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로스트라투스 (영화)
Herostratus (film)헤로스트라투스 | |
---|---|
![]() | |
연출자 | 돈 레비 |
작성자 | 돈 레비 |
에 기반을 둔 | 헤로스트라투스 |
생산자 | 돈 레비 제임스 퀸 |
주연 | 마이클 고타드 가브리엘라 리쿠디 안토니우스 폴 피터 스티븐스 헬렌 미렌 |
시네마토그래피 | 키스 앨럼스 |
음악 기준 | 하림 엘다브 존 메이어 |
배포자 | BBC 영국 영화 협회[1] |
출시일자 |
|
러닝타임 | 142분 |
나라들. | 영국 호주. |
언어 | 영어 |
헤로스트라투스는 돈 레비가 감독하고 제작한 1967년 드라마 영화로 제임스 퀸의 도움을 받아 제작되었다.이 영화는 권태와 명성에 대한 열망에서 나온 맥스(마이클 고타드)라는 젊은 시인의 뒤를 따르며, 그는 시장상인 파슨(피터 스티븐스)과 함께 공공장소에서 자살을 준비한다.파슨은 자신의 자살을 언론의 이목을 끄는 구경거리로 만드는 데 동의하고, 자신의 목표를 돕는 매력적인 여성 클리오(가브리엘라 리쿠디)를 소개한다.이 영화에는 안토니우 폴과 모나 해먼드(모나친으로 칭함)와 헬렌 미렌이 첫 주연으로 출연한다.[2]
이 영화의 초기 개봉은 유럽의 영화제와 아트하우스 영화관에 한정되었고, 더 넓은 영화 개봉은 없었다.[3]2009년에 이 영화는 BFI 플립사이드 시리즈의 일부로 영국 영화 연구소에 의해 다시 개봉되었다.[4]이 영화의 초기 리셉션과 재상영 당시 리셉션 모두 크게 엇갈렸으며, 많은 비평가들이 이 영화에 대해 더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대중의 반응은 대체로 더 부정적이었다.
이 영화는 당시의 소비주의와 광고 산업을 비판하며,[5] 또한 죽음, 도시화, 그리고 그 시대의 증가하는 반문화 운동을 주제로 다루고 있다.[3][6]레비는 영화의 정서적 영향을 높이려는 목적으로 이 영화의 제작에 많은 비정통적인 연출 기법을 사용했는데,[7] 그 중 일부는 영화 제작진의 다른 멤버들을 크게 괴롭혔다.[8]
시놉시스
헤로스트라투스는 느슨하게 따라붙은 줄거리와 다른 순서 사이에 의미심장한 컷을 가진 실험적인 스타일로 말해진다.이러한 장면들은 종종 등장인물의 감정에 대한 맥락이나 통찰력,[3][9] 또는 레비의 보다 직접적인 주제적인 메시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이 영화는 앨런 긴즈버그의 시 낭독, 소가 도살되고 처리되는 장면, 맥스, 파슨, 클리오의 상호 작용과 함께 반복되는 스트리피즈 장면 등을 폭넓게 다루고 있다.그것은 2차 세계대전이나 전후 런던의 도시 붕괴의 영향을 가장 잘 나타내는 많은 역사적 사건들의 영상을 추가로 수록하고 있다.[3][6]레비의 아내인 이네스 레비도 이런 장면에 다수 등장하는 검은 가죽을 입은 당당한 모습을 연기한다.
이 영화는 맥스가 흰 옷을 입고 런던 거리를 질주하는 장면으로 시작된다.그는 집이 낡고 원룸인 아파트로 돌아와 스피커를 통해 클래식 음악을 연주하기 시작하는데, 이 볼륨은 집주인이 그의 문을 쾅쾅 두드리게 하고 아파트에 사는 다른 사람들을 방해하는 것을 멈추라고 요구하는 것이다.결국 맥스는 음악을 멈추고 도끼를 집어들고, 그것을 이용하여 매니큐어 격분하여 실내의 용광로와 장식을 파괴한다.그의 방을 파괴한 후, 맥스는 건물 밖으로 뛰쳐나와 거리로 뛰쳐나간다.
