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인문학

Digital humanities
Voyant Tools에 있는 Jane Ousten의 오만과 편견과 함께 소설을 연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텍스트 분석 프로그램의 예

디지털 인문학(DH)컴퓨터디지털 기술인문학의 학문들이 교차하는 학문적 활동의 영역이다.인문학적 디지털 자원의 체계적 활용은 물론 그 적용에 대한 분석도 포함하고 있다.[1][2]DH는 협력적, 학제적, 그리고 계산적으로 관여된 연구, 교육 및 출판과 관련된 장학금 행위의 새로운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다.[3]인쇄된 단어가 더 이상 지식 생산과 유통의 주요 매개체가 아니라는 인식으로 디지털 도구와 방법을 인문학의 연구에 가져온다.[3]

DH는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과 기술을 생산하고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종류의 교육이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그것들이 문화유산과 디지털 문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 비판한다.[2]DH는 연구에도 적용된다.따라서, DH의 독특한 특징은 인문학과 디지털 간의 양방향 관계를 배양하는 것이다. 즉, 이 분야는 인문학적 연구와 주제 기술을 추구하기 위해 기술을 채택하고 있으며, 종종 동시에 인문학적 질의와 취조를 한다.

정의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정의는 학자와 실무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구체화되고 있다.분야가 끊임없이 성장하고 변화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정의는 빠르게 시대에 뒤떨어지거나 불필요하게 미래의 잠재력을 제한할 수 있다.[4]제2권 디지털 인문학 토론(2016년)은 분야 정의의 어려움을 인정하고 있다. "한 때 분야를 특징지었던 디지털 자료실, 정량적 분석, 도구 구축 프로젝트와 더불어 DH는 이제 대형 이미지 세트의 시각화, 역사적 3D 모델링 등 광범위한 방법과 관행을 포괄하고 있다.al 아티팩트, 'Born Digital' 논문, 해시태그 활동주의와 그 분석, 대체 리얼리티 게임, 모바일 메이커페이스 등.'빅 텐트' DH라고 불리던 곳에서는 디지털 인문학 작업이 정확히 어떤 것이 수반되는지 구체적으로 판단하기가 어려울 때가 있다.[5]

역사적으로 디지털 인문학은 인문학 컴퓨팅에서 발전하여 인문학적 컴퓨팅, 소셜 컴퓨팅, 미디어학 등 다른 분야와 연계되어 왔다.구체적으로 말하면, 디지털 인문학은 1차 출처의 온라인 컬렉션을 큐레이션하는 것(기본적으로 텍스트)에서부터 대규모 문화 데이터 세트의 데이터 마이닝, 주제 모델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를 수용한다.디지털 인문학과 전통적인 인문학 훈련의 방법을 결합한 것 둘 다 디지털화된(재조정)과 존재하는 문서의 자료를 통합시켜 도구 산출에 의해 하이퍼텍스트, hyp 같은 티켓 제공한(수사학, 역사, 철학, 언어학, 문학, 예술, 고고학, 음악, 문화 연구 등)과 사회 sciences,[6].음.정말미디어, 데이터 시각화, 정보 검색, 데이터 마이닝, 통계, 텍스트 마이닝, 디지털 매핑) 및 디지털 퍼블리싱.디지털 인문학의 관련 하위 분야는 소프트웨어 연구, 플랫폼 연구, 비판 코드 연구처럼 등장했다.디지털 인문학을 병행하는 분야로는 뉴미디어학, 정보과학은 물론 미디어 구성론, 게임학, 특히 디지털 인문 프로젝트 설계 및 제작 관련 분야, 문화 분석 등이 있다.각 징계 분야와 국가마다 고유의 디지털 인문학의 역사가 있다.[7]

디지털 인문학 스택(Berry and Fagerjord, 디지털 인문학: 디지털 시대의 지식과 비평)

베리와 파게르드는 디지털 인문학을 재인식하는 방법이 '디지털 인문학적 스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제안했다.이들은 "이러한 유형의 도표는 점점 증가하는 추상화 수준에서 기술이 어떻게 서로 '쌓여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계산과 컴퓨터 과학에서 흔히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여기서 [그들]은 고도의 지도를 제공할 목적으로 디지털 인문학으로 구성할 수 있는 활동 범위, 실천, 기술, 기술, 구조 등을 보다 잘 보여주고 창조적인 의미에서 이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8]실제로, "다이아그램"은 계산적 사고와 지식 표현과 같은 디지털 인문학 스택의 일부 기본 요소와 나중에 이것들에 구축되는 다른 요소들을 나타내는 하위 레벨로 읽힐 수 있다."[9]

