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먼 바빈크

Herman Bavinck

허먼 바빈크
HermanBavinckBig.jpg
바빈크 1913년
태어난(1854-12-13)13 1854년 12월
네덜란드 후게빈
죽은1921년 7월 29일 (1921-07-29) (66)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정당반혁명당
배우자
요한나 A. 쉬퍼스
(m. 1891)
[1]
교회생활
종교크리스티안 (콘티넨탈 리폼드)
교회기독교개혁교회
서수드c. 1881[2]
학력
모교
논문슐레이어마허가 성경의[3] 전시에 미친 영향에 대한 간결한 실증
박사학위 자문위원얀 헨드리크 숄텐[3]
영향
학술사업
규율신학
하위 수양독단신학
학교 또는 전통신칼비니즘
기관
주목할 만한 작품리폼드 도그매틱스(1895–1901)
영향받은

헤르만 바빈크(Herman Bavinck, 1854–1921)는 네덜란드의 칼뱅 신학자 겸 교회 신학자였다. 그는 아브라함 쿠이퍼, B. B. 워필드 등과 함께 칼뱅주의 전통에 있어서 중요한 학자였다.

전기

배경

바빈크는 1854년 12월 13일 네덜란드의 후게베인 마을에서 신학적으로 보수적이고 기독교 분리주의적인 기독교 개혁교회(크리스텔리케 게레파티르데 케르크)의 목사인 독일인 아버지 얀 바빈크(1826~1909)에게서 태어났다. 고등학교 교육을 받은 후, 바빈크는 1873년 캄펜에 있는 신학 학교에 처음 진학했으나, 캄펜에서 1년을 보낸 후 라이덴으로 건너가 추가 훈련을 받았다. 그는 학생일기 노트에 그 무렵 라이덴에서도 목회하고 있던 요하네스 헨드리쿠스 도너[nl] 목사의 설교로 학문을 옮기려는 동기가 생겼다고 썼다. 요하네스 숄텐, 아브라함 쿠엔 등 쟁쟁한 학력으로 공부했고, 마침내 1880년 라이덴 대학교를 졸업하고 울리히 즈윙리의 윤리학 논문을 완성했다.

1년 후, 바빈크는 캄펜에 있는 신학 학교의 독학 교수로 임명되었다. 그곳에서 복무하는 동안 그는 일찍이 정통 칼뱅주의자들이 헤르보름데 케르크 주에서 탈퇴하여 형성된 자신의 교파를 보좌하기도 했는데, 이 교파 역시 헤르보름데 케르크에서 탈퇴한 제2의 대규모 이탈운동과 합병하면서 "아프시딩"(세션)이라 불리는 탈퇴운동이 일어났다. 아브라함 쿠이퍼(Abraham Kuyper)의 운동인 '돌란티(Doleantie)' (고소: 1618–19) 도르트 민족회의 이전에 아르미니즘에 반대했던 정통 개혁파 각료들이 사용한 용어들을 역사적 언급하였다.

현재 연합된 교회는 '아프게셰이덴'과 '돌렌덴'을 네델란드(GKiN)의 게르페르데 케르켄으로 통합했다. 합병의 결과로 GKiN은 아프스키팅 교회의 분모 신학교를 이어받았고 그 신학교는 훨씬 더 큰 새 교회 내의 동료들과 사람들의 전환을 완화하기 위해 바이빈크가 머물렀던 GKiN의 분모 신학교가 되었다. 이미 아프케셰이덴이 톨레렌덴과 합병했을 때, 연합에 잔류한 세케르족의 소수파가 있었는데, 그들은 크리스텔리케 게르페르테데 케르켄(CGK)이라는 새로운 교파를 결성하고, 아펠도른 마을에 그들만의 신학대학원을 설립하였다.

암스테르담으로 이동

이러한 모든 발전 속에서, 바빈크는 그의 강의, 연구, 글쓰기, 출판 등을 계속 추구하여 정통 칼뱅주의 신학자이자 교회인으로서의 특색 있는 명성을 얻었다.

최근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의 주도로 설립된 암스테르담 자유대학(VU)은 사상의 모든 분야에서 리폼드된 학문의 보루가 되려는 의도였다. 캄펜 신학교와 달리 성직자를 양성하는 신학부를 포함한 자유대학은 국가와 모든 교회 교파로부터 독립했다. 그러나 물론 신학은 몇 십 년 동안 VU의 초기 주요 관심사였다. 그래서, 바이빈크는 VU 교수진에 처음 초빙되었을 때, 외견상 독립적으로 보이는 환경에서, 신학 연구에서 자신과 관련된 것을 가르치는 것의 장점을 따져 보아야 했다. 쿠이퍼와 같은 교직원이 있었으니 꽤 붐비는 기분이 들게 되었을지도 모른다.