그가 "파슨 광고"의 사무실에 도착하기 위해 거리를 거닐면서 여전히 도끼를 휘두르며 많은 행인들을 위협하고 있다.여기서 그는 파슨의 접수원 역할을 하고 있는 클리오를 만나, 자신이 세계에서 가장 큰 광고 기회를 가졌다고 그녀에게 선언한다.클리오가 맥스를 들여보내는 것에 동의하지 않고 그래서 그는 계속해서 그녀를 괴롭히고 결국 그녀의 책상에서 전화기를 움켜쥐고 파슨에게 직접 전화를 걸었다.
파슨을 만난 맥스는 자살 의사를 밝히고 맥스의 죽음을 목격할 수 있는 가능한 많은 사람들에게 제공하면서 그가 원하는 방식으로 사건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그에게 주겠다고 제안한다.파슨은 처음에 이 생각을 거절했지만 맥스가 계속해서 파슨과 클리오를 괴롭히면서 결국 그 제안을 받아들인다.합의에 이르자 파슨은 맥스가 자살할 날까지 머물 방을 마련하고, 택시를 시켜 맥스를 그곳으로 데려가라고 명령한다.
그런 다음 많은 장면들이 제시되는데, 반드시 시간순으로, 그리고 맥스가 파슨과 만난 후 시간에 지정되지 않은 지점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맥스가 자살할 날짜 이전에 일어나는 것이다.[3][7]
- 이름을 밝히지 않은 한 여성이 고무세척 장갑 브랜드 광고로 진행되면서 드러나는 버레스크 댄스를 선보이고 있다.그리고 나서 이 광고는 맥스가 무대 위에서 뛰어가는데, 맥스는 그 이름을 밝히지 않은 여자를 집어 들고 그녀와 영화 제작진 모두의 항의에 따라 무대 밖에서 그녀와 함께 뛰어다닌다.
- 파슨은 포인터(Antony Paul)에게 맥스를 소개하는데, 포인터(Antony Paul)는 파슨이 자살에 앞서 맥스의 대중적 이미지를 통제할 것이라고 말한다.이어 파슨과 포인터 측은 맥스와 함께 전달하고 싶은 이미지를 논의하고, 맥스의 자살이 어떤 목적이나 거창한 메시지를 갖기를 원한다는 점을 강조한다.맥스는 이 논의에 크게 화가 나 있으며, 자살로 인해 어떤 특별한 이미지를 구축하거나 전달하고 특정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참여하고 싶지 않다고 주장한다.그는 또한 파슨과 포인터가 평생 동안 가지려고 하는 통제 수준에 대한 혐오감을 표현한다.파슨은 맥스에게 자살은 계약상 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그 때까지 그는 그들에게 그들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하겠다고 약속했다고 상기시킨다.
- 맥스는 TV에서 자신과 자살 시도에 대해 토론하는 뉴스 보도를 시청하고 있다.뉴스 기자는 맥스의 자살에 대해 아무도 관심을 가질 것 같지 않거나, 그것을 보기 위해 누가 나타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한다.이 말을 들은 맥스는 화가 나서 영화 초반부터 똑같은 도끼를 사용하여 텔레비전을 파괴한다.
- 맥스는 TV 광고를 촬영하고 있는데, 이 광고에서 자살 의사를 밝힌 뒤 포인터에게 준비해온 대본은 더 이상 읽기를 거부한다.맥스의 거절로 포인터는 대본을 들고 대신 카메라로 읽는다.대본은 맥스의 자살이 사람들의 생활 방식을 바꾸려는 의도가 아니며, 대신 공동의 생활 방식을 바꾸려는 사람들에게 조심하라는 경고라고 밝히고 있다.맥스는 이 연설과 그 민족주의적인 주제들에 크게 화가 나 영화 스튜디오에서 뛰쳐나왔다.