실용적인 측면에서 디지털 인문학의 주요한 구분은 처리되는 데이터에 초점을 맞춘다.텍스트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디지털 인문학은 디지털 에디션, 계산 언어학, 자연 언어 처리의 길고 광범위한 역사를 바탕으로 구축되며 독립적이고 고도로 전문화된 기술 스택(텍스트 인코딩 이니셔티브의 사양을 크게 축약)을 개발했다.따라서 이 분야의 이 부분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인문학과는 '디지털 언어학' 또는 '컴퓨터 언어학'으로 구분되기도 한다.사물이나 유물의 디지털 에디션의 생성과 분석을 위해 디지털 언어학자들은 디지털 시대에 맞게 분야를 적응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 광학 문자 인식 의 디지털 관행, 방법, 기술에 접근할 수 있다.[10]

역사

디지털 인문학은 1946년 시작된 [11]예수회 학자인 로베르토 부사와 195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영어교수 조세핀 마일즈의 선구적 연구로 1940~5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인문컴퓨팅 분야에서 내려온다.[12][13][14][15]IBM과 협력하여, Busa와 그의 팀은 색인 Thomisticus로 알려진 Thomas Aquinas의 저술에 컴퓨터가 만들어낸 일치점을 만들었다.[3]다른 학자들은 메인프레임 컴퓨터를 사용하여 단어 검색, 분류, 계수 등의 작업을 자동화하기 시작했는데, 이것은 손으로 직접 쓰거나 타이핑한 색인 카드로 텍스트의 정보를 처리하는 것보다 훨씬 빨랐다.[3]고고학자들의 뒤를 이은 수십 년 동안, 고전학자, 역사가, 문학학자, 그리고 다른 분야의 광범위한 인문학 연구자들은 인문학적 학문을 변화시키기 위해 새로운 계산법을 적용했다.[16][17]

타라 맥퍼슨이 지적했듯이 디지털 인문학은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부터 전자 스크린 문화와의 많은 예술적, 이론적 교류를 통해 발전된 관행과 관점을 계승하기도 한다.이는 SIGGRAPH와 같은 기관에서 개발한 연구에서부터 찰스, 레이 임스와 같은 예술가들과 E.A.T(예술과 기술 분야 전문가) 회원들의 창작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Eames와 E.A.T.는 초기 컴퓨터 문화와 기술 혁신을 예술과 접목시킨 창의적인 작품에서 중간성을 탐구했다.[18]

디지털 인문학의 첫 전문 학술지는 1966년 첫 선을 보인 컴퓨터와 인문학이다.고고학에서의 컴퓨터 응용과 정량적 방법은 1973년에 설립되었다.그 후, 문학 언어 컴퓨팅 협회(ALC)와 컴퓨터 및 인문 협회(ACH)가 각각 1977년과 1978년에 설립되었다.[3]

곧 디지털 텍스트 태그를 부착하는 표준화된 프로토콜이 필요하게 되었고, TEI(Text Encoding Initiative)가 개발되었다.[3]TEI 프로젝트는 1987년에 시작되었고 1994년 5월에 TEI 가이드라인 제1차 정식 버전을 발표하였다.[14]TEI는 전자 텍스트 장학금 분야를 형성하는 데 일조했으며 디지털 편집 태그 체계인 확장 가능한 마크업 언어(XML)로 이어졌다.연구자들은 또한 표준적인 선형 인쇄 규약과는 반대로 링크와 노드를 중심으로 구조화된 데이터베이스와 초지문적 편집을 실험하기 시작했다.[3]90년대 미국 인문 컴퓨팅(예: Women Writers Project, Rossetti Archive,[19] The William Blake Archive[20])의 중심지에 주요 디지털 텍스트 및 이미지 아카이브가 등장하여 문학에 대한 텍스트 인코딩의 정교함과 견고함을 보여주었다.[21]퍼스널 컴퓨팅과 월드 와이드 웹의 등장은 디지털 인문학 작업이 텍스트 중심에서 벗어나 디자인 중심에서 더 멀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인터넷의 멀티미디어 특성으로 인해 디지털 인문학은 텍스트 외에도 오디오, 비디오 및 기타 요소들을 통합할 수 있게 되었다.[3]

'인문 컴퓨팅'에서 '디지털 인문학'으로 종말론적 변화가 생긴 것은 '디지털 인문학의 동반자'(2004)의 편집자로서 이 분야를 '미어 디지털화'[22]로 보지 못하도록 노력한 존 언스워스, 수잔 슈라이브먼, 레이 지멘스 덕분이다.그 결과 하이브리드 용어는 '디지털 사물을 연구하는 데 현대 인문학의 방법'[22]을 사용하는 수사학이나 구성과 같은 분야와 '전통적인 인문 사물을 연구하는 데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디지털 인문학의 공통점을 만들어냈다.[22]인문, 예술, 사회과학 내에서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과 컴퓨터 매체의 연구는 일반적으로 '컴퓨팅 턴'[23]이라고 불린다.

2006년 미국 국립인문학진흥원(NEH)이 디지털인문학구상(2008년 디지털인문학진흥원)을 발족해 미국에서 디지털인문학이라는 용어를 널리 채택했다.[24]

디지털 인문학은 이전의 틈새적 지위를 벗어나 2009년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MLA 컨벤션에서 "가장 활기차고 눈에 띄는 공헌 [25]중 일부"를 하고, 그 분야를 "오랜만에 처음으로" "차기 큰 것"으로 칭송받았다.[24][26]

2018년 11월 제10회 글로벌 피터 드러커 포럼은 '경영'이라는 주제로 진행됐다.인간의 차원."디지털 인문학 분야에서 그 발자취를 남긴 기사는 다음과 같다.

