훌완
Hulwan위치 | 이란 |
---|---|
지역 | 케르만샤 주 |
좌표 | 34°27′54″N 45°51′18″E / 34.46500°N 45.85500°E좌표: 34°27′54″N 45°51′18″E / 34.46500°N 45.85500°E/ |
훌완(페르시아어: حلان)은 이란 서부의 자그로스 산맥에 있는 고대 마을로, 페이탁 고개 입구에 위치해 있으며, 오늘날 사르폴-에 자합 마을과 동일시되고 있다.
역사
알 타바리가 기록한 후기 아랍 전통은 이 마을을 카바드 1세(488–496년, 498–531년 재지정)에 이르는 사사니아식 재단이라고 여겼으나 훨씬 더 오래된 것으로, 아시리아 시대부터 바빌로니아와 미디어의 국경에 놓여 있던 칼마누로 알려져 있었다.[1] 셀레우키드족에게는 찰라(그리스어: χάαα)로 알려져 있었으며 찰로니티스( (αλωνῖςς) 지역의 수도였다.[1][2][3] 디오도로스 시쿨루스에 따르면 이 명칭은 셀로네나 켈로나이(κέωωωωαι) 마을을 세운 크세르크세스가 보오티아에서 그리스 포로들이 정착한 데서 유래했다.[3]
사사니아 제국 하에서 훌완 지역은 [후스로] 샤드 페로즈("승리한 쿠스로의 기쁨")라고 불렸고, 도시 자체는 아마도 페로즈 카바드("승리한 카바드")라고 불렸을 것이다. 무슬림이 페르시아를 정복한 후, 이 단어는 아랍어로 번역되었고, 다음과 같이 알려지게 되었다: [쿠스로] 샤드 피루즈, 피루즈 쿠바드. 다른 미디어와 마찬가지로 북쪽의 쿼터(필수)에 속했지만, 호스로 2세(r. 590–628) 하에서는 사사니아 통치자들이 메소포타미아 평야에 있는 크테시폰의 수도에서 떨어진 여름 휴양지로 자그로스 산맥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메소포타미아와 함께 서부의 쿼터에 포함되었다.[4]
636년 카디시야 전투 이후 마지막 사사니아의 통치자 야즈데게르드 3세(r. 632–651)는 크테시폰에서 비행하는 동안 잠시 훌완으로 피신했다.[1][5] 637년 잘룰라 전투에서 또 한번 큰 패배를 당한 야즈데게르드는 훌완을 떠나 그의 영역의 동쪽 지방을 향했고,[6][7] 640년 야리르 이븐 압달라 바잘리 휘하의 추격하는 아랍인의 손에 마을이 넘어갔다.[8] 640년대 초 이 마을은 메소포타미아 저지대와 여전히 사사니아가 지배하는 이란 고원 사이의 국경 지대로서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라시둔 칼립스 아래 그곳에 정착한 페르시아 망명자(캄라)를 비롯한 군대가 주둔하였다.[4]
이슬람 초기인 10세기까지 이 마을은 "많은 과일을 생산하는 비옥한 지역의 번영하는 마을"이라고 묘사된다.[1] 이곳은 후라산 도로에 위치해 있었으며, 바그다드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는 지발 지방의 첫 번째 마을이었다.[9]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사니아 시대와 마찬가지로, 그것은 어학적으로 메소포타미아 저지대(사와드)에 묶여 있었다.[10] 무와위야 1세(재위 661–680)에 따라 서부 지발(마 알 쿠파)의 수도가 되었다.[10]
10세기 여행자 이븐 호칼에 따르면 이 마을은 디나바르 절반 크기였고, 집은 돌과 벽돌로 모두 지어졌다고 한다. 기후는 더웠지만 대추, 석류, 무화과는 풍성하게 자랐다. 10세기 후두드 알랄람에 따르면 이 마을의 무화과는 건조되어 널리 수출되었으며, 알 무카다시는 이 마을이 8개의 성문이 있는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으며, 이슬람교 회당과 함께 포함되었다고 덧붙인다.[11]
이 마을은 8세기에서 12세기 사이에 동방교회의 수도였다.
11세기경에는 반독립 아나지드 왕조의 지배를 받아 카쿠아이데스에게 쫓겨날 때까지 이 마을은 반독립적인 아나지드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1][12] 1046년 셀주크 투르크족에게 빼앗겨 불태웠으며, 1049년 지진으로 마을이 파괴되었다. 재건되기는 했지만 이전의 번영을 회복하지 못했고, 지금은 사르폴-에 자합 마을이다.[1]
참조
- ^ a b c d e f 록하트 1986, 페이지 571–572.
- ^ Huart 2013, 페이지 10.
- ^ a b Smith, William, ed. (1854–1857). "Chal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London: John Murray.
- ^ a b Morony 2005, 페이지 141.
- ^ 자링쿠브 1975 페이지 12-13.
- ^ 자링굽 1975, 페이지 13.
- ^ 모로니 2005, 페이지 192-193.
- ^ 자링굽 1975, 페이지 19.
- ^ 르 스트레인지 1905, 페이지 62–63, 191, 227–228.
- ^ a b 모로니 2005, 페이지 142.
- ^ 르 스트레인지 1905, 페이지 191.
- ^ 부세 1975쪽 297-298쪽
원천
- Busse, Heribert (1975). "Iran under the Būyids". In R.N. Frye (ed.).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4: From the Arab Invasion to the Saljuq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50–304. ISBN 9780521200936.
- Huart, Clément (2013) [1927]. Ancient Persia and Iranian Civilization. Routledge. ISBN 978-1136199806.
- Le Strange, Guy (1905). The Lands of the Eastern Caliphate: Mesopotamia, Persia, and Central Asia, from the Moslem Conquest to the Time of Timur. New York: Barnes & Noble, Inc. OCLC 1044046.
- Lockhart, L. (1986). "Ḥulwān". The Encyclopedia of Islam, New Edition, Volume III: H–Iram. Leiden, and New York: BRILL. pp. 571–572. ISBN 90-04-08118-6.
- Morony, Michael G. (2005). Iraq After the Muslim Conquest. Gorgias Press LLC. ISBN 1593333153.
- Zarrinkub, Abd al-Husain (1975). "The Arab conquest of Iran and its aftermath". In Frye, R. N.; Fisher, William Bayne; Gershevitch, Ilya; et al. (eds.).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4: From the Arab Invasion to the Saljuq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56. ISBN 0-521-200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