맥스가 자살하기 전날 밤, 클리오는 밤늦게 자기 방에 도착한다.그들은 맥스의 다가오는 자살에 대해 토론하고, 클리오가 맥스에 대한 그녀의 공감을 표현했는데, 클리오가 맥스에게 자신이 주로 자살하기를 원한다는 것은, 맥스가 자신을 알아채거나 아끼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것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며, 자살을 함으로써 맥스가 멈추기를 바라는 일반 대중의 관심과 보살핌을 명령할 수 있을 것이라고 그녀에게 인정한다.클리오가 다시 맥스에 대한 공감과 배려를 표현하고, 두 사람은 섹스를 한다.이후 맥스는 클리오를 돌보고 보호해 주고 싶은 욕구를 표현하며 클리오가 살아 있는 자리가 훨씬 행복하다고 말한다.그들은 함께 잠이 들지만, 클리오가 밤중에 울면서 일어나 방을 나선다.그녀가 떠날 때, 그녀는 그들 두 사람을 감시해 온 파슨을 우연히 만나게 되고, 그는 그녀에게 그날 저녁이 어땠는지 물어본다.
맥스는 파슨에 의해 아침에 잠에서 깨어나 삶에 대한 새로운 열정을 보여준다.그는 파슨에게 자살하고 싶지 않으며, 자신의 상황에 매우 만족한다고 말한다.파슨은 맥스가 자신의 삶에서 의미 있는 것을 성취한 적이 없으며 자살로 고생하는 것이 무언가를 성취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라고 말하면서 이 결정에 대해 그를 비난한다.그러자 파슨은 클리오에게 전날 밤 맥스를 찾아가 위로하고 함께 자도록 돈을 지불했다고 폭로한다.이 말을 듣고 맥스는 고뇌에 사로잡혀 건물을 날린다.
맥스는 파슨과 포인터가 자살을 결심했던 건물 옥상으로 달려간다.옥상에서 맥스는 지하에 있는 메가폰으로 소리를 지르기 시작하고, 비록 그 당시 땅에는 사람이 없지만 건물 꼭대기에 있던 한 노동자의 관심을 끈다.맥스가 지붕에서 뛰어내릴 준비를 할 때 일꾼은 그를 가장자리에서 떼어내서, 그를 땅바닥에 쓰러뜨리려고 한다.두 사람이 싸우고 난투극 속에서 맥스는 일꾼을 건물 가장자리에서 때려눕힌다.일꾼을 때려눕히고 나서 맥스는 일꾼의 시체를 보고 일꾼의 죽음을 알아챈 다른 한 사람만을 보는 1층으로 뛰어간다.만약 그가 자살했다면 아무도 신경 쓰지 않았을 것이라는 것을 깨닫자 그는 현장이 혼란스러워졌다.맥스가 달리면서 그가 영화 초반에 달리던 장면이 영화 후반부의 이 장면과 같은 장면이었음이 밝혀져 그의 이야기에 주기적인 종말을 가져왔다.
동시에 클리오가 파슨에서 도망치는 것은 그녀의 행동이 맥스의 자살로 이어졌다고 믿기 때문에 혼란스러웠다.파슨이 그녀를 따라잡자 그녀는 그가 한 일에 대해 그를 질책하고, 파슨이 클리오에 대한 사랑으로 동기부여를 받았다는 것을 인정한 후 그녀는 그에게 무릎 꿇고 사과하라고 명령한다.파슨은 그러나 이것이 클리오의 기분을 나아지게 해주지는 못하고 그녀는 울음을 터뜨린다.그리고 나서 클리오가 혼란스럽고 혼자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그녀는 자신의 처지에서 벗어나고 싶다고 외치고, 화면 밖에서 알 수 없는 목소리가 나올 수 있다고 대답하며, 그러지 않기로 하고 있다.