값 및 방법

디지털 인문학 프로젝트와 이니셔티브는 다양하지만 공통의 가치와 방법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28]이것들은 정의하기 어려운 이 분야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가치[28]

  • 비판적, 이론
  • 반복적이고 실험적인
  • 협업 및 배포
  • 멀티모달 및 퍼포먼스
  • 개방 및 액세스 가능

방법들[28]

  • 향상된 임계 큐레이션
  • 강화판 및 유체 텍스트 기능
  • 척도: 대수의 법칙
  • 원거리/밀집, 매크로/마이크로, 표면/깊이
  • 문화 분석, 집계 및 데이터 마이닝
  • 시각화 및 데이터 설계
  • 위치 조사 및 두꺼운 지도 작성
  • 애니메이션 보관소
  • 분산된 지식 생산 및 성과적 액세스
  • 인문학 게임
  • 코드, 소프트웨어 및 플랫폼 연구
  • 데이터베이스 다큐멘터리
  • 용도 변경 가능한 콘텐츠 및 리믹스 문화
  • 퍼베이시브 인프라
  • 유비쿼터스 장학금

개방적이고 접근하기 쉽다는 가치에 맞추어, 많은 디지털 인문학적 프로젝트와 저널은 개방형 접속 및/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싱에 따라 열려 있으며, 이 분야의 "개방형 표준과 오픈 소스에 대한 헌신"[29]을 보여준다.오픈 액세스는 인터넷이 가능한 장치와 인터넷 접속을 통해 누구나 유료 없이 웹사이트를 보거나 기사를 읽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적절한 권한으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디지털 인문학자 들은 기존의 연구 문제에 답하거나 기존의 이론 패러다임에 도전하기 위해 연산 방법을 사용하여 새로운 문제를 만들고 새로운 접근법을 개척한다.한 가지 목표는 현대의 경험적 사회과학에서처럼 컴퓨터 기술을 인문학자 활동에 체계적으로 통합하는 것이다.[30]그러나 디지털 인문학이 네트워크화되고 다중화된 형태의 지식으로 향하는 중요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디지털 인문학은 미디어학, 정보학, 커뮤니케이션학, 사회학 분야의 디지털 연구와 그 분야의 연구를 차별화하는 방법으로 문서와 텍스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디지털 인문학의 또 다른 목표는 텍스트 소스를 초월한 장학금을 만드는 것이다.여기에는 멀티미디어, 메타데이터 및 동적 환경의 통합이 포함된다(버지니아 대학그림자 프로젝트, 캘리포니아 남부동적 언어의 벡터즈 저널(Vectors Journal of Culture and Technology) 또는 하버드의[31] 디지털 개척자 프로젝트 참조).디지털 인문학의 연구자들이 구글 북스 코퍼스와 같은 대형 문화 데이터 세트를 분석하기 위해 계산법을 사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32]이러한 프로젝트의 예는 2008년 디지털 인문학의 사무국이 후원한 인문학적 고성능 컴퓨팅 대회와 [33]NSF와 협력하여 NEH가 2009년과[34] 2011년에[35] 조직한 데이터 파고들기 도전,[36] 그리고 영국의 JISC, 캐나다의 SSHRC와 제휴하여 강조되었다.[37]역사 신문은 책뿐 아니라 빅데이터 방식으로도 분석할 수 있다.방대한 양의 역사 신문 내용을 분석한 결과 주기적인 구조가 어떻게 자동으로 발견될 수 있는지 알 수 있었으며, 소셜 미디어에서도 이와 유사한 분석이 수행되었다.[38][39]빅데이터 혁명의 일환으로 수백만 건의 문서와[40][41][42][43][44] 한문으로 작성된 역사문서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 방식을 바탕으로 성별 편향성, 가독성, 콘텐츠 유사성, 독자 선호도, 심지어 분위기까지 분석해왔다.[45]

디지털 인문학도 소프트웨어 제작에 관여해 '태생 디지털'이며 다양한 디지털 맥락에서 생활하는 지식을 생산, 큐레이션, 상호작용할 수 있는 환경과 도구를 제공한다.[46]이런 맥락에서 이 분야를 계산 인문학이라고도 한다.

