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세 히로시

Hiroshi Hase
하세 히로시
馳 浩
Hase271007.jpg
문부과학성 장관
재직중
2015년 10월 7일 – 2016년 8월 3일
수상아베 신조
선행자시모무라 하쿠분
성공자마쓰노 히로카즈
이시카와 현 제1구역 중의원 의원
가정사무실
2000년 6월 25일
개인내역
태어난 (1961-05-05) 1961년 5월 5일 (60세)[1]
일본 도야마 오야베
정당자유민주당
배우자
다카미 쿄코
(m. 1994)
모교센슈 대학[1]
웹사이트http://hase-hiroshi.org/
링 이름하세 히로시
베트콩 익스프레스 1위
빌링 높이1.83m(6ft 0인치)
빌드 웨이트105kg(231lb)
로부터 청구됨북베트남 호치민시(베트콩 익스프레스 #1)
교육 대상리키쵸슈
스튜 하트
토쿄 조[2]
데뷔1986년 2월 28일

하세 히로시(河西, 1961년 5월 5일생)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 밑에서 문부과학성 장관을 지낸 일본의 정치인이다.[3] 내각에 임명되기 전에는 이시카와 현 제1지구를 대표하는 국민회의 중의원 의원으로도 활동했다.[4]

하세는 뉴재팬프로레슬링(NJPW)과 올재팬프로레슬링(AJPW)에서 활동한 반년차 프로레슬링 선수다. AJPW와의 제휴 기간에는 AJPW의 모든 선수권 대회 주관기관인 퍼시픽레슬링연맹(PWF)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다른 타이틀 우승 중 하세는 WCW 국제 헤비급 챔피언십을 한 차례 개최해 한때 세계 챔피언이 됐다.

초년기

하세는 1984년 3월 센슈 대학을 졸업했다. 그 후 이시카와 현의 한 고등학교에서 일본 고전 문학의 교사가 되었고, 1985년 프로 레슬링 경력을 쌓았다.[5]

1984년 하계 올림픽

하세도 1984년 로스앤젤레스 하계 올림픽일본을 대표하는 아마추어 레슬링 선수가 됐다. 그는 그레코로만형 레슬링 대회에서 9위를 차지했다.

프로레슬링 경력

초기(1986–1987)

원래 리키 초슈에 의해 훈련된 하세 히로시는 1986년 2월 푸에르토리코카를로스 콜론 세계 레슬링 위원회에서 프로레슬링 경력을 시작했다. 그해 말 하세는 캐나다 앨버타 캘거리로 가서 스튜 하트[6] 도쿄 조의 훈련을 받았다. 그는 가면을 쓴 스탬프 레슬링에서 니이쿠라 후미히로와 함께 베트콩 익스프레스로 알려진 태그팀에서 레슬링을 하곤 했는데, 그와 함께 스탬프 국제 태그팀 챔피언십을 개최했다. 1987년까지 그는 스탬프 레슬링에서 그의 이름으로 레슬링을 시작했고 가면을 벗었다. 1987년 말까지 하세는 일본으로 돌아갈 것이다.

신일본 프로레슬링(1987–1996)

하세는 일본으로 돌아왔을 때 NJPW의 주니어 헤비급에서 레슬링을 하며 IWGP 주니어 헤비급 챔피언십에서 두 번 우승했다. 1987년 12월 27일 고바야시 구니아키를 격파하고 1988년 5월 27일까지 보유하면서 오웬 하트에게 타이틀을 빼앗겼다. 그의 두 번째 통치는 1989년 3월 16일 고시나카 시로를 격파하는 것으로 시작되어, 1989년 5월 25일까지 존속하여, 쥬신 라이거에게 패했다. 1989년 6월 하세와 이즈카 다카유키는 삼보 훈련을 받기 위해 소련으로 건너가 그의 대표적인 움직임 중 하나인 천왕성을 배웠다. 그는 또한 주니어 헤비급에서 헤비급까지 성공적으로 졸업할 수 있는 유일한 레슬링 선수들 중 한 명이 될 것이다.

