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 커맨드 평가판
High Command Trial고등 명령 평가판 | |
---|---|
![]() | |
코트 | 뉘른베르크 |
전체 케이스 이름 | 미국 대 미국. 빌헬름 폰 렙 등 |
기소 | 1947년 11월 28일 |
결정했다 | 1948년 10월 28일 뉘른베르크 |
고등사령부 재판(공식적으로는 미국 대 미국) 빌헬름 폰 렙(et al.), 초기에는 12번 사건(13명의 장군 재판),[1] 나중에는 72번 사건(독일 고등 지휘 재판: 빌헬름 폰 렙 등 13명의 재판)[2]은 미국 당국이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뉘른베르크의 독일 점령지에서 치른 12차례의 전쟁범죄 재판 중 마지막 재판이다.[3] 이 12개의 재판은 모두 국제군사재판이 아닌 미군재판소 앞에서 열렸으나, 사법궁의 같은 방에서 열렸다. 미국의 12개 재판은 집합적으로 "후속적인 뉘른베르크 재판" 또는 더 공식적으로 "누른베르크 군사 재판소 이전의 전범 3인방"(NMT
배경
이번 재판에서 피고는 독일 베흐마흐트(야전 보안관 3명과 전직 제독 포함)의 고위 장성들로, 이들 중 일부는 나치 독일군 고등사령부 소속이었다. 그들은 전쟁 중 독일군이 점령한 나라에서 자행된 수많은 전쟁 범죄와 잔혹행위의 집행을 계획하거나 촉진시킨 혐의를 받았다.
군사재판소 V-A에 앞서 들은 이 사건의 재판관은 미국인 존 C였다. 영(재판장), 윈필드 B. 헤일, 그리고 저스틴 W. 하딩. 검찰측 변호인단장은 텔포드 테일러였다. 기소장은 1947년 11월 28일에 제출되었으며, 재판은 그해 12월 30일부터 1948년 10월 28일까지 계속되었다.
기소
피고는 전쟁범죄와 반인륜적 범죄를 저지른 혐의로 네 가지 혐의를 받았다.
- 다른 나라와 공격적인 전쟁을 벌이고 국제 조약을 위반하는 등 평화에 반하는 범죄.
- 전쟁 범죄는 전쟁 포로와 적군 교전자에 대한 살인, 학대 및 기타 범죄에 책임이 있다.
- 군 점령국가의 민간인 살해, 고문, 추방, 인질극 등에 가담하거나 명령함으로써 반인륜적 범죄.
- 앞서 언급한 범죄를 저지르기 위한 공동 계획과 음모의 형성과 집행에 참여하고 조직한다.
모든 피고인들은 모든 죄목으로 기소되었다; 그들은 모두 "무죄"라고 주장했다. 공소장 4백, 즉 공모 혐의는 이미 다른 혐의들에 의해 가려졌기 때문에 곧 재판부에 의해 취하되었다. 1번에서, 법원은 그들이 정책 입안자가 아니며, 전쟁에 대비하고 명령 전쟁을 하는 것은 그 당시의 적용 가능한 국제법에 따라 형사 범죄가 아니라고 말하면서, 모든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피고와 심판
기소된 14명의 피고인 중 오토 슈니우딘과 휴고 스펄레는 모든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받았다. 요하네스 블라스코위츠는 재판 도중 자살했으며 나머지 피고인 11명은 3년에서 종신형에 이르는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모든 형량은 1945년 4월 7일 이후로 이미 구금되어 있는 시간을 포함했다. 아래 표는 각 혐의에 대해 피고인이 기소되기는 하나 유죄가 확정되지 않았는지(I) 또는 기소되어 유죄가 확정되었는지(G)를 보여주며 피고인, 기소 및 결과별로 나열되어 있다.