2012년[47] 미국 선거의 서술적 네트워크

도구들

디지털 인문학자들도 연구에 다양한 디지털 도구를 사용하는데, 모바일 기기처럼 작은 환경이나 가상현실 실험실처럼 큰 환경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디지털 장학금을 만들고, 출판하고, 일하는 환경에는 개인 장비부터 학원, 소프트웨어, 사이버 공간까지 모든 것이 포함된다."[48]고급 프로그래밍 언어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학자도 있고, 필요에 따라 덜 복잡한 도구를 사용하는 학자도 있다.DiRT(Digital Research Tools Directory[49])는 학자들을 위한 디지털 연구 도구의 등록부를 제공한다.TAPoR(Text Analysis Portal for Research[50])은 텍스트 분석 및 검색 도구의 관문이다.온라인 텍스트 분석 프로그램의 접근 가능하고 무료한 예는 Voyant Tools로,[51] 사용자가 텍스트 본문이나 URL 중 하나를 복사하여 붙여넣은 다음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복사' 버튼을 클릭하기만 하면 된다.또한 온라인 또는 다운로드 가능한 디지털 인문학 도구의 온라인[52] 목록도 있는데, 이는 주로 무료로, 자금 지원이나 제도적 서버에 대한 접근이 부족한 학생 및 다른 사람들을 돕기 위한 것이다.워드프레스오메카 같은 무료 오픈소스 웹 퍼블리싱 플랫폼도 인기 있는 툴이다.

프로젝트

디지털 인문학적 프로젝트는 전통적인 인문학적 작업보다 팀이나 연구소가 참여하기 쉬운데, 이 작업은 교수진, 직원, 대학원생 또는 학부생, 정보기술 전문가, 그리고 미술관, 도서관, 자료실, 박물관의 파트너들로 구성될 수 있다.이러한 협력적 성격을 반영하기 위해 여러 사람에게 학점과 저자가 주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전통적인 인문학의 유일한 저자 모델(더 나아가 자연과학에 가깝다)과는 다르다.[3]

디지털 인문학 사업은 한정적이거나 자금 지원이 없는 소규모 사업부터 다년간 재정 지원을 받는 대규모 사업까지 수천 건에 이른다.어떤 것들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지만, 어떤 것들은 지원이나 관심의 손실로 인한 것이 아닐 수 있지만, 베타 버전이나 완성된 형태로 온라인에 남아 있을 수도 있다.다음은 이 분야의 다양한 프로젝트들을 보여주는 몇 가지 예들이다.[53]

디지털 아카이브

여성작가프로젝트(1988년 베건)는 희귀문헌 전자수집을 통해 빅토리아 시대 이전의 여성작가들에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장기 연구 프로젝트다.월트 휘트먼 아카이브[54](begun, 1990년대 비건)는 휘트먼의 작품에 대한 하이퍼텍스트와 학술적 판을 만들려고 노력했으며, 현재는 사진, 소리, 휘트먼 비평의 유일한 포괄적인 현재 참고 문헌을 포함하고 있다.에밀리 디킨슨 아카이브([55]Emily Dickinson Archive, 2013년 begun)는 디킨슨의 시 원고를 고해상도로 표현한 영상과 시에 등장하는 9,000개가 넘는 단어의 검색 가능한 어휘를 모아 놓은 것이다.

국제연맹의[56] 기록 도구로서의 네트워크 분석

제인 랜더스가[58] 감독하고 밴더빌트 대학에서 주최하는 노예 협회 디지털 자료실[57](옛 노예 사회를 위한 교회 및 세속적 자료실)은 노예 사회의 아프리카인과 아프리카 민족과 관련된 멸종 위기에 처한 교회적이고 세속적인 문서들을 보존하고 있다.이 디지털 아카이브는 현재 16세기에서 20세기에 걸쳐 50만 개의 독특한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600만에서 800만 명의 개인들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그것들은 대서양 세계 아프리카인들의 역사에 대한 가장 광범위한 연재 기록이며 또한 그들과 함께 살았던 토착민, 유럽인, 아시아인들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최근 디지털 인문학 사업에 사서·기록가의 참여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디지털 컬렉션을 보존·홍보·접근하는 데 중요한 디지털 큐레이션은 물론, 디지털 인문학 프로제(proje)에 대한 학술적 지향성 적용도 다루고 있다.cts.[59] 특정한 예에는 기록학자들이 도서관 소장품의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평가, 구현 및 사용자 정의한 경험을 통해 그들의 프로젝트를 구축하는 것을 돕는 시책의 사례가 포함된다.[60]

멕시코 국립자치대학의 시책은 디지털 인문학 프로젝트의 또 다른 예다.여기에는 17세기 필사본의 디지털화, 16~19세기 멕시코 역사의 전자 말뭉치, 3-D로 히스패닉 이전의 고고학적 유적지 시각화 등이 포함된다.[61]

문화 분석

"문화적 분석"이란 대형 비주얼 컬렉션 및 현대 디지털 미디어의 탐사와 분석을 위해 연산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이 개념은 2005년 당시 캘리포니아 통신정보연구소(Calit2)의 퀄컴 연구소에 문화분석연구소를 설립한 레브 마노비치에 의해 개발됐다.실험실 컴퓨터 과학과 현대 역사적 시각media—for 예를 들어 컴퓨터 비전 많은 종류라고 불리는 분야와 방법을 사용해 왔으며 타임지의 모든 커버 1923년과 2009,[62]사이에 박물관 현대 미술관에 컬렉션에서 2만명의 역사적 예술 사진 뉴 York,[63]100만 페이지에(이미)로 출간하였다.m만화인스타그램에서 공유된 책과 1600만 개의 이미지들.[64][65]문화 분석에는 미디어 설계와 데이터 시각화의 방법을 사용하여 셀카시티 및 온 브로드웨이와 같은 대형 비주얼 컬렉션 탐사를 위한 대화형 시각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것도 포함된다.