캐스트
이 영화의 이름 없는 캐릭터들 중 일부는 힐다 마빈, 브리짓 세인트에 의해 연기된다.존, 말콤 머거리지, 비비안 마일스 그리고 (당시 알려지지 않은) 헬렌 미렌은 그녀의 첫 번째 영화 배역으로 출연했다.[2]
생산
돈 레비는 그리스의 헤로스트라투스의 전설에서 영감을 받아 1962년 이 전설과 소럴드 디킨슨의 감독 아래 슬레이드 미술대학의 대학원생 시절 알란 다이체스가 쓴 이야기에서 영화의 아이디어를 발전시켰다.[5][3][8]그는 이 영화를 위한 자금을 얻기 위해 영국 영화 연구소의 실험 영화 기금에 초안을 제시했고, 이 기금 회장인 마이클 발코니가 비서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 영화가 "어느 정도 모험적인 상업 회사를 위한 프로젝트"라고 쓰고, 이 영화의 상영회에서 "실망"을 표현하면서 거절당했다.cript.[3] 이와 마찬가지로, 그의 초기 제안서에서 레비는 60-80분짜리 영화를 제작하기 위해 3,235파운드를 요구했다.[3]기금을 담당하는 위원회는 레비가 그렇게 적은 예산으로 그 정도의 크기의 영화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는 믿지 않았으며, 또한 그러한 금액이 기금 가용 자원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것이라고 명시했다.[3][8]그러나, 발코니와 이 기금의 비서 스티븐슨에게 보낸 일련의 편지에서, 영화 감독이자 비평가인 바질 라이트는 이 영화와 그 대본에 상당한 지지를 보냈고, 이로 인해 실험 영화 기금은 이 영화의 제작비를 1,500파운드로 제공하게 되었다.[3][8]
레비는 당시 BBC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통제관인 Huw Weldon으로부터 추가적으로 1,500파운드의 기부를 제공받았으며, 제임스 퀸으로부터 1500파운드의 추가 기금을 받았다. 그는 이 영화가 컬러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레비의 예산 예측을 초과 달성했다.[8]이 모든 과정은 2년이 걸렸고, 1964년까지 레비는 영화를 예산 범위 내에서 유지하기 위해 제작진뿐만 아니라 영화계의 다른 사람들로부터 영재와 대여된 장비에 의존해야 할 정도로 제작비가 올랐다.[8]
사전제작
영화 캐스팅에서 레비는 즉흥 오디션을 통해 잠재 배우들을 섭렵하는데 상당한 시간을 들였고, 결국 주인공으로 마이클 고타드, 가브리엘라 리쿠디, 피터 스티븐스를 선택했다.[8]이러한 즉흥적인 오디션은 레비가 이 영화가 제시하는 감정적 현실을 고조시키려는 시도였으며,[8] 이 영화를 통해 그는 이 즉흥적인 연기를 이용하여 관객들에게 특정한 감정과 감정을 분명히 유도하려고 시도한다.[8][9]비록 그가 이 영화의 대본을 개발했지만, 배우들에게 사본이나 다른 특정한 방향은 주어지지 않았다.[8]
프로덕션/필밍
영화 내내 레비는 "극의 캐릭터들을 발전시키는 것"[8]을 목표로 "즉흥적이고 회상적인 매우 복잡한 과정"이라고 묘사한 것을 통해 인격화와 대화를 지휘했다.그는 이러한 기법들을 배우들의 잠재의식적인 감정을 앞으로 끌어내고, 그 속에서 관객들에게까지 확장되는 고조된 감정 상태를 만들어내기 위해 그가 '실험 심리학'[3]의 한 형태로 묘사한 과정 속에서 활용했다.[5][8][9]레비는 자신이 선택한 배우들과 그가 내린 감독적 결정들과 함께, 영화의 감정적 영향을 더욱 강화시킬 것이라는 믿음으로 도시 환경을 이용하여 런던에서의 로케이션에서 영화의 대부분을 촬영하는 것을 선택했다.[3][8]촬영은 1964년 8월 20일에 시작되었고, 1965년 4월에 끝나는데 8개월밖에 걸리지 않았다.[9]
후기제작