사진들 | 이름 | 카운트 | 벌칙 | 메모들 | |||
---|---|---|---|---|---|---|---|
1 | 2 | 3 | 4 | ||||
![]() | 요하네스 블라스코위츠 | I | I | I | I | — | 전 장군님 프랑스와 네덜란드의 G그룹과 H그룹(1944~1945)을 지휘했다. 1948년 2월 5일 재판 중 자살. |
카를아돌프 홀리트 | I | G | G | I | 5년 | 전 장군님 1949년 12월에 적기 신용으로 발매되었다.[4] 1985년 사망 | |
![]() | 헤르만 호트 | I | G | G | I | 15년 | 전 장군님 1941년 바르바로사 작전 당시 3기갑그룹을 지휘했고, 1942년 베흐마흐트의 여름 공세 때 4기갑군을 지휘했다.[5] 1941년 11월, 공민령을 지지하여, 부하 지휘관들에게 "즉각적이고 무자비하게" "유대인 볼셰비키 선동가들 쪽에서 적극적이거나 수동적인 저항의 모든 징후(...)"를 근절하도록 지시하는 지시를 내렸다.[6] 1951년에 형량은 변경되지 않고 검토되었다. 1954년 가석방, 가석방/형량에서 1957년 복역 기간으로 단축 1971년 [7]사망 |
![]() | 빌헬름 폰 렙 | I | I | G | I | 서비스된 시간 | 전 장군 펠드마르가 챌린지. 소비에트 연방의 북부 육군 사령관 (1941년 6월 - 1942년 1월) 바르바로사 법령을 전송하고 부하 부대에 의한 범죄 적용으로 유죄판결을 받았다.[8] 재판 후 석방.[8] 1956년 사망 |
![]() | 루돌프 레만 | I | G | G | I | 7년 | 전 제너럴로버스타브리히터. OKW의 재판장이자 당파적 활동에[9] 대항한다는 명분 아래 민간인을 살해할 수 있도록 한 바르바로사 법안의 책임. 그는 피고로부터 적법한 절차에 대한 접근을 배제한 1941년 12월 야간 및 안개 법령을 초안했다. 베흐마흐트군은 프랑스, 네덜란드, 우크라이나 등 점령국에 이 명령을 적용했다.[10] 특공대 명령과 테러 및 사보타주령을 제정하는 데 관여했다.[11] 1950년에 적기 신용카드로 발매되었다. 1955년 [12]사망 |
![]() | 게오르크 폰 뮐러 | I | G | G | I | 15년 | 전 장군 펠드마르가 챌린지. 동부전선의 18군 사령관, 그리고 후에 북부군 사령관. 뮐러는 정신장애인을 살해한 사건에 직접 연루됐다. 1941년 12월, 그의 명시적인 동의로, SD의 부대들은 240명의 정신질환자들을 쏘았다.[13] 1951년 1월, 아무런 변화도 없이 검토된 문장. 1952년 동정심에 근거하여 발매되었다.[12] 1968년 사망 |
![]() |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 I | G | G | I | 15년 | 전 장군님 라인하르트의 지휘하에 있던 부대는 동부전선에 대한 통신명령을 이행했고 민간인들을 강제수용소로 추방하기도 했다. 1951년 1월, 아무런 변화도 없이 검토된 문장. 1952년 동정심에 근거하여 발매되었다.[12] 1963년 사망 |
![]() | 카를 폰 로케스 | I | G | G | I | 20년 | 전 장군 데어 인판테리. 로키스는 육군집단 남부의 후방지역 사령관으로 소련의 빨치산들과 슬라브족과 유대계 민간인들을 상대로 말살 정책을 펼쳤다. 1949년 12월 24일 사망. |
![]() | 헤르만 레이네케 | I | G | G | I | 무기징역 | 전 장군 데어 인판테리. OKW 총참모장, 약 330만 명의 소련 전쟁포로 사망을 초래한 전쟁포로 정책의 수립과 이행을 책임진다.[14] 1954년 개봉. 1973년 사망 |
![]() | 한스 폰 살무트 | I | G | G | I | 20년 | 전 장군님 살무스는 소련군 포로들에 대한 살인과 학대를 포함한 통신명령을 이행했다. 그는 또한 살인, 추방, 민간인 인질극 등의 혐의로 유죄판결을 받았다. 1951년에 검토된 형량은 12년으로 감형되고 1945년 6월로 소급되었다. 1953년 정시 크레딧으로 발매되었다.[15] 1962년 사망 |
![]() | 오토 슈니우인드 | I | I | I | I | 무죄판결 | 전 제너럴admiral. 함대 지휘관 (Kriegsmarine) (1941년 6월 - 1944년 7월). 1964년 사망 |