문화 분석 연구는 또한 많은 이론적인 질문들을 다루고 있다.어떻게 하면 오늘날 만들어진 사용자 생성 미디어 콘텐츠와 전문 미디어 콘텐츠의 거대한 문화 공간을 평균, 특이치 또는 기존 범주로 축소하지 않고 "관찰"할 수 있을까?어떻게 우리가 문화에 대한 고정관념과 가정에 의문을 가질 수 있도록 큰 문화 자료를 사용할 수 있을까?새로운 메가 스케일, 속도, 연결성으로 글로벌 디지털 문화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어떤 새로운 이론적 문화적 개념과 모델이 필요한가?[66]

로 두 symposiums,[67]에 의해 UCLA또한 함께 대학과 기업 120명의 선구적인 연구원 학술 peer-review 저널 문화 Analytics의 labs,[68]를 4개월 긴 연구 프로그램:CA2016,는 경우 69로 설립될 용어"문화적 분석"(또는"문화 분석")지금 많은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사용된다.해결과 academic 직업 목록.

텍스트 마이닝, 분석 및 시각화

워드호어드(WordHoard, 2004년 begun)는 초기 그리스 서사시, 초서, 셰익스피어, 스펜서 등의 캐논을 비롯하여 학문적이지만 비기술적인 사용자가 깊이 태그된 텍스트를 새로운 방식으로 읽고 분석할 수 있는 무료 어플리케이션이다.편지 공화국(2008년 begun)[70]은 인터랙티브 지도와 시각화 도구를 통해 계몽주의 작가들의 소셜 네트워크를 시각화하고자 한다.네트워크 분석과 데이터 시각화는 또한 현장의 성찰에도 사용된다. 연구자들은 디지털 인문학자 및 프로젝트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소셜 미디어 상호작용의 네트워크 맵이나 인포그래픽을 만들 수 있다.

네트워크 분석: 디지털 인문학 트위터 사용자[71] 그래프

맥락이(DICT)분석 style[72]고 온라인 데모 툴의 서면은 상호 작용적인 방법으로 사용자들 영어 단어를 입력 텍스트의 저자에 의해 사용되는 텍스트 작성할 때, 그 작가 anachronisms 또는 neologisms 더 자주 나타나는지 알고 상당한 의미와 영국 CSE사의 텍스트에서 조건을 탐지할 수 있게 해 허용하다.차에이지

문화변화의 거시적 경향 분석

컬투로믹스는 디지털화된 지문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인간의 행동문화적 경향을 연구하는 계산 어휘학의 한 형태다.[73][74]연구자들은 언어와 단어 사용에 반영된 문화 현상을 조사하기 위해 대규모 디지털 자료실채굴한다.[75]이 용어는 2010년 하버드대 연구원인 장바티스트 미셸과 에레즈 리버먼 에이든이 공동 저술한 '수백만 권의 디지털화된 책을 이용한 문화의 정량적 분석'이라는 과학 논문에 처음 기술된 미국의 신조어다.[76]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에 게재된 2017년 연구는[44] 2010년 사이언스 기사에서[76] 두 디지털화된 책에 수록된 시간 경과에 따른 n그램의 궤적을 150년 동안 영국 지역 신문의 대형 말뭉치에서 발견된 궤적과 비교했다.이 연구는 더 나아가, 보다 진보된 자연 언어 처리 기술을 사용하여 특정 사건에 대한 정확한 날짜와 함께 성 편향, 지리적 초점, 기술, 정치 등 역사와 문화의 거시적 추세를 발견하였다.

온라인 출판

스탠포드 철학 백과사전(1995년 베건)은 그 분야의 학자들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용어와 개념, 철학 출신의 인물들을 역동적으로 참조한 작품이다.MLA 커먼스는[77] 인문학의 디지털 교육학에서 교육 유물을 지속적으로 큐레이션한 컬렉션을 위해 공개 동료 검토 사이트(누구나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곳)를 제공한다. 개념, 모델 실험(2016).[78]'디지털 인문학의 토론' 플랫폼에는 같은 제목의 오픈 액세스 책(2012, 2016판)이 수록돼 있어 독자들이 문장을 흥미롭게 표시하거나 크라우드소싱 인덱스에 용어를 추가해 자료와 교류할 수 있다.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예를 들어 일부 연구기관은 위키미디어 재단 또는 커뮤니티의 자원봉사자들과 협력하여 위키미디어 커먼스를 통해 자유롭게 허가된 미디어 파일을 이용할 수 있게 하거나 데이터 세트를 위키다타와 연결하거나 로딩한다.위키백과 기사나 자매 프로젝트에 대한 기고 이력에 대한 텍스트 분석이 수행되었다.[79]