1990년대 하세는 뉴재팬에서 먼저, 그리고 이후 올재팬에서 일본의 유명한 인재들과 기억에 남는 만남을 많이 가졌다. 1990년 6월, 하세는 고토 다쓰토시(高藤正義)의 배경으로 기절해 링에서 죽을 뻔한 경험을 했다. 하세는 1990년 3월 사사키 겐스케와 함께 IWGP 태그팀 챔피언십에서 두 차례 우승하며 성공적인 태그팀을 구성하게 된다. 1990년 11월 1일, 하세와 사사키가 초노 마사히로, 무토 게이지를 물리치고 우승을 차지, 1990년 12월 26일까지 계속하여 슈퍼 스트롱 머신, 사이토 히로에게 패했다. 그들의 두 번째 통치는 1991년 3월 6일 머신과 사이토로부터 그들을 되찾음으로써 이루어졌지만, 1991년 3월 21일 스타이너 브라더스에 타이틀을 빼앗겼다. 하세는 1990년 9월 14일 무타 블러딩 하세에게 복수하던 무타가 흘린 엄청난 양의 출혈로 인해 1992년 12월 14일 '무타 스케일'이 만들어진 <위대한 무타>와 고전적인 만남을 가졌다.

Hase와 Mutoh는 또한 IWGP Tag Team Championship에서 두 번 우승했다. 그들의 첫 번째 통치는 1991년 11월 5일 릭 스타이너스콧 노튼을 판정 시합에서 물리치고 시작되었다. 그들은 1992년 3월 1일까지 벨트를 붙잡고 빅 베이더밤밤 비글로에게 패했다. 하세와 무토는 1993년 11월 슈퍼레벨 태그리그에서 결승전에서 쥬라기 파워스를 꺾고 우승했다. 1994년 3월 16일 하세는 릭 루디를 꺾고 WCW 인터내셔널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에서 우승하였고, 1994년 3월 24일 루디에게 다시 타이틀을 빼앗겼다. 하세와 무토는 1994년 10월 두 번째 슈퍼 등급 태그 리그에서 우승했다. 1994년 11월 25일, 하세와 무토는 The Hellraisers를 물리치고 두 번째 IWGP Tag Team 우승을 차지했다. 이들은 무토흐가 IWGP 헤비급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후 타이틀을 비웠기 때문에 1995년 5월까지 우승을 고수했다.

하세는 IWGP 태그팀 챔피언에 머물던 1995년 4월 '충돌'에 참가하기 위해 북한을 방문했다. 2박 2일 행사에서는 첫날밤 크리스 베누이트를 꺾은 뒤 둘째 날 밤 옛 태그팀 파트너 사사키와 함께 스타이너 브라더스를 상대로 팀을 꾸렸다.[7]

이듬해 그는 신일본에서 은퇴를 선언하고 라이벌인 올재팬 프로레슬링에 뛰어들었다. NJPW 레슬링 선수로서의 그의 마지막 단식 경기는 1996년 1월 4일 사사키 겐스케와의 경기였다. 1996년 7월 26일 NJPW와의 한 경기를 더 레슬링하여 사사키와 팀을 이루어 리키 초슈, 나가타 유지에게 패했다.[7]

전일본 프로레슬링(1997-2006)

잠시 공백기를 가진 뒤 1997년 1월 일본프로레슬링(AJPW)에서 프로레슬링에 복귀했다. 전일본에서 하세는 정치를 전업으로 삼았기 때문에 이름 인정에도 불구하고 어떤 최고 타이틀도 다투지 않았다.

