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 달림플 로스

Hew Dalrymple Ross
휴 달림플 로스 경
Sir Hew Dalrymple Ross by William Salter.jpg
윌리엄 살터 초상화 (화폭 위에 기름, 1834–1840)
태어난1779년 7월 5일
발케일, 커크커드브라이트셔
죽은1868년 12월 10일 (89세)
런던 나이츠브리지
얼리전스United Kingdom 영국
서비스/지점Flag of the British Army.svg 영국 육군
근속년수1795–1858
순위야전 원수
보유된 명령체스트넛 군단
전투/와이어1798년 아일랜드 반란
반도 전쟁
크림 전쟁
수상목욕 훈장 기사대십자사

GCB (1779년 7월 5일 ~ 1868년 12월 10일)는 영국 육군 장교였다. 1798년 아일랜드 반란 때 현역으로 복무한 후, 그는 반도 전쟁과 백일전쟁의 많은 전투에서 부대장으로 참전했다. 그는 나아가 4개 군 전군에 대한 지휘권을 위임받은 북구 포병사령관이 되어 왕립 포병 부관장으로 진급했다. 로스는 라글런 경의 휘하에 크림 전쟁에 참가하기 위해 보낸 포병부품의 책임을 지고 오르드난스 중장의 직함을 가진 마지막 사람이었다. 전쟁이 끝난 후 그는 영국군 포병대의 고위 의전소인 세인트 제임스의 공원인 거너 마스터를 지냈다.

군경력

존 로스 소령과 제인 로스(네 부찬)의 아들로 태어난 로스는 1795년 3월 6일 울리치 왕립 육군사관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왕립 포병대소위임관했다.[1] 1796년 5월 10일 중위로 진급하여 1798년 아일랜드 반란 때 현역을 보았고,[2] 1803년 9월 1일 중위로 진급함에 따라 1803년 9월 15일 부관(府官)[3][4] 1804년[5] 7월 26일 울리치 보병 양성소 4대대대대 부대장으로 임명되어 제2대 대위로 승진하였다.[6] 1806년 7월 24일 대위로 진급하여 왕실 말포병 부대를 지휘하게 되었고,[7] 후에 밤부대로 유명해졌다.[8]

1809년 반도 전쟁 중, 이 부대는 리스본에 상륙하여 아서 웰즐리 경의 군대에 합류했다. 로스의 총은 빛 사단에 부착되었고, 로버트 크라우퍼드와 함께 1810년 7월의 챠 전투와 1810년 9월의 부사코 전투 동안 여러 가지 행동에 참여했다.[9] When André Masséna began his retreat from the Lines of Torres Vedras, Ross's troop joined the pursuit, seeing action at the Battle of Pombal, the Battle of Redinha and the Battle of Casal Novo in March 1811 as well as at the Battle of Sabugal in April 1811 and the Battle of Fuentes de Oñoro in May 1811.[6] 그는 1811년 12월 31일 전공으로 진급했다.[6]

토마스 힙시가 그린 로스 초상화 1813년경

로스는 1812년 1월 시우다드 로드리고 전투, 1812년 4월 바다호스 전투, 1812년 7월 살라망카 전투에 참전했다.[6] 1813년 6월 비토리아 전투 이후 로스의 총은 계속해서 최첨단의 부대와 함께 있었고, 프랑스군이 보유한 유일한 남은 포탄 조각을 포로로 잡았다.[1] 그는 1813년 7월 3일 중령으로 진급했다.[10] 1813년 7월, 로스는 피레네 전투에도 참가했는데, 1813년 10월 비다소아, 1813년 11월 니벨레에서의 행동이 뒤따랐다. 1813년 12월 니브 전투 때 로스는 자신의 말 밑에서 총을 쏘게 하였으나, 다치지 않고 1814년 4월에 바이욘 전투에서 싸웠다.[6] 이러한 군사적 성공에 따라 그는 1815년 1월 4일 바스 훈장 기사단장으로 임명되었다.[11] 백일장 동안 로스는 1815년 6월 워털루 전투에서 교전했으며, 비록 그의 총기의 절반이 불구가 되었지만, 나머지는 프랑스군의 추격에 참가했다.[12] 그는 러시아훈장을 받았다. 1815년 10월 8일 2교시 안나.[13]