비판

2012년, Matthew K. Gold는 디지털 인문학 분야에 대한 인식된 비판의 범위를 파악했다: "인종, 계급, 성별, 성별, 성적 문제에 대한 관심 부족, 교육학적 프로젝트보다 연구 중심적인 프로젝트에 대한 선호, 정치적 헌신의 부재, 실무자들 사이의 부적절한 다양성 수준, 능력 부족"."저작권 하에서 본문을 다루고 있으며, 자금이 풍부한 연구 대학에 제도적으로 집중되어 있다."[80]마찬가지로 베리와 파게르드는 디지털 인문학은 "계산적 이미지의 함축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할 필요성에 초점을 맞춰야 하며, 이와 관련하여 몇 가지 의문을 제기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이는 디지털 기술과 알고리즘, 소프트웨어에 내재된 정치와 규범의 중요성을 예고하기 위함이다.친밀하고 원거리적인 텍스트 판독 사이에서 어떻게 협상할 것인지, 미시적 분석과 거시적 분석이 휴머니스트적 작업에서 어떻게 유용하게 조정될 수 있는지 탐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81]앨런 류는 "디지털 휴머니스트들이 도구, 데이터, 메타데이터를 비판적으로 개발하는 반면(예를 들어 '순서가 지정된 콘텐츠 객체 계층화' 원칙에 대해 논의하고, 컴퓨팅이 진실 발견에 가장 적합한지 여부를 논쟁하고, 리사 새뮤얼스와 제롬 맥갠의 말처럼 '변형성' 등) 비판의 범위를 f까지 넓히는 일은 거의 없다"고 주장했다.① 사회, 경제, 정치 또는 문화의 등록부를 뽑는다.[82]이러한 우려 중 일부는 CDH(Critical Digital Humanics)의 새로운 하위 분야를 야기했다.

몇 가지 중요한 질문은 다음과 같다: 소프트웨어 연구에서 보이지 않는 것을 어떻게 볼 수 있는가?지식은 코드와 소프트웨어를 통해 매개될 때 어떻게 변화되는가?빅 데이터, 시각화, 디지털 방법 등에 대한 중요한 접근 방식은 무엇인가?계산이 어떻게 새로운 징계 경계와 게이트 유지 기능을 만들까?디지털의 새로운 패권적 표현인 '지온', '픽셀', '파동', 시각화, 시각화, 수사학 등은 무엇인가?미디어의 변화는 인식론적 변화를 어떻게 만들고,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화면적 본질주의' 뒤에 우리는 어떻게 볼 수 있을까?여기서 우리는 또한 볼 수 없게 만드는 연습이 포착할 내용에 대한 선택을 포함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성찰할 수 있다.[81]

부정적인 홍보

로렌 F.클라인과 골드는 디지털 인문학이 대중 매체에 많이 등장하는 것이 비판적인 경향이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뉴욕 타임즈》에 기고하는 아르망 레로이(Armand Leroi)는 문학 지문에 있는 테마의 알고리즘 분석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문학의 테마를 질적, 현상적으로 분석하는 해롤드 블룸의 작품 사이의 대조를 논한다.Leroi는 디지털 인문학이 진정으로 문학 및 사회 현상에 대한 견실한 분석을 제공할 수 있는지, 아니면 그에 대한 참신한 대안적 관점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문학 이론가인 스탠리 피쉬는 디지털 인문학이 혁명적인 어젠다를 추구하고 있으며, 따라서 '선(先)성(先)성(先)성(後)성(後)성(後)성), 권위, 징계력'이라는 종래의 기준을 훼손한다고 주장한다.[83]그러나 디지털 인문학자들은 "디지털 인문학은 전통적 지식 기술과 방법의 연장이지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지적한다.이것의 독특한 기여는 과거의 통찰력을 지우는 것이 아니라 '실천 공동체 안에서 학문적 해석, 지식연구, 구조화된 주장, 대화'에 대한 인문학의 오랜 헌신을 더하고 보완한다.[3]