암스테르담으로 오라는 아브라함 쿠이퍼의 초대를 여러 차례 거절한 끝에 마침내 바빈크는 쿠이퍼의 청원을 받아들였다. 1902년 그는 암스테르담의 자유대학 신학 교수로 쿠이퍼의 뒤를 이었다. 쿠이퍼 자신은 다른 작업 부하를 개발했고, 단순히 자신을 대체할 수 있는 최고의 인재를 원했다. 그리하여 바이빈크는 다본의 Gerefoliteerde Dogmatiek 초판을 이미 출판하고 있는 등 대도시로 옮겨갔다. 그는 명망 있고 존경받는 곳에 도착했다. 그는 교직생활의 남은 기간 동안 VU에 머물렀다. 1906년에 그는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 되었다.[14] 1911년, 그는 네덜란드 의회의 상원의원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80년 '학교 전쟁'이 모든 학교에 정부 지원을 부여함으로써 종식될 때까지, 국가 재정적인 도움 없이, 제개혁주의자들이 그들만의 기독교 학교를 짓도록 격려하는 것을 도왔다.

1908년 그는 미국을 방문하여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스톤 강연을 했다.

바빈크는 암스테르담에서 1921년 7월 29일 사망했다.

바빈크와 쿠이퍼

불가피하게 그는 그의 동시대인 아브라함 쿠이퍼와 비교되었다. 바이빈크의 첫 전기 작가인 J. H. Landwehr는 두 사람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바이빈크는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였고, 쿠이퍼는 플라토닉 정신을 가지고 있었다. Bavinck은 명확한 개념을 가진 사람이었고, Kuyper는 다재다능한 아이디어를 가진 사람이었다. Bavinck는 역사적으로 주어진 사람들과 함께 일했고, Kuyper는 직관을 통해 추측적으로 일을 진행하였다. 바이빈크는 주로 귀납적 사고였고, 쿠이퍼는 주로 연역적 사고였습니다." 바이빈크와 쿠이퍼의 생각의 주요한 차이점은 "Common Grace"라는 교리와 "Anterstabrict"라는 교리를 대조하는 신학적 용어로 주로 공식화된다. 바빈크는 공통의 은혜(Common Grace)를 강조했고, 쿠이퍼는 (때로는 심각하게) 대척점을 강조했다. GKiN의 두 가지 양립적이고 논쟁적인 전통과 그 회원국에서 흘러나온 신칼빈주의 기독교 사회 운동을 지정하게 된 두 입장을 비교한 것은 제이콥 클랩바이크의 중요한 개혁 철학 작품인 "Crapwijk"에서 제시된다.

신학

바빈크의 계시 교리

바빈크는 프리드리히 슐레이어마허의 폭로 교리의 주관주의적 경향에 의해 야기되는 공개적인 질문을 감지했다. 계시 교리에서 객관주의와 주관주의 문제를 깊이 우려한 그는 슐레이어마허의 계시 교리를 나름대로 채용하고 성경을 신학 연구의 객관적 표준으로 여겼다. 바빈크는 기독교의 의식과 경험을 형성하는 교회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출처: 병훈우, 허먼바빈크, 칼바스)

출판물

이 절에는 영어로 된 바이빈크의 글(알파벳 순서)만 수록되어 있다.

