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리우드 프리웨이
Hollywood Freeway할리우드 프리웨이 | ||||
---|---|---|---|---|
![]() 할리우드 프리웨이가 빨간색으로 강조되다 | ||||
경로 정보 | ||||
Caltrans에 의해 유지됨 | ||||
길이 | 16.6mi(26.7km) | |||
구성 요소 고속도로 | ![]() ![]() | |||
주요 접점 | ||||
남쪽 끝 | ![]() ![]() | |||
![]() ![]() ![]() | ||||
노스엔드 | ![]() | |||
고속도로 시스템 | ||||
서던캘리포니아 고속도로 시스템 | ||||
|
위치 | 로스앤젤레스 |
---|---|
길이 | 7mi[1](11km) |
존재했다 | 1962-현재 |
헐리우드 프리웨이는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Los Angeles, 그것이 떠나지 않는 경계)의 주요 고속도로 중 하나이며 미국에서 가장 붐비는 도로 중 하나이다.로스엔젤레스 분지와 샌 페르난도 계곡 사이의 주요 지름길인 카후엥가 고갯길을 통과하는 주요 노선이다.로스앤젤레스의 역사상 가장 중요한 고속도로 중 하나로 여겨지며 산 페르난도 계곡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2]로스앤젤레스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고속도로(아로요 세코 파크웨이 다음으로)이다.[2]4레벨 인터체인지 남쪽 끝에서 남동쪽 산 페르난도 밸리(Hollywood Split)의 벤투라 고속도로와의 교차점까지 미국 101번 국도의 일부로 서명되어 있다.이어 골든스테이트프리웨이(Interstate 5)에서 종착점 북쪽까지 170번 국도(SR 170)로 서명된다.
경로 설명
이 고속도로는 로스앤젤레스 시내의 포레벨 인터체인지에서 산 페르난도 계곡의 로스앤젤레스 선밸리 지구의 골든스테이트 프리웨이까지 이어진다.4단계 인터체인지에서 남동부 산 페르난도 밸리(일명 헐리우드 스플릿)의 벤투라 고속도로와의 교차점까지, 이 고속도로는 미국 101번 국도의 일부로 서명되어 있다.이후, 그것은 5번 주간 고속도로의 북쪽 종착역까지 170번 국도로 서명된다.
4단계 인터체인지로 알려진 헐리우드와 패서디나 프리웨이의 교차점은 로스앤젤레스의 주요 랜드마크 중 하나이며, 2차 세계대전 이후 도시의 발전의 상징이다.
캘리포니아 주립대로170번길
SR 170은 벤투라 고속도로와의 분기점에서 북쪽으로 향하는 항로를 시작하여 북쪽으로 고속도로를 계속한다.US 101은 고속도로를 떠나 벤투라 고속도로로 합류하여 서쪽으로 향한다.SR 134는 동쪽으로 향하는 벤투라 고속도로를 이어간다.남쪽 방향에는 "END Route 170"이라는 표지판이 붙어 있다.이상하게도 SR 134 West에서 US 101 South로 가는 교체가 없다.이 연결통로는 한 번도 결실을 맺지 못한 로렐 캐년 프리웨이가 건설될 때까지 보류되었다.그 방향으로 가고자 하는 운전자들은 카후엥가 대로에서 SR 134를 빠져나와 좌회전하고 란커심 블브드에서 계속해야 한다. 그리고 유니버설 스튜디오 근처의 표지판을 따라 US 101에 재진입해야 한다.마찬가지로 US 101 North에서 SR 134 East로의 교류가 없다.그 방향으로 가고자 하는 운전자들은 비넬랜드 에이브에 있는 US 101에서 나와 우회전하고 리버사이드 닥터에서 우회전하여 좌측에 SR 134로 진입해야 한다.이 교환은 "할리우드 스플릿"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 후 SR 170은 산 페르난도 계곡의 북동부를 통과하여 마침내 북쪽 방향 I-5로 합류한다.두 고속도로 사이의 각도가 너무 날카롭기 때문에 I-5 남쪽으로 가는 연결통로는 없다.
I-5와 할리우드 스플릿 인터체인지 사이 SR-170의 각 방향에는 하루 24시간 운행 중인 HOV 레인이 있다.북쪽 방향 SR-170 HOV 차선에서 북쪽 방향 I-5 HOV 차선으로, 남쪽 방향 I-5 HOV 차선에서 남쪽 방향 SR-170 HOV 차선으로 직접 연결된다.이를 통해 일반 차선으로 통합되지 않고 SR-14 HOV 차선(I-5부터)뿐만 아니라 I-5 HOV 차선과도 연결할 수 있다.
US 101의 이 부분과 전체 SR 170은 모두 캘리포니아 고속도로와 고속도로 시스템의 일부분이며,[3] 연방 고속도로청에 의해 미국의 경제, 국방 및 이동성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고속도로망인 [4]National Highway System의 일부분이다.[5]
칼트랜스는 2018년 현재 SR-170에 셔먼웨이와 할리우드 스플릿 양방향으로 사운드월을 추가할 계획이다.현재 고속도로 근처에 소음 공해를 일으키는 몇몇 이웃들이 있다.이제 사운드월(sound wall)이 제자리를 잡았으니 소음을 줄이고 스모그를 줄일 수 있다.
