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조 폴로비나

Himzo Polovina
힘조 폴로비나
Himzo Polovina.jpg
배경 정보
태어난(1927-03-11)1927년 3월 11일
모스타르, 세르비아 왕국,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
(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죽은1986년 8월 5일 (1986-08-05) (59)
플레이브, SR 몬테네그로, SFR 유고슬라비아
장르보스니아 민족 · 세달링카
직업
  • 음악가
  • 가수
계기보컬
년 활동1953–86

힘조 폴로비나(Himzo Polovina, 1927년 3월 11일 ~ 1986년 8월 5일)는 보스니아 출신의 가수 겸 작곡가로, 이 지역에서 가장 유명하고 널리 존경받는 민속·세브달링카 예술가 중 한 명이다. 게다가 힘조 폴로비나 박사는 직업별 신경정신과 의사였다. 그의 접근은 보스니크족의 정통 음악 유산으로 인정받았을 뿐만 아니라 세븐달링카 홍보에도 기여했다.

초창기 생활과 직업의 시작

폴로비나는 1927년 3월 11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모스타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무샨 폴로비나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인이었으며, 루블랴나에서 복무하던 중 이방카 흘레베크를 만나 결혼하여 히메조 폴로비나는 보스니아크 아버지와 슬로베니아 어머니 사이의 인종적으로 혼혈된 결혼의 아들로 만들었다.[1]

힘조는 어렸을 때 음악과 노래에 대해 소개받았다. 그의 아버지는 샤르지자를 연주했고 종종 세븐달링카 노래를 부르곤 했다. 아버지가 노래를 부르자 힘조와 형제들이 일제히 따라 불렀다.

폴로비나는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기 직전인 1930년대 후반, 체코 유명 교수이자 바이올리니스트 칼라 말라이스카로부터 바이올린을 배우게 되었다.

1947년부터 사라예보로 떠날 때까지 그는 민속 앙상블 '아브라셰비치'의 일원으로 함께 유고슬라비아 전역의 도시와 마을을 순회했다. 보스니아 국민 복장의 '부자'를 사랑했고, 공연할 때마다 그것을 입었다.

1950년 의대 재학 중 학생 문화 동아리 '슬로보단 프린세스 – 셀조'의 회원이었으며, 다른 여러 문화 동아리와 함께 공연하였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의대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정신과 의사가 되었다. 실제로 그는 정신의학과 사회치료, 음악치료의 방법을 성공적으로 적용했다. 그는 성공적인 가수가 된 후에도 계속해서 그의 직업에 종사했다. 폴로비나는 그가 죽을 때까지 사라예보에 있는 자고미르 정신 재활 병원에서 존경받는 의사였다.

경력

1953년 1월, 그의 의료 동료들은 를 설득하여 라디오 사라예보의 생방송 오디션을 보게 했다. 그는 언어장애가 있어 'r'자를 발음하기 어려웠음에도 불구하고 세븐달링카 곡 '메흐메다 je stara majka karala'를 선보여 실력 있는 음악가들로부터 좋은 피드백을 받았다. 그는 가수/연주자라기 보다는 세브다 연구자로 여겨졌다.[citation needed]

그는 자선, 병원, 연금 수급자, 노쇠자, 노인, 고아원 어린이들을 위한 갈라 콘서트에서 자주 공연을 했다.

폴로비나는 그의 경력에 있어서 어느 시점에 라디오 사라예보로부터 5년 동안 휴직을 하게 되었는데, 그 회사의 사장들과의 의견 불일치로 인해서였다. 그 문제는 해결되었고 그는 계속 공연을 했다.

그는 3년간의 긴 경력 동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거의 모든 도시에서 공연을 했다.

에미나

보스니아 세븐달링카 에미나의 그의 표지는 많은 사람들에 의해 이 곡의 최고의 버전으로 여겨진다.[2] 그의 1960년대 버전에는 1967년 에미나 세피치라는 곡의 주제가 죽은 후 쓰인 추가 구절이 수록되어 있다. 에미나의 죽음을 들은 폴로비나는 돈자 마할라 마을에 있는 시인 세브다 카티카의 집으로 갔다. 그는 그녀를 가족집 마당에서 발견하여 에미나의 죽음을 알렸고 에미나는 슬픔으로 몸서리를 치며 다음과 같은 구절을 말했다.

추가된 구절 번역
엄로 스타리 프제스니크, 움라 에미나
오스탈라 je pusta bashcha od jasmina.
살로믈젠 제이브릭,
우베를로 제비제치
pjesma o Emini nikad Umrijet neiche. 예스마 오
늙은 시인은 죽었고, 에미나는 죽었고,
쟈스민의 텅 빈 정원은 남겨져 있었다.
투수가 망가졌는데
꽃이 시들어서
에미나에 대한 노래는 절대 죽지 않을 것이다.

사생결단

폴로비나는 피크레타 메도셰비치라는 여자와 결혼했다. 그들에게는 딸 루비나와 아들 에드미르가 있었다.

몬테네그로에서 가족과 휴가를 보내던 중 심장마비로 5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동생 미르자에 따르면 힘조가 부른 마지막 곡은 갑작스러운 죽음 직전 에미나였다.

