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성펑아이에
Hsiung Feng IIE흐성펑아이에 | |
---|---|
유형 | 순항 미사일 |
원산지 | ![]() |
서비스 이력 | |
가동중 | 2011-현재 |
사용자 | 중화민국(대만) 무장군 |
생산이력 | |
제조사 | 국립중앙과학원 |
단가 | ~3m USD(2003) |
생산됨 | ~300(2012),[1] 생산량 |
사양 | |
미사 | 1,600 kg(3,500 lb) |
길이 | 600cm(인치) |
지름 | 510mm(20인치) |
운영 범위 | 보고된 다양한 범위는 600km에서 2,000km 이상이다. |
최대 속도 | 아음속의 |
안내 계통상의 | GPS, TERCOM 및 관성 지침 |
흐엉펑IE(HF-2E; 중국어: 雄二二E巡飛;;; 점등. '브레이브 윈드IE 크루즈 미사일')는 대만 국립중앙과학원(NCSIST)이 개발한 지대지 순항미사일 시스템이다.
개발
대만 국방리뷰(TDR)에 따르면 HF-2E 지대공 순항미사일은 종종 잘못 보도되는 경우가 많아 Hsiung Peng 2 HF-2 대함미사일의 파생형이 아니다. 'HF-2E' 지정의 사용은 이러한 혼란의 일차적인 원인이며, 장거리 공격형 순항미사일인 프로젝트의 실체로부터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리기 위해 의도적으로 행해진 오보였다. HF-2E는 사실상 전혀 다른 설계로 대만 군에서도 미 해군 토마호크(RGM-109) 순항미사일과 비슷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2] 발사 중량은 고체 로켓 부스터를 포함해 3,300~3,500lb(1,500~1,600kg)인 것으로 알려졌다.[3] 본질적으로 군사 목표 세트, 특히 방공 소방대와 지휘통제 시설에 대항해 사용하도록 설계된 전술적 육상 공격 순항미사일로, 상대적으로 탄두 크기가 작고 조달용으로 계획한 미사일의 수가 다소 제한돼 있어 이것이 '첫 타격' 무기가 아님을 분명히 알 수 있다.[4]
이 프로젝트는 2001년에 처음 발표되었다. 2004년과 2005년 초 대만 남동부 주펑 미사일 사거리에서 여러 차례 시험발사를 한 데 이어 2005년 기준인 HF-2E(블록 I)가 작전평가(OPEVAL)를 마쳤으며, 이 미사일은 핑둥과 라뉴섬 사이의 대만 남동쪽 해안선에서 저고도 회선을 비행했다. 보도에 따르면 개량된 HF-2E 미사일은 2007년 2월 2일 주이펑 미사일 사거리에서 CSIST에 의해 시험되었다고 한다.[3] 2017년에 미사일은 해군 목표물에 대한 효과를 높이기 위해 대대적인 업그레이드를 받았다.[5]
설명
The baseline HF-2E Block I land attack cruise missile (LACM) is said to be powered by an indigenously-developed Taiwanese turbofan engine believed to be rated in the 800 lbf (3.6 kN) thrust range and developed by CSIST partially based on technology and experience from the Microturbo 078 turbojet engine used on Hsiung Feng 2 (HF-2) anti-ship cruise 미사일 표준형 단일폭발 1000lb(450kg)급 탄두를 장착하면 최대 사거리가 700㎞에 이른다고 한다. 다른 종류의 탄두들은 클러스터 잠수정과 하드 타깃 침투기 탄두와 같은 개발 중에 있다고 한다. 개발도 비록 국방 뉴스 보고서톤은 기존 엔진의 수정 및 미사일의 제어 및 전자 시스템의 재설계 및 감면과 결합을 통해, CSIST 충분한 내부 space/weight를 확보하기 위해 미사일에 2,000km,[3]에 대한 범위를 넓히는 추가 운반 연료에 할 수 있도록 했다고 보도했다그 다른 버전은 단지 800km의 미사일이었다.[4] 궁극적인 목표는 5,000 km(3,100 mi) 이상의 객관적 사거리를 가진 미사일을 개발하는 것이며, 뛰어난 연비와 임무 내구성을 가진 기술적으로 진보된 대만 발전소와 아마도 더 발전되고 가벼운 소형화 탄두를 사용하는 것이다.[3]
HF-2E Block I 미사일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 TERCOM 업데이트와 함께 관성 지침을 사용한다. 단말 안내에는 자율 디지털 표적 인식 시스템이 탑재된 적외선 호밍(이미징 적외선)을 사용한다. IIR 터미널 탐색기는 목표 획득에 사용되며 최적의 목표 지점을 확실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런 다음 대상 이미지를 온보드 유도 컴퓨터(DSMAC 터미널 안내)의 메모리에 있는 디지털화된 파일과 비교한다. HF-2E 블록 I 미사일의 순항 속도는 높은 아음속이며, 일반적으로 마하 0.75–Mach 0.85 (571–647mph; 919–1,041km/h) 범위에 있다. 미사일이 적대적 영토에 접근하면 고도 약 15~30m(4998ft)까지 하강하게 된다. 목표물에 대한 최종 접근방식에서, 미사일은 물리적 장벽을 피하고 IIR 탐색자가 목표물을 획득하고 최적의 목표 지점을 식별한 후 지정된 충격 지점으로 추락할 수 있도록 상승할 것이다. 대만 방위 검토 보고서는 HF-2E 블록 I 미사일의 종단 전 정확도가 약 15m라고 평가했다.[3]
생산 및 현장화
