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워드 J. 브링턴

Howard J. Brewington
1995년 뉴멕시코 주 클라우드크로프트의 브루잉턴
혜성 발견 또는 공동 발견:다섯
C/1989 W1 혜성 (Aarseth-Brington)[1] 1989년 11월 16일
혜성 97P/메카프브링턴[2] 1991년 1월 7일
C/1991 Y1 혜성 (자노타-브링턴)[3] 1991년 12월 23일
혜성154P/브링턴 1992년 8월 28일
C/1996 N1 혜성 (브링턴) 1996년 7월 3일
  1. 1 노르웨이 크누트 아르셋과 공유
  2. 2 조엘 헤이스팅스 메트칼프(미국)와 공유
  3. 3 이탈리아 마우로 V. 자노타와 공유

하워드 J. 브링턴(Howard J. Brington, 1952년 12월 3일 사우스캐롤라이나 출생)은 미국의 혜성 발견자로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Sloan Digital Sky Survey)의 전직 전문 망원경 운영자였다.[1][2]

전기

아마추어 천문학자였던 브링턴은 집에서 만든 반사 망원경으로 밤하늘을 수작업으로 쓸면서 5개의 혜성을 시각적으로 발견하거나 공동발견했다.그는 그 임무를 위해 특별히 망원경을 설계했는데, 여기에는 8인치와 16인치 크기의 일차 거울을 직접 손으로 그라인딩하고 연마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었다.[3]Brington은 1989년 사우스 캐롤라이나에서 그의 첫 혜성을 발견했다.추가 발견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1990년 가을 뉴멕시코 남부로 이동해 클라우드크로프트 동쪽 산등성이에 혜성 사냥 전망대를 만들었다.[4]1991년부터 1996년까지 이전은 4개의 시각적 발견으로 결실을 맺었다.그의 뉴멕시코 혜성 중 97P/Metcalf-Brington과[5] 154P/Brington 두 개는 약 10년의 짧은 시간 궤도를 가지고 있다.[6]

1992년부터 NASA가 지원하는 로봇 망원경은 NEO(Near-Earth Object) 조사의 일환으로 혜성을 찾기 시작했다.이러한 발전으로 인해 브링턴은 시각적 혜성 발견의 종말을 예언하고, 1995년 여름 CCD 천문지 '혜성 사냥의 미래'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그에 대해 썼다.[7]브링턴의 후속 기사는 2015년 11월 스카이 텔레스코프 매거진 '최후의 비주얼 혜성 사냥꾼'을 통해 발표돼 그의 예측을 확인했다.

나사의 자동화된 순찰 범위가 시각적 혜성 사냥꾼들에게 남아 있는 가능성을 거의 남겨두지 않았기 때문에, Brington은 1999년에 혜성 사냥을 중단하고, 사우스 캐롤라이나로 다시 이동했고, 콜롬비아의 사우스 캐롤라이나 대학에 등록했다.2002년 여름 우등으로 졸업하였으며, 뉴멕시코 주립대학 천문과를 통해 연말까지 2.5m 망원경 운영자로 채용되었다.2002년부터 2015년까지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Sloan Digital Sky Survey)의 일환으로 뉴멕시코 선스팟아파치 포인트 천문대에서 일했다.[8]During Sloan projects SDSS-I through SDSS-IV, Brewington collected imaging and/or spectral data for projects including First-Phase Operations, Sloan Legacy Survey, SEGUE, Sloan Supernova Survey, APOGEE, BOSS, MARVELS, SEGUE-2, APOGEE-2, eBOSS, and MaNGA.[9]

현재 NMSU에서 은퇴한 브링턴은 두 번째 부인 마리아(일명 마야)와 함께 뉴멕시코 라스 크루체스에 살고 있다.그는 라스 크루스 천문 학회의 일원으로 전국 스타 파티에 자주 참석한다.[10]브링턴은 아마추어 라디오도 즐긴다.그는 아마추어 엑스트라 클래스 자격증을 땄고, 그의 전화번호는 KJ5NJ이다.[11]

수상

참고 항목

참조

  1. ^ Brington, Howard J. "My Comety & Life Come Full Circle" 2013년 7월: 82. 인쇄
  2. ^ 레비, 데이비드 H. "Consumped by Comets" 스카이 & 망원경: 스타트랙스 1995년 6월: 93. 인쇄.
  3. ^ 맥컬리프, 샤론 "Sky Watchers" 옴니: 1993년 8월: 36. 인쇄.
  4. ^ "IAU Minor Planet Center".
  5. ^ 보틀, 존 E. "코메트 다이제스트: P/Metcalf-Brington" 스카이 & 텔레스코프 1991년 4월: 447. 인쇄
  6. ^ 브링턴, 하워드 J. "혜성 사냥의 미래" CCD 천문학 1995년 여름: 50. 인쇄
  7. ^ 브링턴, 하워드 J. "최후의 비주얼 혜성 사냥꾼" 스카이 & 망원경: 2015년 11월 초점: 76. 인쇄
  8. ^ Brington, Howard J. "My Comety & Life Come Full Circle" 2013년 7월: 82. 인쇄
  9. ^ http://www.sdss.org/surveys/
  10.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3-04. Retrieved 2016-01-03.{{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11. ^ "ULS License - Amateur License - KJ5NJ - BREWINGTON, HOWARD J".
  12. ^ "Comet Aarseth-Brington" 1990년 4월 하늘 & 망원경: 455. 인쇄. (Comet A-B 사진)
  13. ^ "South Carolina Legislature Online - Search".
  14. ^ "IAU Minor Planet Center".
  15. ^ "TSP History".
  16. ^ "Archived cop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5-04-01. Retrieved 2015-04-01.{{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17. ^ "Faculty & Staff Members - Office of the Provost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