In 2000, he founded the multi-promotional Bad Ass Translate Trading stable with Mutoh, Taiyō Kea and Jinsei Shinzaki; Hase and Mutoh reformed their team to battle Jun Akiyama and Yuji Nagata on October 8, the rising stars of their respective promotions (NOAH and NJPW), and were defeated in a ceremonial passing of the torch match that highlighted the 일본 프로레슬링의 발전

이듬해 무토(고지마 사토시, 검도 가신 과 함께)가 올 재팬으로 뛰어들자 하세는 (적어도 무토는 아니더라도) 그들의 결정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였다. 하세에게 일본 국회 진출에 앞서기도 했던 안토니오 이노키는 하세를 맹비난하며 의원직을 사퇴할 것을 제안했지만, 이것에서 나온 것은 아무것도 없다.

하세가 11년 동안 치른 결승전은 2006년 8월 27일이었다. 그는 나카지마 가쓰히코 & 코지마 사토시에게 꼬리표를 붙여 TARU, 수와마 고헤이, & "형제"인 부두 킬러들의 야스히와 대결했다. 이 시합은 원래 하세, 코지마와 함께 하기 위해 사사키 겐스케를 출전시키기로 되어 있었으나, 겐스케가 눈 부상을 당해 나카지마로 교체되었다. 사사키는 여전히 경기에 존재하며 부두 킬러의 발꿈치 같은 익살스러운 장난을 막아내기 위해 링사이드로 일하고 어느 순간 링 안으로 들어갔다. 하세는 YASSHI와 Northern Light Suplex를 우승으로 연결, 20년 만에 인링 커리어를 마감했다. 일주일 후, 그는 레슬링 옵서버 뉴스레터 명예의 전당에 선출되었다.

은퇴

하세는 2007년 7월 10일, 스탠 한센(2000년 이후 그 자리를 지킨)이 자진 사퇴한 후 태평양레슬링연맹 회장직을 이어받았다.[8]

2013년 3월 17일, 하세는 거의 6년 만에 PWF 회장직에서 물러난다고 발표했다. PWF 회장으로서의 그의 마지막 날은 2013년 6월 21일이었다.[9]

하세는 2017년 7월 26일 무토 게이지가 제작한 프로레슬링 마스터스 대회에서 링에 복귀했다. 11년만의 첫 경기를 레슬링으로 치른 하세는 리키 초슈, 후지나미 다쓰미와 팀을 이뤄 6인조 태그팀 경기에서 더 그레이트 무타, 더 그레이트 가부키, TNT를 꺾었다.[1] 2018년 8월 5일, 하세 히로시는 노무라 나오야, 요시타츠, 사카모토 카즈마에게 승리를 거둔 올 재팬쇼에서, 아키야마 준의 특별 파트너로 공개되었다. His last match to-date came later that month on the 21st, as he teamed up with Taiyo Kea, Shinjiro Otani, and Jinsei Shinzaki for a special one-night BATT reunion on Keiji Mutoh's Pro Wrestling Masters; defeating the Heisei Ishingun team of AKIRA, Akitoshi Saito, Shiro Koshinaka, and Masashi Aoyagi.

평판

그의 또래들 사이에서 하세는 프로레슬링계에서 가장 이기적이지 않은 레슬링 선수 중 한 명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으며, 언제나 누구를 끼워넣을 용의가 있다. 하세는 또한 안토니오 이노키와 자이언트 바바 양 밑에서 배우는 영광을 누렸으며, 두 사람 모두에게서 배운 몇 안 되는 사람 중의 한 사람이 되었다.

정치 경력

하세는 1995년 7월 이시카와 현을 대표하는 무소속 후보로 국민회의의 상원인 일본 참의원에 당선되었다. 이로써 그는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두 번째 프로레슬러 출신 정치인이 되었고, 첫 번째는 안토니오 이노키였다.[5]

2000년에는 이시카와 현을 대표하여 중의원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2005년부터 2006년까지 교육문화체육과학기술부 차관도 지냈다.[10]