이 영화에는 많은 몽타쥬와 탈부착된 컷들뿐만 아니라 영화를 통해 각각 5번과 8번씩 반복되는 두 개의 인터컷 시퀀스가 포함되어 있다.[3][9]이러한 장면들은 레비가 주제적인 의미를 전달하고 관객들에게 뚜렷한 감정적 맥락을 제공하기 위해 활용했던 레비의 편집 스타일의 가장 두드러진 예를 제공한다.[3][5][6]이 영화는 또한 영화의 서술에 뚜렷한 시간대가 얽혀 있지 않은 플래시 포워드 시퀀스와 시퀀스로 비선형적으로 편집된다.[3]레비와 영화제작자 키스 앨런스도 이 영화의 색채에 심혈을 기울였는데,[3][5][8] 거의 모든 장면들이 어떤 형태의 색채 보정이나 노출의 변화를 담고 있었다.[5][8]영화 개봉 전 인터뷰에서 레비는 "색깔은 매우 세밀하게 통제되고 영화의 감정적인 힘과 결부되어 있다"[8]고 말했다.이 영화는 초기 스크립팅부터 총 6년이 걸린 1968년 5월 3일에 처음으로 공개 상영되었다.[2][3]
테마
감정
레비는 특히 일관성 있는 서사의 경험보다는 감정적으로 영화를 보는 관객의 경험에 관심이 많았고,[3][5][6] '감정 효과'를 연출하려는 의도로 영화와 관객 사이의 장벽을 깨고 싶었다.[8][10]슬레이드에 있을 때 그는 "영화 매체의 기법과 관련된 지각, 기억, 시간 감각, 감정의 문제를 조사하고 싶다"[11]고 썼고, 헤로스트라투스 전체에 걸쳐 많은 장면의 구성은 어떤 만연된 상징적 의미보다는 그들의 정서적 영향력에 달려 있다.[3][6]그의 에세이 "넌 나갈 수 있어:'Herostratus Now'의 비평가 암논 부흐바인더는 영화의 감정적 목적의 한 예로 반복되는 도살장과 스트리프타제 장면을 논하며, 이러한 장면들이 뚜렷한 상징적 의미를 전달하지는 않는다고 단언한다.[9]부흐바인더에게 이러한 시퀀스의 조합은 '육체의 결합과 육체의 노출'[9]의 본능적인 장면의 병렬화를 통해 관객들에게 욕망과 혐오의 경험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영화의 정서적 영향을 강화하는 열쇠는 레비가 배우들을 감독하는 것, 특히 그가 이 영화에 대해 노트에서 언급한 "특별한 형태의 즉흥연주"라고 언급한 것이었다.잠재의식적 이용"[7]비록 이 기법의 구체적인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지만,[7] 레비는 이 영화가 개봉되기 전 인터뷰에서 그의 감독 기법의 측면에 대해 논의했다.[8]레비는 어느 배우도 장면 대본을 제공받지 못했고, 이용되고 있던 감독적 기법이 일부 배우들을 촬영 중 최면 상태에 빠지게 만들었다고 강조했다.[8]평론가 스튜어트 헤이니는 이런 스타일의 연출은 감독과 배우의 경계를 허물고, 배우와 관객의 경계에도 영향을 미침으로써 영화의 감정적 현실을 고조시키려는 시도라고 말한다.[7]뷰크바인더는 "레비의 배우들은 관객들을 대신하고 있다"면서 "이 영화의 방법은 관객들을 트라우마케 한 다음 상처를 아름답게 소작하는 것"이라고 제안하는 등 영화에 대한 비슷한 견해를 제시한다.[9]
영화 편집의 다른 측면들 또한 감정적인 영향을 발전시키기 위해 특별히 고안되었다.[3][8]이 영화는 많은 확장된 싱글샷 장면과 일부 컷 사이의 긴 블랙 간격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 레비와 이 영화의 영화 제작자 키스 앨런스가 이 영화의 감정적인 영향을 제어하기 위한 추가 시도로 포함되었다.[3][5][8]이러한 연장된 촬영과 검은 간격은 영화 편집에 있어서 '리듬'이라는 개념에서 영감을 받았고, 촬영의 리듬과 그 사이의 공간이 어떻게 영화에 대한 관객들의 정서적 반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레비의 관심에서 영감을 받았다.[3][5]이와 더불어 개별 장면의 [5][8]색채와 영화의 비선형 스토리라인 등 다른 측면들도 영화의 정서적 영향을 부각시키기 위한 작업으로 확인되었다.[3][9]
광고와 소비자주의
이 영화의 중심 테마 중 하나는 소비주의와 그 시대의 광고 산업에 대한 비판이다.[5]맥스는 영화 내내 파슨의 광고 대행사에 의해 공공연하게 조작되고 있으며, 이 통제권을 전복하려는 그의 시도는 그 기획사가 그를 장악하고 있는 엄청난 힘 때문에 모두 좌절되고 있다.[5][9]메이는 이 음모 구조를 "1960년 물질주의에 대한 보복을 보여주는 무거운 징표"[3]라고 설명한다.