힘조 폴로비나는 사라예보의 맨 묘지에 묻혔다.

음반 목록

다음은 힘조 폴로비나가 발표한 앨범, 싱글, 확장 플레이(EP)의 전체 목록이다.

트랙스 방출된
스타드 세 비예치 로솜 키티[3]
  1. 스타드 세 비예치 로솜 키티
  2. Ulijepom starom 졸업식 비셰그라두
1958
곤제루오우젤롬사두[4]
  1. 곤제루오우젤롬사두
  2. 무스타푸 마스카부딜라
1958
포크라지 쿠치 남성[5]
  1. 포크라지 쿠치 남성
  2. 마글라 팔라 오드 폴라 사라즈바
1958
고네루오우 젤레넘사두 / 무스타푸 마스카부딜라[6]
  1. 곤제루오우젤롬사두
  2. 무스타푸 마스카부딜라
1960
두샨카 노동의 카드세 장인 이즈 소카카 포몰리[7]
  1. 카드세장인이즈소카 포몰리
  2. S 원 스트레인 피브
  3. 오트보르 vrata od 하마마
  4. 자플라칼라 스타라 마즈카 다페르 베고바
1963
텔랄 비체[8]
  1. 텔랄 비체
  2. 프로셰탈라 술자기나 파타
1963
모히 베아레 / 페제스마 오 메흐메드파시 소콜로비치우[9]
  1. 모제베아레
  2. 프제스마 오 메흐메드파시 소콜로비치우
1964년 10월
에미나 / 하사나긴 세브다(슈토 테 네마)[10]
  1. 에미나
  2. 하사나긴 세브다 (슈토 테 네마)
1964
아즈라[11]
  1. 아즈라
  2. 메니 드라고 시트나 피스마 피시
  3. 나 프리제스톨주스제디 술탄
  4. 루타지, 프제스모
1965년 10월
스타드 세 비예치 로솜 키티[12]
  1. 스타드 세 비예치 로솜 키티
  2. Ulijepom starom 졸업식 비셰그라두
  3. 텔랄 비체
  4. 포셰탈라 술자기나 파타
1966년 5월
에리마나[13]
  1. 에리마나
  2. 아크샴 겔디
  3. 이맘큐루악메뉴
  4. 콤시니차
1967
밀라 마즈코, 샬지 미 나 보두 / U소토누 제드네 프롤제트 노치[14]
  1. 밀라 마스코, 샬지 미 나 보두
  2. 우소토누 제드네 프롤제트노치
1969
주트로스 프뢰오 크로즈 차르시주 / 드보레 그라디 코마디나 무조[15]
  1. 주트로스 프뢰오 크로즈 차르시주
  2. 드보레 그라디 코마디나 무조
1969
예수리 쿨라 뒤쇼? / 오트푸토바 우달진[16]
  1. Jesi li Chula dusho?
  2. 오트푸토바 우달진
1970
U Stambolu na Bosforu / Okladi se momche i djevojche.[17]
  1. 우 스탐볼루나 보스포루
  2. Okladi se momche i djevojche.
1971
나로드네 pjesme iz Bosne I Hercegovine[18]
  1. 사라예보, 디브노 엠제스토
  2. 자플라칼라 스타라 마자카
  3. 오제이데보이코, 디디도모자
  4. 쉬리 mjesec po Igmanu zrake
  5. 이말야다
  6. 치제 제오노 드제보체
  7. 처드나야다오모스타라그라다
  8. 밀라 마즈코 샬지 미 나 보두
  9. 던잘루치, 골렘 티시
  10. 볼젤로 세 드보제 믈라디흐
  11. 곤제루오
  12. 시로카키타라키타
1972년 11월 21일
U 수토누 제드네 프롤제트노치[19]
  1. U 수토누 제드네 프롤제트노치
  2. 크르네 오치 도브로 글레데
  3. Na put se sremam. 나 슈프레맘 넣기
  4. 티하제노치
1975
크라뎀티세베체리[20]
  1. 카드자푸오나 펨바슈
  2. 비노 피주 시대 사라즐리제
  3. 크라뎀티세베체리
  4. 체차시 리세 카드 시 라니
  5. 라즈볼레 세 리제파 하지리야
  6. 포크라즈 브렐라
  7. 우 스탐볼루나 보스포루
  8. 오제이데보이코아나돌코
  9. 드제보이스카제 젤렌 보르 사딜라
  10. 이킨디자
  11. 자자그리조 샤레니쿠 자부쿠
  12. 카드세장인이즈소카 포몰리
1976
에미나 / U 스탐볼루나 보스포루[21]
  1. 에미나
  2. 우 스탐볼루나 보스포루
1977
클릭누 빌라 사 브르하 포리마[22]
  1. 유 트레빈주 졸업식
  2. 이즈비세무조나등급
  3. 클릭누 빌라 사 브르하 포리마
  4. 재세니스, 네살로 티 가자
  5. 도브로 도슐리, 키치네니 스바토비
  6. 오므레, 프르보글레단제
  7. 포레질라 드바 골루바
  8. 알리 파샤 나 헤르체고비니
  9. 무자구마즈카부딜라
  10. 네마 이제프셰 치료제 오드 말렌 이쿨레
1979
메흐메드 파샤 트라이 카라 슬루지오 / U 리제폼, 스타롬, 졸업식 비셰그라두[23]
  1. 메흐메드 파샤 트라이 카라 슬루시오
  2. Ulijepom starom 졸업식 비셰그라두
1980
밀라 마즈코, 샬지 미 나 보두 / 드제보이스카 제 젤렌 보르 사딜라[24]
  1. 밀라 마스코, 샬지 미 나 보두
  2. 드제보이스카제 젤렌 보르 사딜라
1982
Sebdah I suze[25]
  1. 탐부랄로 맘치 우즈탐부루
  2. 폴젬 세 비야 하지르다 델리야
  3. Ulijepom starom 졸업식 비셰그라두
  4. 카드자푸오나 펨바슈
  5. 오트보르 브라타 오드 하마나
  6. 카란파일, cvijeche moje
  7. 오즈, 드제보이코, 포드 브르돔
  8. Snijeg pade na behar, na voiche.
  9. 오즈, 보고티, 시바 프티코 소콜레
  10. 스타드 세 비예치 로솜 키티
1984년 9월
마글라 팔라 오드 폴라 사라즈바[26]
  1. 마글라 팔라 오드 폴라 사라즈바
  2. 에리마나
  3. 포드 스코치치켐 트라바 포가세나
  4. 메니 드라고 시트나 피스마 피시
  5. 이맘큐루악메뉴
  6. 오트푸토바 우달진
  7. Okladi se momche i djevojche.
  8. 프제스마 오 메흐메드파시 소콜로비치우
  9. 푸스티 나 마조코
  10. 라쿠노치
  11. 포크라지 쿠치 남성
  12. 콤시니차
  13. 예수리쿨라뒤쇼
1987
힘조 폴로비나[27]
  1. 에미나
  2. 스타드 세 비예치 로솜 키티
  3. 포셰탈라 술자기나 파타
  4. 주트로스 프뢰오 크로즈 차르시주
  5. 모제베아레
  6. 루타지, 프제스모
  7. 하사나긴세브다
  8. 나 프리제스톨주스제디 술탄
  9. 아즈라
  10. 텔랄 비체
  11. 아크샴겔디
  12. 드보레 그라디 코마디나 무조
1988
볼젤로 세 드보제 믈라디흐 / 포드 스코치치켐 트라바 포가세나[28]
  1. 볼젤로 세 드보제 믈라디흐
  2. 포드 스코치힘 트라바 포가헤나
알 수 없는 출시 날짜
네마 리제프세 치료제 / 푸스티 나 마즈코[29]
  1. 네마립셰 치료제
  2. 푸스티 나 마조코
알 수 없는 출시 날짜