역사
할리우드 프리웨이에 대한 계획은 1924년 로스앤젤레스 유권자들이 로스앤젤레스 다운타운과 샌 페르난도 밸리 사이의 "스톱 프리 고속도로"를 승인하면서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2]헐리우드 프리웨이의 첫 번째 구간은 카후엥가 고갯길을 통과하는 1.6km 구간이었다.그 코너는 1940년 6월 15일에 오픈했다.그 후 "카후엔가 패스 프리웨이"로 알려지게 되었다.태평양 전기 철도 트롤리는 1952년까지 이 고속도로의 중앙을 달렸다.산 페르난도 계곡에서 로스앤젤레스 시내까지 이어진 고속도로의 다음 구간은 1954년 4월 16일 5,500만 달러를 들여 개통되었다.벤투라 고속도로에서 황금주 고속도로로 가는 마지막 구간은 1968년에 완공되었다.[2]
할리우드 프리웨이가 개통된 지 1년 만에 하루 평균 18만3천대의 차량이 이용했는데, 이는 휴대용으로 설계된 용량의 거의 두 배에 가까운 양이다.배우 밥 호프가 일상에서 "세계에서 가장 큰 주차장"이라고 불렀다.[2]
할리우드를 통과하는 구간은 인구 밀집 지역을 통해 건설된 최초의 구간으로, 휘틀리 하이츠의 루돌프 발렌티노 전 자택을 포함한 많은 건물들의 이동이나 철거가 요구되었다.이 고속도로는 또한 KTTV 스튜디오와 할리우드 장로교회를 중심으로 구부러지도록 설계되었다.[2]고속도로 건설을 위해 철거된 건물 잔해와 잔해 중 많은 부분이 현재 다저스타디움의 본거지인 차베스 라빈에 버려졌다.[2]
1967년 할리우드 프리웨이는 캘리포니아에서 램프미터가 설치된 첫 번째 고속도로였다.[2]
버몬트 애비뉴 출구 근처에는 겉으로 보기에 넓어 보이는 중앙 지대가 나무로 가득 차 있다.이곳은 한 번도 건설되지 않은 비벌리힐스 프리웨이가 할리우드 프리웨이와 합병할 예정이었던 곳이다.비벌리힐스 고속도로에 대한 계획은 1970년대에 중단되었다.[6]
할리우드 프리웨이는 할리우드-스튜디오시티 사이의 카후엔가 고갯길을 관통하는 6차선 짧은 고속도로인 오리지널 카후엔가 파크웨이를 확장한 것이다.카후엔가 파크웨이는 중앙분리대에 태평양전기철도 '레드카' 트랙을 설치했지만 1950년대까지 레드카 서비스가 급격히 줄면서 이 트랙은 운행되지 않았다.태평양 전기의 선로 우측 통로는 나중에 각 방향에서 추가 차선을 수용했다.
로스앤젤레스 고등학교의 두 번째 위치는 고속도로의 길목에 있었다.이 학교는 1917년에 세 번째 및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1948년까지 무단결석 문제가 있는 남자아이들을 위한 학교로 전환되었고, 그 때 고속도로로 진출하기 위해 철거되었다.[7]
SR 170은 원래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 근처의 I-5 인터체인지에서 I-405까지 로렐 캐년 대로, 크레센트 하이츠 대로, 라 시네가 대로의 정렬 아래 로렐 캐년 프리웨이로 운행될 예정이었다.사실, 맨체스터 애비뉴와 베니스 블브드 사이의 많은 라씨네가 블브드는 현재 로스엔젤레스 카운티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고속도로임에도 불구하고 몇 개의 등급으로 구분된 인터체인지로 고속도로 표준으로 건설되었다.
캘리포니아 입법부는 하이랜드 애버뉴를 따라 SR 170에 대한 주정부의 통제를 포기했고, 따라서 그 부분은 현재 LA시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8]
종료 목록
편지로 접두사가 붙은 경우를 제외하고, 우편물은 당시 존재했던 정렬을 바탕으로 1964년 그대로 도로 위에서 측정되었으며, 반드시 현재 주행거리를 반영하지는 않는다.R은 이후 노선 재편을 반영하고, M은 2차 재편을, L은 수정이나 변경으로 인한 중복을, T는 임시로 분류된 포스트마일(postmiles)을 나타낸다. 은 § 를[9]방해받지 않았거나 국지적 통제에 포기한 부문은 생략할 수 있다.전 노선은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로스엔젤레스에 있다.