일부 사람들은 디지털 인문학이 인문학의 명백한 문제들, 즉 자금 지원의 감소, 토론의 반복, 이론적 주장과 방법론적 논쟁의 퇴색에 대한 해결책으로 환영했다.[84]신공화국에서 글을 쓰는 아담 커쉬는 이를 디지털 인문학의 '거짓 약속'이라고 부른다.[85]나머지 인문학과와 많은 사회과학부는 자금이나 명성이 떨어지는 반면 디지털 인문계는 자금과 명성이 높아지고 있다.참신함의 문제를 안고 있는 디지털 인문학은 평소 구상했던 인문학에 대한 혁명적인 대안이나 단순히 낡은 병에 담긴 새 포도주로 논의되고 있다.Kirsch는 디지털 인문학 개업자들이 학자들보다는 마케터라는 문제에 시달린다고 믿는다. 그들은 실제로 새로운 분석을 하는 것보다 연구의 거대한 능력을 증명하고, 그렇게 할 때, 연구의 사소한 잡동사니들만 하는 것이다.칼 스툼쉐인에서 '디지털 인문 거품'이라고 부르는 인사이드 고등교육에 글을 쓰는 등 다른 사람들이 이런 식의 비판을 반복해 왔다.[86]같은 간행물 후반부에 스트라움쉬인은 디지털 인문학이 인문학의 '기업 구조조정'이라고 주장한다.[87]일부에서는 디지털 인문학과 비즈니스와의 제휴가 재계의 관심을 더 많이 불러일으키고, 이에 따라 필요한 자금과 관심을 인문학에 가져오게 하는 긍정적인 전환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88]디지털 인문학이라는 타이틀에 부담을 느끼지 않았다면 엘리트주의적이고 부당하게 자금을 지원했다는 의혹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89]

블랙박스

입력하는 데이터가 어떻게 되는지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오류가 있는지 충분히 검사할 수 없는 소프트웨어의 '블랙박스'를 지나치게 신뢰하는 학자들의 디지털 인문학 도구 사용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90]요한나 드러커 UCLA 정보학부 교수는 디지털 인문학자들과 일반 대중이 사용하는 인기 있는 시각화 도구와 기술(구글의 n그램 그래프 등)에 만연한 '인종론적 오류'를 비판하면서 일부 네트워크 다이어그램과 주제 모델링 도구는 "hu에게 너무 조잡하다"고 말했다.인간적인 일."[91]이러한 프로그램들의 투명성 부족은 "화면 디스플레이를 위한 전통적인 알고리즘에 기반한 표준 도표를 만드는 것... 데이터 처리의 의미론이 명백해지는 것을 매우 어렵게 만든다"[91]고 그녀는 주장한다.

다양성

또한 최근 디지털 인문학의 실무자들 사이에서 인종과/또는 정체성 정치가 하는 역할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다.타라 맥퍼슨은 디지털 인문학의 인종적 다양성 부족의 일부를 유닉스(UNIX)와 컴퓨터 자체의 양식성 탓으로 돌린다.[92]최근 아마존닷컴의 한 오픈 스레드는 디지털 인문학의 인종 문제에 대해 100개가 훨씬 넘는 논평을 얻었으며, 학자들은 인종(및 다른) 편견이 디지털 인문학의 연구에 이용 가능한 도구와 지문에 영향을 미치는 양에 대해 논쟁을 벌였다.[93]맥퍼슨은 분석 대상이 인종에 관한 것이 아닌 것처럼 보일 때에도 디지털 기술과 인종의 함의를 이해하고 이론화할 필요가 있다고 단언한다.

Amy E. Earhart는 단순한 HTML을 사용하는 웹사이트에서 TEI의 사용으로 그리고 텍스트 복구 프로젝트에서 비주얼로 전환하면서 새로운 디지털 인문학적 "캐논"이 된 것을 비판한다.[94]이전에 분실되거나 배제된 작품들은 인터넷에서 새로운 보금자리를 제공받았지만, 전통 인문학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소외 관행의 상당부분도 디지털 방식으로 이루어졌다.이어하트에 따르면, "우리가 디지털 휴머니스트로서 전통적 텍스트에 치우쳐 여성, 유색인종, LGBTQ 공동체의 중요한 작업을 배제하는 캐논을 건설하고 있는 캐논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94]고 한다.

액세스 문제

디지털 인문학의 실무자들도 장애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George H. Williams는 "예를 들어, 시각장애인이거나 시력이 낮거나 특정 색상을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그렇지 않으면 가장 귀중한 디지털 자원의 많은 수가 쓸모 없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범용적 설계가 사용성을 증가시키는 데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95]접근성과 생산적인 유니버설 디자인을 성공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용자가 정보 요구에 다르게 접근한다는 것을 기억하면서 장애 사용자가 디지털 자원을 사용하는 이유와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95]

문화비평

디지털 인문학은 인문학에서 혈통·역사의 전통적인 질문을 무시했을 뿐 아니라 인문학을 규정하는 근본적인 문화비판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그러나 인문학이 인문학이 되기 위해서는 문화비평, 즉 문화비평에 얽매여 있어야 하는지 아닌지는 두고 볼 일이다.[82][17]과학은[vague] 디지털 인문학이 인문사회과학의 비양적 방법에 비해 환영할 만한 발전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96][97]

평가의 어려움

분야가 성숙함에 따라 웹 사이트 컴포넌트, 데이터베이스, 기타 비인쇄물 등을 수반하는 디지털 인문학 프로젝트에는 학술적 동료 검토의 표준 모델이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는 인식이 있었다.따라서 품질과 영향을 평가하려면 이전 및 새로운 안전 점검 방법의 조합이 필요하다.[3]한 가지 반응은 DHCommons Journal의 창간이었다.이는 비전통적인 제출물, 특히 중간 단계의 디지털 프로젝트를 수용하며 디지털 인문학 프로젝트의 멀티미디어, 학제간, 이정표 중심적 성격에 더 적합한 동료 검토의 혁신적인 모델을 제공한다.미국역사협회, 현대언어협회 등 다른 전문 인문학 단체들은 학술 디지털 장학금 평가 지침을 개발했다.[98][99]