사라 스트리트는 에세이 "Colour and the Critique of Advertation"에서 헤로스트라투스가 어떻게 당시 광고에 흔히 사용되었던 많은 기술, 특히 색채와 광택의 조작을 채용하여 광고의 구성적 거짓을 부각시키는지에 대해 논한다.[5]스트리트에서는 헤로스트라투스가 "광고" 관행을 폭로하고 이용하기 위해 색깔을 사용한다고 쓰고 있다. 포화, 빛, 질감이 광고 맥락에서 깊이가 아닌 피상성을 어떻게 나타내는지 말이다."또한 이러한 종류의 기법이 "그들의 모호하지 않고 설득력 있는 메시징의 관점에서" 가질 수 있는 엄청난 힘을 강조한다.[5]
스트리트에서는 영화 속 광고에 대한 노골적인 비판의 한 예로 맥스가 고무장갑 광고 세트 위로 비틀거리는 장면을 강조한다.일반 소비재의 성화는 장면 전체에 걸쳐 1960년대 광고를 노골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스트리트 측은 이러한 성화는 관객들이 광고 대행사에서 맥스의 '아웃사이더' 관점을 통해 현장을 보고 있기 때문에 눈에 띄게 될 뿐이라고 주장한다.영화 전반에 걸쳐 반복적으로 사용된 모티브인 이 장면의 노골적인 색채 배색도 광고의 인위적 성격을 부각시키는 데 기여하며 동시에 관객들의 감정적인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5]영화 전반에 걸쳐 비슷한 장면과 색의 조작과 같은 반복적인 모티브가 관객들에게 광고의 구성적 성격을 상징하고 대변하며, 스트리트(Street)가 설명한 광고산업에 대한 레비의 '진정한 불신'을 강조한다.[5]
해제
이 영화는 1968년 런던 현대 예술 연구소에서 상영된 후 남은 기간 동안 유럽 전역의 여러 축제에서 상영되었다.[3][6][7]유럽 전역의 소규모 독립 영화관에서의 상영을 제외하고, 이 영화는 2009년까지 널리 개봉되지 않았다. 그 때 영국 영화 연구소의 플립사이드 스트랜드가 레비의 다른 많은 작은 영화들과 함께 DVD로 개봉했다.[3][4]
초기 상영작은 현대예술연구소의 제한된 관객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으나,[3][9] 원작의 개봉 후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 영화 평론가들의 상영에 한정되어 있다.월간 영화 게시판 리뷰에서 얀 도슨은 헤로스트라투스를 "열정적이고, 지치고, 충격적인 영화"라고 묘사하며, 특히 영화의 영화화를 칭찬하긴 하지만, 이 영화의 감정적 영향은 "예술적 미묘함보다는 신체적 폭력의 결과"라고 비판한다.[2]그 영화의 다른 평론들은 원작의 평론보다 더 좋다.보스턴 글로브에 대한 검토" 큰 기쁨을 보러", 그리고" 아름답게 정밀도와 실력에 제작된"[12]을 하고,"는 과세 운동"그것도 카메라를 자원의 레비의``완전히 깊은 영감을 느끼며, 철저한 사용 경험하려면 코트 샘플 및 팁을 우리에게 허용하기는 영화의"오래 145-minute"런타임을 비판하다가 로스 앤젤레스 타임즈에서 그것에 대해 설명합니다.ee고문을 당한 영웅의 몸짓"[13]1968년 <시드니 모닝 헤럴드>의 "비평가들의 위로 닥터 레비"라는 제목의 리뷰는 영화에 대해 강하게 의견이 분분한 많은 비평가들을 묘사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히어로스트라투스"는 엄밀히 말하면 축제 영화라고 결론짓는다.[14]
그 영화가 다시 개봉되자마자 많은 비평가들이 호의적으로 영화에 반영되었고 그것은 다른, 더 널리 알려진 많은 영화들에 대한 영향과 영감으로 자리 잡았다.[5][9][7]비평가 암논 부흐바인더는 이 영화가 "그 후에 찍은 몇 편의 영화에 의해 아이디어를 얻었지만 그 전에 개봉되었다"고 묘사하고 있으며, 이 영화의 개봉 후 다른 평들은 또한 A 클록워크 오렌지와 같은 저명한 영화의 장면들이 헤로스트라투스에서 영감을 얻었다는 것을 시사한다.[9][13][14]
현대 비평가들은 또한 이 영화의 여성에 대한 대우와 묘사를 비판했고, 이 영화의 서술에 대한 여성 혐오적 저류를 강조했다.[3][5][15]J. J. 메이는 영화 분석에서 영화 속 거의 모든 여성 등장인물이 어떤 종류의 성노동자로 묘사되고 있음을 강조하고 이러한 인물들에 대한 영화 처우에서 "자유롭게 떠도는 여성혐오"를 비판한다.그는 특히 클리오에 대해 논하며, 자신의 사회구조의 산물로써 행동이 용서되는 파슨과 달리 클리오가 "맥스의 실각뿐만 아니라 그녀 자신의 실각에도 책임을 지고 있다"고 주장한다.[3]에이미 타우빈도 영화 평론에서 이 영화의 "독단적이고 만연한 여성혐오"와 특히 이 영화의 여성 캐릭터들이 종종 "악마적으로 유혹적인 존재"로 특징지어지는 방식을 비슷하게 비판한다.[15]