![]() | 휴고 스펄레 | I | I | I | I | 무죄판결 | 전 루프트와프 제너럴펠드마르슈. 지휘관 Luftflote 3 (1939년 2월 - 1944년 8월) 1953년 사망 |
![]() | 월터 워리몬트 | I | G | G | I | 무기징역 | Der Artillerie 전 장군과 OKW의 국방부 장관. 당파적 활동에 대항한다는 명분으로 민간인을 살해할 수 있도록 한 바르바로사 법령에 대한 책임.[9] 형량은 1951년에 18년으로 감형되었다. 1954년 개봉. 1976년 사망 |
![]() | 오토 뵐러 | I | G | G | I | 8년 | 전 장군 데어 인판테리. 바르바로사 법령을 이행한 혐의로 유죄판결을 받고, 노예 노동을 이유로 민간인을 추방하고 아인사츠그루펜과 협력했다.[11] 1951년 개봉. 1987년 사망 |
여파
연방공화국이 등장한 뒤 콘라드 아데나워 독일 총리와 번데스타그는 피고인들의 편을 들었다. 독일의 지렛대는 독일의 재건에 대한 절박감이 커지면서 증가했다. 이런 극심한 압박 속에서 1950년 존 매크로이 미 고등판무관은 데이비드 펙 뉴욕 판사가 위원장을 맡은 심의위원회를 발족하고, 그 권고로 아직 수감 중인 6명의 고등사령부 피고인 중 3명의 형량을 감형했다. 연합군과 독일군으로 구성된 여러 위원회의 추가 소송이 있은 후, 1953년 마지막 고위 지휘부 피고인들이 귀국했다.[16]
참고 항목
메모들
- ^ 웹 집단학살 문서 센터, 사례 12번 웨이백머신 (13명의 장성 시험)에 보관된 2012-04-01; euRason, UWE Bristol.
- ^ 웹 집단 학살 문서 센터, 사례 72 웨이백 기계에 2005-02-21 보관 (독일 고등 명령 재판: 빌헬름 폰 렙과 다른 13명의 재판), UWE 브리스톨.
- ^ 국제군사재판 전 주요 전범 재판에서도 '고위 지휘 사건'이 있었다. 이 경우 독일군 최고사령부(OKW – Oberkommando Wehrmacht)는 범죄조직이었다는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받았다.[1]
- ^ 헤버트 2010 페이지 219.
- ^ 헤이버 2004, 페이지 938.
- ^ Burley 1997, 페이지 69.
- ^ 헤버트 2010, 페이지 216–217.
- ^ a b 헤버트 2010 페이지 150.
- ^ a b 헤버트 2010, 페이지 3
- ^ 헤버트 2010, 페이지 90.
- ^ a b 헤버트 2010 페이지 151.
- ^ a b c 헤르버 2010, 페이지 218. 대상
- ^ 헤르버 2010, 페이지 95. 대상
- ^ 허버트 2010, 페이지 3.
- ^ 헤버트 2010 페이지 218.
- ^ Detlev F를 참조하십시오. 질츠, 북 리뷰, 미국 국제법 제104권 (2010), 548페이지, 549: Valerie Genevieve Hébert, 재판 중인 히틀러의 장군들에 대한 검토: 뉘른베르크의 마지막 전범재판소. Lawrence, KS: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10.
참조
- 1949년 유엔 전범위원회 제1권 제3호 전범 재판의 법률 보고서.
- Hebert, Valerie (2010). Hitler's Generals on Trial: The Last War Crimes Tribunal at Nuremberg. Lawrence, Kansas: University Press of Kansas. ISBN 978-0-7006-1698-5.
- Heiber, Helmut; Weinberg, Gerhard L.; Glantz, David (2004). Hitler and His Generals: Military Conferences 1942–1945. Enigma Books. ISBN 978-1929631285.
- Heller, Kevin Jon (2011). The Nuremberg Military Tribunals and the Origins of International Criminal Law.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554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