국회의원으로서 하세는 주로 교육, 복지, 스포츠, 환경과 관련된 문제에 초점을 맞춰왔다.[4][10] 그는 헤이그 협약의 변호인이며 이혼이나 기타 일본의 부부 분쟁을 통해 분리된 자녀와 부모 사이의 방문권을 보장하기 위한 입법을 지지한다.[11] 2015년에는 일본의 성소수자 사회에 대한 차별을 조사하기 위한 다당화 코커스를 이끌기도 했는데, 이는 곧 있을 2020 도쿄 올림픽을 준비하기 위한 움직임이기도 하다.[12]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2015년 10월 7일 하세를 내각의 일부로 발표하면서 하세를 문부과학성 장관으로 임명했다.[3] 2020년 도쿄올림픽 주경기장 사업을 잘못 처리했다는 비난을 받고 자리에서 물러난 시모무라 하쿠분 대신 부임했다.[3][10]

사생활

1994년 하세는 작가 다카미 준의 딸 다카미 쿄코와 결혼했다.

선수권 대회 및 성과

1이 대회는 일본 도쿄에서 뉴재팬 프로레슬링과 세계선수권 레슬링의 인터로모니카드의 일환으로 우승했다.

참조

  1. ^ a b c "馳議員56歳の現役復帰 継続参戦イケる!大暴れ". Tokyo Sports (in Japanese). 2017-07-27. Retrieved 2017-07-27.
  2. ^ Meltzer, Dave (2017-11-05). "'Tokyo' Joe Daigo passes away at 75 years old". Wrestling Observer Newsletter. Retrieved 2017-11-05.
  3. ^ a b c "Abe retains key ministers, shifts focus to economy". Nikkei Asian Review. 2015-10-07. Retrieved 2015-10-08.
  4. ^ a b "Hase Hiroshi". Liberal Democratic Party of Japan. Retrieved 2015-10-08.
  5. ^ a b "Inoki knocked out; Hashimoto skates to win". The Japan Times, Weekly international edition. 1995-07-31. ProQuest 218977866.
  6. ^ Martin, James (2001). Calgary: The Unknown City. Arsenal Pulp Press. p. 69. ISBN 978-1551521114.
  7. ^ a b "Hiroshi Hase matches". CageMatch. Retrieved 3 March 2021.
  8.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7-07. Retrieved 2007-07-11.{{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9. ^ "全日本プロレス6・30両国大会に佐藤光留緊急参戦!海外遠征の延長を申し出た真田は欠場!馳氏が正式にPWF会長辞任". Battle News (in Japanese). 2013-06-25. Retrieved 2013-06-25.
  10. ^ a b c "Cabinet Profiles: Abe Cabinet (Formed October 7, 2015)". The Japan Times. 7 October 2015. Retrieved 2015-10-09.
  11. ^ "Lawmakers launch group to ensure visitations after divorce". Kyodo News International (via Global Post). 2014-03-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3-19. Retrieved 2015-10-09.
  12. ^ Aoki, Mizuho (2015-03-17). "Multiparty group to examine LGBT discrimination". The Japan Times. Retrieved 2015-10-09.
  13. ^ Royal Duncan & Gary Will (2000). "Japan: New Japan G-1 (Grade-1) Climax Tag Tournament Champions". Wrestling Title Histories. Archeus Communications. p. 374. ISBN 0-9698161-5-4.
  14. ^ "2001 New Japan Awards". Strong Style Spirit. Retrieved 2011-04-28.
  15. ^ a b c "PUROLOVE.com". www.purolove.com.
  16. ^ "Pro Wrestling Illustrated's Top 500 Wrestlers of the PWI Years". Wrestling Information Archiv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6-16. Retrieved 2010-09-15.
  17. ^ Whalen, Ed (host) (December 15, 1995). "Stampede Wrestling Hall of Fame: 1948-1990". Showdown at the Corral: A Tribute to Stu Hart. Event occurs at 27:55. Shaw Cable. Calgary 7.
  18. ^ "Stampede Wrestling Hall of Fame (1948-1990)". Puroresu Dojo. 2003.

외부 링크

정치국
선행자 문부과학성 장관
2015–2016
성공자
업적
선행자 슈퍼급 태그리그 우승자
1993 & 1994
포함: 무토 게이지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