참조
- ^ "Herostratus (1967)". BBFC. Retrieved 29 March 2021.
- ^ a b c d Dawson, Jane (1968). "Herostratus". Monthly Film Bulletin. British Film Institute. p. 87.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May, Dr. J. J. (2015). Minor Cinemas and the Redevelopment of London in the Long Sixties (Doctorate of Philosophy thesis). University of York.
- ^ a b Foster, Dave (2009). "Flipside Wave 2 in August". The Digital Fix.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February 2013. Retrieved 22 April 2021.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Street, Sarah (2020). "Colour and a Critique of Advertising: Privilege (Peter Watkins, 1967) and Herostratus (Don Levy, 1967)". Frames Cinema Journal. 17. doi:10.15664/fcj.v0i17.2072.
- ^ a b c d e f Hall, Martin (August 2018). Theories of the Subject: British Cinema and 1968 (Doctorate of Philosophy thesis). University of Stirling.
- ^ a b c d e f g Heaney, Stuart (September 2009). "Revival: The Experimental Psychologist". Sight and Sound. pp. 10–11.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Gillett, John (Summer 1965). "Happening Here". Sight and Sound. p. 138.
- ^ a b c d e f g h i j k l m Buchbinder, Amnon (2009). You CAN Get Out (Media notes). British Film Institute.
- ^ Levy, Don (2009). Interview with Don Levy (Herostratus DVD Extras). British Film Institute.
- ^ Miller, Henry K. (2009). Don Levy and the Slade School (Media notes). British Film Institute.
- ^ Adams, Marjory (25 February 1970). "'Herostratus': Quality Film at Low Cost". The Boston Globe.
- ^ a b Thomas, Kevin (17 November 1972). "An Influential 'Herostratus'". Los Angeles Times.
- ^ a b "Dr. Levy Shakes Up the Critics". The Sydney Morning Herald. 25 May 1968.
- ^ a b "Amy Taubin on Don Levy's Herostratus". artforum.com. Retrieved 31 May 2021.
외부 링크
- "처음에는 다음과 같은 이미지가 있었다. 돈 레비와 피터 화이트헤드의 영화들"이다.노리치 시네마 시티(Norwich, 2004년 9월).
- 헤로스트라투스 영국 영화 연구소
- IMDb의 헤로스트라투스
- 올무비에서의 헤로스트라투스
- 국립영화음반자료원 영웅스트라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