블락 1호 미사일의 저속 생산은 2005년 7월부터 시작될 예정이었으며 당초 R&D에 배정된 자금을 이용해 최소 5기의 미사일이 만들어졌다. 미사일당 단가는 308만 달러(2003년 미화 가치)로 추정됐다.[3] 2006년 작성된 또 다른 보고서에서는 24개의 이동식 발사대와 48개의 미사일로 구성된 3개의 배터리가 최종 시험 단계에 있으며 2년 이내에 실전 배치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6] HF-2E는 현재 프로젝트 치춘(戟隼, jǐzhn, arance hawk)에서 저량 생산 중이다. 타이베이 타임즈 뉴스 보도는 마잉주우 대통령이 2008년에 500-1000기가 넘는 HF-2E 미사일의 생산을 지시했다고 주장했다.[7] 이제 2011년에 전체 볼륨/시리얼 생산에 들어갈 수 있도록 승인 및 승인 완료.[8] 그것은 아마도 600 km (370 mi)의 440 lb (200 kg)의 단일 탄두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9] AP통신은 사거리 1500km를 보도했다.[5]
HF-2E 미사일은 주로 지상 이동식 발사대에 운용 배치된다. 발사체 차량은 날개와 제어지느러미가 접혀 있는 보호용 알루미늄 박스 발사대에 미사일을 싣고 있는데, 개념적으로 티엔궁 스카이 보우 시리즈 지대공 미사일과 HF-2 해안 방어 미사일의 트레일러 탑재 이동식 발사대와 유사하다. 발사대는 보통 군사 시설에서 강화된 대피소에 근거하고 있으며, 경계 상황 중에는 사전 조사된 원격 발사 현장에 배치된다.[3] SCMP는 HF-IIE가 PLA의 로켓 포스에 의해 면밀히 감시되고 있다고 보고했다.[10]
공군은 2021년 1월 개량형 HF-2E 미사일을 1차로 인도했다. 사거리는 1200km를 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배치된 미사일의 수는 기밀이다.[11][12]
일반적 특성
- 1차 기능: 지상공격 순항미사일
- 발전소: 지속적인 순항 비행을 위한 고체 추진제 로켓 부스터, 터보제트 또는 터보팬 엔진[3]
- 사정거리: 교대로 600km,[13] 1500km,[5] 2000km로 보고되었다.[3]
- 최고 속도: 마하 0.85(647mph; 1,041km/h)
- 지침: IIR(Ins and Commercial GPS) 및 비행 중 웨이포인트가 있고 디지털 지도/터레인 매칭 및 자동 표적 인식을 통해 터미널 안내를[3] 위한 전방 주시 영상 적외선(IIIR) 탐색기로 보정
- 발사 중량: 고체 로켓 부스터[2] 포함 3,000–3,500 lb(1,400–1,600 kg)
- 정밀도: 10m 이내
- 탄두: 200kg(440lb)
- 배포 날짜: 알 수 없는
참고 항목
참조
- ^ "TAIWAN". Nuclear Threat Initiative. Nuclear Threat. Retrieved 27 September 2020.
- ^ a b Fu S. Mei. 2001년 6월 21일 대만 국방 리뷰 "반격-결정적 역량 제1부" 발표
- ^ a b c d e f g h i j Fu S. Mei. "HF-2E Cruises Awars Tography", 대만 방위 검토, 2007년 3월 27일.
- ^ a b 민닉, 웬델. 2008년 9월 15일, Defense News, "대만 LACM 진행"
- ^ a b c Ralph, Jennings. "Taiwan steps up production of missiles to create asymmetric advantage over China military build-up". nationalpost.com. The Associated Press. Retrieved 6 May 2019.
- ^ 스톡스, 마크 A. "대만의 보안—특별 예산을 넘어" 2011년 4월 26일 미국 기업 공공 정책 연구소의 웨이백 머신(Wayback Machine, American Enterprise Public Public Policy Research.
- ^ 헤즐딘, 리처드 2008년 10월 29일, 타이베이 타임즈 "대만 미사일을 막으려는 미국: '방어 뉴스'"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July 2012. Retrieved 8 December 2010.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대만, 토착 미사일 능력 업그레이드 - Defensenews.com, 2017년 2월 6일
- ^ Chan, Minnie. "Taiwan reveals deterrent to China as satellite images show missile capable of targeting mainland". South China Morning Post. Retrieved 19 July 2019.
- ^ Yu, Matt; Lin, Ko. "Air Force command receives upgraded Hsiung Feng-2E missile system". focustaiwan.tw. Focus Taiwan. Retrieved 11 January 2021.
- ^ Chen, Kelvin. "Taiwan military has begun deploying extended-range cruise missiles". www.taiwannews.com.tw. Taiwan News. Retrieved 11 January 2021.
- ^ "Ministry mum on HF-2Es on Penghu - Taipei Times". www.taipeitimes.com. Retrieved 16 March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