  • 크리스천 월드뷰. 나다니엘 그레이 수탄토, 제임스 에글린튼, 코리 C가 번역·편집했다. 브록. 위튼: 크로스웨이, 2019. (원본: 1904; 제2판에서 번역된 영문판)
  • 종교, 과학, 사회에 관한 에세이. 해리 분스트라, 게리트 쉬레스 번역 John Bolt가 편집했다. Grand Rapids: Baker Academy, 2008.
  • 설교와 설교자의 허먼 바빈크. 제임스 P에 의해 번역되고 편집되었다. 에글린튼. 피바디: 헨드릭슨, 2017년
  • 시작 부분: 창조 신학의 기초. John Bolt가 편집했다. 존 빈즈가 번역했다. 그랜드 래피즈: 베이커, 1999.
  • 우리의 합리적인 믿음. 헨리 질스트라가 번역했다. Grand Rapids: 에르드만, 1956. (원문: 1909)
    • 업데이트된 버전: 신의 놀라운 작품: 개혁적 고백에 따른 기독교에서의 가르침. 헨리 질스트라와 나다니엘 그레이 수탄토(Foreword)가 번역했다. 글렌사이드: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출판부, 2019.
  • 개신교. John Bolt가 편집했다. 존 빈즈가 번역했다. 4권. 그랜드 래피즈: 베이커, 2003-2008. (원래: 게르개혁에르데 도그마티크,[15] 1895-1901)
    • 제1권 프로레고메나
    • 제2권 신과 창조
    • 제3권 신과 구원
    • 제4권 성령, 교회, 새로운 창조
  • 개략도: 하나의 볼륨에서 요약. John Bolt가 편집했다. 그랜드 래피즈: 베이커 아카데미, 2011.
  • 개혁 윤리학. John Bolt가 편집했다. 그랜드 래피즈: 베이커 아카데믹, 2019년형.
    • 제1권 창조·낙하·전환한 인간성
  • Saved By Grace: 소명과 재생에 있어서 성령의 일. 넬슨 D가 번역했다. 클루스터맨. J. Mark Beach 편집. Grand Rapids: 2013년 개혁 유산 도서.
  • 신의 교리. William Hendriksen이 번역하고 편집했다. 에든버러: 진실의 기, 1977.
  • 크리스천 패밀리. 넬슨 D가 번역했다. 클루스터맨. Grand Rapids: 크리스천 도서관 출판부, 2012. (원문: 1908)
  • 마지막 내용: 이 세상과 다음 세상을 위해 희망하라. John Bolt가 편집했다. 존 빈즈가 번역했다. 그랜드 래피즈: 베이커, 1996.
  • 계시의 철학: 프린스턴 신학교 1908-1909년 스톤 강의 뉴욕: Longmans, Green, Co., 1909.
    • 업데이트된 버전: 계시의 철학: 새로운 주석이 추가된 버전. 코리 브록과 나타니엘 그레이 수탄토가 편집했다. 피바디: 헨드릭슨, 2018년
  • 찬양의 희생: 주의 식탁에 오르기 전과 후의 명상. 존 돌핀이 번역했다. Grand Rapids: 루이 크레겔, 1922. (원문: 1901)
    • 업데이트된 버전: 찬양의 희생. 카메론 클라유싱과 그레고리 파커가 번역하고 편집했다. 피바디, 헨드릭슨: 2019.

기사:

  • Bavinck, Herman (1892). "Recent Dogmatic Thought in the Netherlands (Translated by Geerhardus Vos)". The Presbyterian and Reformed Review. 3 (10): 209–28.
  • Bavinck, Herman (1894). "The Future of Calvinism (Translated by Geerhardus Vos)". The Presbyterian and Reformed Review. 5 (17): 1–24.
  • Bavinck, Herman (1910). "The Reformed Churches in the Netherlands". The Princeton Theological Review. 8 (3): 433–60.
  • Bavinck, Herman (1992). "The Catholicity of Christianity and the Church" (PDF). Calvin Theological Journal. 27 (2): 220–251.
  • 바빈크, 허먼(2017년). "My Train to America". 조지 하린크가 편집했다. 제임스 에글린튼이 번역했다. 더치 크로싱: 저지국 연구 저널. 41:180–93.

참고 항목

참조

각주

  1. ^ 에글린튼 2020.
  2. ^ a b 에글린튼 & 브레우티감브 2013, 페이지 38.
  3. ^ a b 브록 2018, 페이지 107.
  4. ^ 브록 2018, 페이지 47; 에글린튼 2013, 페이지 85.
  5. ^ 브록 2018, 페이지 44.
  6. ^ 브록 2018.
  7. ^ Van Engen 2001, 페이지 145.
  8. ^ Bolt, John (7 April 2011). "Herman Bavinck". Escondido, California: Westminster Seminary California. Retrieved 26 December 2020.
  9. ^ 브록 2018, 페이지 92; 엥겔스마 2012, 페이지 56.
  10. ^ Eglinton, James (12 July 2011). "Dutch Inspiration for Tim Keller". Translated by Kloosterman, Nelson. Grand Rapids, Michigan: Bavinck Institute. Retrieved 26 December 2020.
  11. ^ 반 데어 월트 2016, 페이지 2
  12. ^ 오도넬 2011, 페이지 71–72.
  13. ^ & 미샤 2007년 745페이지.
  14. ^ "Herman Bavinck (1854 - 1921)".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Retrieved 26 July 2015.
  15. ^ Herman Bavinck, Gerefriceerde Dogmatiek I increating www.neocalvinisme.nl.

인용된 작품

자원.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