포스트마일 [9][10] | 퇴장 [11][12] | 목적지 | 메모들 | ||||
---|---|---|---|---|---|---|---|
1.57[a] | — | ![]() ![]() ![]() ![]() ![]() ![]() ![]() | SR 110을 넘어 계속 | ||||
1.62[a] | 3B[b] | ![]() ![]() ![]() | 3번 출구로 서명됨, 헐리우드 Fwy 남쪽 끝, SR 110 출구 24a | ||||
US 101 출구 4A-12C 참조 | |||||||
11.65[a] | 13B[b] | ![]() | SR 170에서 5B 출구로 서명, SR 134 서쪽 출구 1A, 할리우드 스플릿 남단 | ||||
11.80[a] R14.50 | — | ![]() ![]() | US 101의 북쪽 끝, 헐리우드 퓨이 남쪽은 SR 170 출구를 따라 US 101 남쪽으로 5A, SR 134 서쪽 출구 1B | ||||
![]() | SR 170 북쪽 SR 101 북쪽 출구 13 북쪽 끝 할리우드 스플릿 북쪽 끝 | ||||||
R14.78 | 6A | 리버사이드 드라이브 | 남쪽 방향 출구 및 북쪽 방향 입구 | ||||
R15.37 | 6B | 매그놀리아 대로 – 노스 할리우드 | 북쪽 방향 6번 출구로 서명됨 | ||||
R15.99 | 7 | 버뱅크 대로 | |||||
R16.63 | 8A | 옥스나드 거리 | |||||
R17.25 | 8B | 빅토리 대로 | |||||
R18.27 | 9 | 셔먼 웨이 | |||||
R19.72 | 10 | 로스코에 대로 | |||||
R20.10 | 11A | 셸던 스트리트 | 북쪽 방향 출구 및 남쪽 방향 입구 | ||||
R20.55 | ♦ | ![]() | HOV 액세스 전용, 북쪽 방향 출구 및 남쪽 방향 입구 | ||||
11B | ![]() | 북쪽 방향 출구 및 남쪽 방향 입구, SR 170/할리우드 Fwy 북쪽 끝, I-5 남쪽 출구 153B | |||||
1.000 mi = 1.609 km, 1,000 km = 0.621 mi |
참고 항목
참조
- ^ 캘리포니아 교통부, 주 고속도로 교량 목록, 2007년 7월
- ^ a b c d e f g h Simon, Richard (December 19, 1994). "Hollywood Freeway Spans Magic and Might of L.A." Los Angeles Times.
- ^ "Article 2 of Chapter 2 of Division 1". California Streets and Highways Code. Sacramento: California Office of Legislative Counsel. Retrieved February 6, 2019.
- ^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March 25, 2015). National Highway System: Los Angeles, CA (PDF) (Map). Scale not given. Washington, DC: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Retrieved September 17, 2017.
- ^ Natzke, Stefan; Neathery, Mike & Adderly, Kevin (June 20, 2012). "What is the National Highway System?". National Highway System. Washington, DC: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Retrieved July 1, 2012.
- ^ "Highways From Hell". Los Angeles Magazine. December 1999.
- ^ "문제 소년들 모두 벨몬트 고등학교에 보내지지 않을 것이다."로스앤젤레스 타임즈.1948년 9월 3일 오후 1시
- ^ "Senate Bill No. 491; CHAPTER 451; An act to amend, repeal, and add Sections 116.870 and 116.880 of the Code of Civil Procedure, to amend Sections 14526.5 and 65074 of the Government Code, to amend Section 44241 of the Health and Safety Code, to amend Section 99164 of the Public Utilities Code, to amend Sections 143, 182.6, 182.7, 253.7, 392, 470, 485, 538, 890.4, and 2384 of the Streets and Highways Code, and to amend Sections 1808, 1808.1, 13558, 16020.1, 16020.2, 21455.7, 24002, 24017, 24604, 25104, 25305, 25803, 26311, 27400, 29007, 34500.3, 34500.5, and 34520 of, to amend, repeal, and add Sections 1656.2, 12517.1, 13369, 16000, 16000.1, 16075, 16251, 16377, 16378, 16430, and 16434 of, and to add Section 27154.1 to, the Vehicle Code, relating to transportation". California Office of Legislative Counsel. Retrieved March 12, 2019.
- ^ a b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State Truck Route List". Sacramento: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XLS file) on June 30, 2015. Retrieved June 30, 2015.
- ^ 캘리포니아 교통부, CSHS, 2005 및 2006의 모든 교통량
- ^ 캘리포니아 교통부, 캘리포니아 번호 출구 유니폼 시스템, 미국-101 노스바운드 및 미국-101 사우스바운드, 2008년 1월 접속
- ^ 캘리포니아 교통부, 캘리포니아 번호 출구 유니폼 시스템, SR-170 Northbound 및 SR-170 Southbound, 2008년 1월 접속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캘리포니아 주 도로 170번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경로 지도:
KML 파일(편집 • 도움말) |
- 캘리포니아 @ AARoads - 주정부로170번길
- 캘리포니아 고속도로: SR 170
- 라시네가 고속도로
- Cahuenga Parkway c1940 건설현장을 보여주는 고속도로 영화 제작자 (약 4:22 이후)
- 라이스토리: 순례교 카후엥가 파크웨이 완공 세부사항
- 1949년 캘리포니아 헐리우드 프리웨이가 건설되는 동안 교통을 완화하기 위해 임시로 건설된 우회도로의 이미지.로스앤젤레스 타임즈 사진 보관소(Collection 1429).UCLA 도서관 특별 소장품, 찰스 E.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대학의 영 리서치 라이브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