참조

  1. ^ "Geologija pesme". Vreme. 7 December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July 2013. Retrieved 20 May 2013.
  2. ^ "Zaboravljeni junaci jednog vremena". doznajemo. 22 November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April 2013. Retrieved 15 May 2013.
  3. ^ "Stade se cvijeće rosom kititi".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
  4. ^ "Gonđe ružo u zelenom sadu".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
  5. ^ "Pokraj kuće male".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
  6. ^ "Gonđe ružo u zelenom sadu / Mustafu majka budila".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
  7. ^ "Kad se Jangin iz Sokaka pomoli".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
  8. ^ "Telal viče".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
  9. ^ "Moj behare / Pjesma o Mehmed-Paši Sokoloviću".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
  10. ^ "Emina / Hasanagin Sevdah (Što te nema)".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
  11. ^ "Azra".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
  12. ^ "Stade se cvijeće rosom kititi".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
  13. ^ "Ehlimana".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
  14. ^ "Mila majko, šalji me na vodu / U sotonu jedne proljetne noći".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
  15. ^ "Jutros prođoh kroz čaršiju / Dvore gradi komadina Mujo".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
  16. ^ "Jesi li čula dušo? / Otputovah u daljine".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
  17. ^ "U Stambolu na Bosforu / Okladi se momče i djevojče".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
  18. ^ "Narodne pjesme iz Bosne i Hercegovine".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
  19. ^ "U sutonu jedne proljetne noći".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
  20. ^ "Kradem ti se u večeri".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
  21. ^ "Emina / U Stambolu na Bosforu".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
  22. ^ "Kliknu vila sa vrha porima".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
  23. ^ "Mehmed Paša tri cara služio / U lijepom, starom, gradu Višegradu". Discog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July 2014. Retrieved 15 May 2013.
  24. ^ "Mila majko, šalji me na vodu / Djevojka je zelen bor sadila".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
  25. ^ "Sevdah i suze".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
  26. ^ "Magla pala od pola Saraj'va".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
  27. ^ "Himzo Polovina".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
  28. ^ "Voljelo se dvoje mladih / Pod skočićem trava pogažena".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
  29. ^ "Nema lijepše cure / Pusti me, majko". Discogs. Retrieved 15 May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