로스가 북구 포병사령관으로 근무하던 1825년에 그려진 포병 2명과 포병 1점

로스는 1825년 잉글랜드에서 가장 북부 4개 군의 모든 병력을 지휘하는 위임된 지휘관으로 북구 포병사령관이 되었다.[12] 1830년 7월 22일 대령으로 진급하여 1840년 4월 23일 부관장군, 1841년 11월 23일 대장, 1851년 11월 11일 중장으로 진급하였다.[14][15] 그는 1854년[16] 5월 2일 육군 중장이 되었고, 그 자격으로 래글런 경의 휘하에 크림 전쟁에 참가하기 위해 보낸 포병부품을 직접 점검하여 모든 전지가 높은 효율의 상태로 영국에서 전선으로 급파되도록 하는 임무를 맡았다.[1] 그는 또한 슈베리니스에 왕립 포병 실험 부대가 될 시설을 설립했다.[1] 그는 1854년[17] 11월 28일 총사령관으로 진급하였고, 1855년 5월 22일 헌병대 폐지에 따라 부관대장이 되었다.[18] 1855년[19] 7월 5일 배스 훈장 기사 대십자사로 진급했으며, 왕실 말 포병대 대령 특공대장을 겸직하기도 했다.[12]

로스는 1858년 4월 은퇴하였고, 1864년 세인트 제임스의 공원인 거너 마스터가 되었고, 1868년 1월 1일 현장 보안관으로 진급하여 1868년 8월 3일 로열 병원 첼시의 부지사가 되었다.[20][21] 그는 몇 달 후인 1868년 12월 10일 런던나이츠브리지에 있는 그의 집에서 죽었다.[12]

가족

1816년에 로스는 엘리자베스 그레이엄과 결혼했다; 그들은 두 아들, 휴 그레이엄 로스 소령(1817-1848)과 존 로스 경을 낳았다.[12]

참조

  1. ^ a b c d "Sir Hew Dalrymple Ross".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Retrieved 27 December 2013.
  2. ^ "No. 13939". The London Gazette. 8 October 1796. p. 957.
  3. ^ "No. 15620". The London Gazette. 13 September 1803. p. 1218.
  4. ^ "No. 15620". The London Gazette. 13 September 1803. p. 1220.
  5. ^ "No. 15722". The London Gazette. 24 July 1804. p. 899.
  6. ^ a b c d e 히스코트, 페이지 255
  7. ^ "No. 15943". The London Gazette. 5 August 1806. p. 1012.
  8. ^ 던컨, 제2권, 페이지 31
  9. ^ 로스, 페이지 10-12
  10. ^ "No. 16746". The London Gazette. 3 July 1813. p. 1271.
  11. ^ "No. 16972". The London Gazette. 4 January 1815. p. 20.
  12. ^ a b c d e 히스코트, 페이지 256
  13. ^ "No. 17075". The London Gazette. 31 October 1815. p. 2186.
  14. ^ "No. 19852". The London Gazette. 1 May 1840. p. 1100.
  15. ^ "No. 21262". The London Gazette. 11 November 1851. p. 2969.
  16. ^ "No. 21549". The London Gazette. 2 May 1854. p. 1364.
  17. ^ "No. 21634". The London Gazette. 28 November 1854. p. 3816.
  18. ^ "No. 21758". The London Gazette. 7 August 1855. p. 2990.
  19. ^ "No. 21743". The London Gazette. 10 July 1855. p. 2655.
  20. ^ "No. 23340". The London Gazette. 7 January 1868. p. 53.
  21. ^ "No. 23415". The London Gazette. 21 August 1868. p. 4630.

원천

  • Duncan, Francis (2008). History of the Royal Regiment of Artillery. BiblioLife. ISBN 978-0559351686.
  • Heathcote, Tony (1999). The British Field Marshals, 1736–1997: A Biographical Dictionary. Barnsley: Leo Cooper. ISBN 0-85052-696-5.
  • Ross, Hew Dalrymple (1871). Memoir of Field-Marshal Sir Hew Dalrymple Ross: Royal Horse Artillery. Kessinger Publishing. ISBN 978-1166943721.
군청
선행자
비어 있음
오드넌스 중장
1854–1855
성공자
폐지된 사무실
명예직
선행자 거너 마스터, 세인트 제임스의 공원
1864–1868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