초점을 맞추어 심신 연구를 개척해 왔다.[11] 그의 연구에서 심신은 명상이 스트레스 반응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하나의 시스템이다. 그는 계속해서 바디 마인드 질문에 대한 의학 연구를 개척하고 있다. 그는 명상을 위한 과학적 대안으로 이완 반응이라는 용어를 소개했다. 그에 따르면 이완 반응은 신체의 근육과 장기의 활동 감소를 유도하는 능력이다. 전투비행 대응과는 정반대의 반응이다.[7] 로버트 키스 월리스와 함께, 그는 이완 반응이 신진대사, 호흡 속도, 심박수, 뇌 활동을 감소시킨다고 관찰했다.[1][12]
중보기도
1998년 벤슨은 관상동맥우회술(CABG) 수술을 받는 환자들 사이에서 기도의 효능에 대한 연구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존 템플턴 재단의 자금 지원을 받은 이 프로젝트는 그 목적이 신의 존재를 증명하거나 반증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4] 이번 '중간기도의 치료효과 연구(STEP)'는 '위대한 기도 실험'[13]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기도가 병을 치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장 강도 높은 조사'로 묘사됐다.[14] 그 재판은 세 그룹의 환자로 이루어진 결과들, 즉 (1) 그들이 기도받고 있는지, 누가 기도받고 있는지, (2) 그들이 기도받고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 (3) 누가 그것을 확신하고 있는지를 위해 기도하고 있는 세 그룹의 결과들 간에 차별화를 시도했다. 2006년에 발표된 결론은 중간 기도가 CABG 환자에게 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5][15][16] 사실, 중보기도를 받는 것의 확실성은 더 높은 합병증 발생률과 관련이 있었다.
사생활
벤슨은 마릴린 벤슨과 결혼했고, 그들에게는 제니퍼와 그레고리라는 두 아이가 있다.[9]
수상 및 명예
- 1961년 하버드 의대 모스비 장학상
- 1997년 Becker College, 2002년 Lasell College, 2007년 Massachusetts School of Professional Sychology에서 DHL(명예)
- 1967-1969년 의료재단 펠로우십
- 1976년 미국 심장전문대학 펠로
- 1976년 의료 셀프 케어상
- 1988년 중국 행동의학회와 바이오피드백 명예회장
- 1992년 웨슬리언 대학교 동문상
- 2000년 시더 크레스트 칼리지 DPS(명예)
- 2000년 한스 셀리상
- 2002년 사마리아인 연구소의 국가 사마리아인 상
- 2009년 캘리포니아주 UCLA의 Cousins Center for Sycentoneuroimmunology에서 받은 Mani Bhaumik Awards
출판물
- '긴장 대응' 1975. ISBN978-0-688-02955-5
- 정신/신체 효과: 1979년, 행동 의학이 어떻게 당신에게 더 나은 건강의 길을 보여줄 수 있는가. ISBN 978-0-671-24143-8
- 이완 반응 너머, 1984
- 당신의 최대 마인드, 1987
- '출연자 - '마인드 사이언스: 다니엘 골레만과 로버트 A.F. Thurman Editors, Wise Publishments, 1991. ISBN 978-0-86171-066-9
- 웰니스 북, 1992
- 시대를 초월한 치유: 믿음의 힘과 생물학, 1996. ISBN 978-0-7881-5775-2
- 이완 반응 - 갱신 및 확대 (25주년 기념판), 2000년
- 브레이크아웃 원칙, 2003
- 2004년 폐경기에 대한 마인드 오버
- Mind Your Heart, 2004. ISBN 978-0-7432-3702-4
- 하버드 의대 혈압 낮추기 가이드, 2006. ISBN 978-0-07-144801-7
- 2010년 이완 혁명. ISBN 978-1-4391-4865-5
참조
- ^ a b c "Dr. Herbert Benson". Benson-Henry Institute for Mind Body Medic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July 2014. Retrieved 12 July 2014.
- ^ "Dr. Herbert Benson". The Legacy of Wisdon Project. Retrieved 12 July 2014.
- ^ "2000 Hans Selye Award". The American Institute of Stress. Retrieved 12 July 2014.
- ^ a b Dusek, Jeffery A.; Sherwood, Jane B.; Friedman, Richard; Myers, Patricia; Bethea, Charles F.; Levitsky, Sidney; Hill, Peter C.; Jain, Manoj K.; Kopecky, Stephen L.; Mueller, Paul S.; Lam, Peter; Benson, Herbert; Hibberd, Patricia L. (2002). "Study of the therapeutic effects of intercessory prayer (STEP): Study design and research methods". American Heart Journal. 143 (4): 577–584. doi:10.1067/mhj.2002.122172. PMID 11923793.
- ^ a b Benson, Herbert; Dusek, Jeffery A.; Sherwood, Jane B.; Lam, Peter; Bethea, Charles F.; Carpenter, William; Levitsky, Sidney; Hill, Peter C.; Clem, Donald W.; Jain, Manoj K.; Drumel, David; Kopecky, Stephen L.; Mueller, Paul S.; Marek, Dean; Rollins, Sue; Hibberd, Patricia L. (2006). "Study of the Therapeutic Effects of Intercessory Prayer (STEP) in cardiac bypass patients: A multicenter randomized trial of uncertainty and certainty of receiving intercessory prayer". American Heart Journal. 151 (4): 934–942. doi:10.1016/j.ahj.2005.05.028. PMID 16569567.
- ^ "Dr Herbert Benson: Prayer Has a Therapeutic Effect". VISUAL MEDITATION. Retrieved 12 July 2014.
- ^ a b Mitchell, Marilyn (29 March 2013). "Dr. Herbert Benson's Relaxation Response". Psychology Today. Sussex Publishers, LLC. Retrieved 12 July 2014.
- ^ Benson, Herbert (2011). "Curriculum Vitae" (PDF).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Retrieved 12 July 2014.
- ^ a b "Benson, Herbert, 1935- . Papers, 1960–2003: A Finding Aid". Oasis: Harvard University Library.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26 August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7-03. Retrieved 12 July 2014.
- ^ "About the Benson-Henry Institute for Mind Body Medicine". Benson-Henry Institute for Mind Body Medic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July 2014. Retrieved 12 July 2014.
- ^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벤슨-헨리 정신건강의학연구소, https://www.bensonhenryinstitute.org/about/mission-and-history
- ^ Emory, Margaret (15 December 2011). "Dr. Herbert Benson on the Mind/Body Connection". BrainWorld. Retrieved 12 July 2014.
- ^ Gamble, Dave (30 June 2013). "Scientific Studies of Prayer – the good, the bad, and the really really ugly". Skeptical Science. Retrieved 12 July 2014.
- ^ Weissmann, G. (2006). "NIH funding: not a prayer". The FASEB Journal. 20 (9): 1278–1280. doi:10.1096/fj.06-0701ufm. PMID 16816099. S2CID 12540423.
- ^ "Study of the Therapeutic Effects of Intercessory Prayer (STEP)". John Templeton Found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une 2014. Retrieved 12 July 2014.
- ^ Cromie, William J. (6 April 2006). "Prayers don't help heart surgery patients". Harvard University Gazette.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4-30. Retrieved 12 July 2014.
추가 출처
- 벤슨, 허버트(1976년). 이완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한 단계. RelaxationResponse.org. Relation Resprom The Relaxation Response. 하퍼토치
- Benson, Herbert; Lehmann, John W.; Malhotra, M. S.; Goldman, Ralph F.; Hopkins, Jeffrey; Epstein, Mark D. (1982). "Body temperature changes during the practice of g Tum-mo yoga" (PDF). Nature. 295 (5846): 234–236. Bibcode:1982Natur.295..234B. doi:10.1038/295234a0. PMID 7035966. S2CID 4272584.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1-07-07.
- 벤슨, 허버트(1998) 스트레스 받는 세상에서 건강하게 지내라. 게일 해리스와 함께하는 PBS 바디 & 소울 PBS 온라인: 비컨 프로덕션.
- 캐리, 베네딕트(2006) 오랫동안 기다려온 의학 연구 기도의 힘에 대해 질문한다. 3월 31일. 뉴욕 타임스
- 키즐링, 스티븐, 그리고 T. 조지 해리스(1989년). 기도전쟁-허버트 벤슨의 기도의 건강상 이익에 대한 연구. 10월 심리학 오늘.
외부 링크
- 벤슨-헨리 마음과 몸을 위한 연구소 홈페이지
- 벤슨-헨리 정신건강의학연구소
- 웨이백 머신에서 이완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한 단계(2005년 2월 15일 기록)
- 정신-신체 운동에서 영성이 논쟁의 지점으로 떠오른다.
- Inner Calm: 벤슨, 인류 공개 라디오에서 휴식기법 설명
- 허버트 벤슨 논문은 하버드 의대 카운트웨이 도서관에 있는 의학사 센터에서 찾을 수 있다.
- "명상은 체온을 변화시킨다" – 명상에 관한 하버드 대학의 연구 기사로 체온을 조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