교육학에 대한 집중력 부족

2012년판 '디지털 인문학 토론'에서는 교육학이 DH의 '부적절한' '스텝차일드'라는 사실을 인정하고 디지털 인문학을 가르치는 전 영역을 포함시켰다.[5]인문학의 보조금이 측정하기 어려운 혁신을 가르치기보다는 수량화할 수 있는 결과를 가진 연구에 더 맞추어져 있다는 것도 그 이유 중 하나이다.[5]교수 분야에 대한 더 많은 장학금의 필요성을 인정받아 편집본 디지털 인문 교육학을 발간하고 다양한 분야의 디지털 인문학적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을 다루기 위한 사례 연구와 전략을 제공하였다.

참고 항목

참조

  1. ^ Drucker, Johanna (September 2013). "Intro to Digital Humanities: Introduction". UCLA Center for Digital Humanities. Retrieved 26 December 2016.
  2. ^ a b Terras, Melissa (December 2011). "Quantifying Digital Humanities" (PDF). UCL Centre for Digital Humanities. Retrieved 26 December 2016.
  3. ^ a b c d e f g h i j k Burdick, Anne; Drucker, Johanna; Lunenfeld, Peter; Presner, Todd; Schnapp, Jeffrey (November 2012). Digital_Humanities (PDF). Open Access eBook: MIT Press. ISBN 9780262312097.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6 October 2016. Retrieved 26 December 2016.
  4. ^ Warwick, Claire; Terras, Melissa; Nyhan, Julianne (9 October 2012). Digital Humanities in Practice. Facet Publishing. ISBN 9781856047661.
  5. ^ a b c "Debates in the Digital Humanities". dhdebates.gc.cuny.ed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May 2019. Retrieved 29 December 2016.
  6. ^ "Digital Humanities Network". University of Cambridge. Retrieved 27 December 2012.
  7. ^ Crymble, Adam (2021). Technology and the Historian. Topics in the Digital Humanities. Champaign: University_of_Illinois_Press. ISBN 978-0-252-08569-7.
  8. ^ Berry, David M.; Fagerjord (2017). Digital Humanities: Knowledge and Critique in a Digital Age. UK: Polity. p. 18. ISBN 9780745697666.
  9. ^ Berry, David M.; Fagerjord (2017). Digital Humanities: Knowledge and Critique in a Digital Age. UK: Polity. p. 19. ISBN 9780745697666.
  10. ^ 앤드루스, 타라 L (2012년 3월 31일)"제3의 방법: 디지털 시대의 언어학과 비평판"로도피 / 베른 오픈 리포지토리 및 정보 시스템(BORIS)2021년 6월 6일 회수
  11. ^ Stagnaro, Angelo. "The Italian Jesuit Who Taught Computers to Talk to Us". ncregister.com. National Catholic Register. Retrieved 4 April 2020.
  12. ^ Heffernan, Laura; Sagner Buurma, Rachel (11 April 2018). "Search and Replace: Josephine Miles and the Origins of Distant Reading". Modernism / Modernity Print+. 3 (1). Retrieved 17 August 2018.
  13. ^ Svensson, Patrik (2009). "Humanities Computing as Digital Humanities". Digital Humanities Quarterly. 3 (3). ISSN 1938-4122. Retrieved 30 May 2012.
  14. ^ a b Hockney, Susan (2004). "The History of Humanities Computing". In Susan Schreibman; Ray Siemens; John Unsworth (eds.). Companion to Digital Humanities. Blackwell Companions to Literature and Culture. Oxford: Blackwell. ISBN 978-1405103213.
  15. ^ Wimmer, Mario (Fall 2019). "Josephine Miles (1911–1985): Doing Digital Humanism with and without Machines" (PDF). History of Humanities. 4 (2): 329–334. doi:10.1086/704850. S2CID 214042140.
  16. ^ Feeney, Mary & Ross, Seamus (1994). "Information Technology in Humanities Scholarship, British Achievements, Prospects, and Barriers". Historical Social Research. 19 (1 (69)): 3–59. JSTOR 20755828.
  17. ^ a b Berry, David M.; Fagerjord, Anders (2017). Digital Humanities: Knowledge and Critique in a Digital Age. Cambridge: Polity. ISBN 978-0-7456-9765-9.
  18. ^ 맥퍼슨, 타라 "DH by Design:페미니즘, 미학 + 디지털."사회과학과 인문학의 의회.캘거리 대학교 2016-05-31기조.
  19. ^ Jerome J. McGann (ed.), Rossetti Archive, Institute for Advanced Technology in the Humanities, University of Virginia, retrieved 16 June 2012
  20. ^ Morris Eaves; Robert Essick; Joseph Viscomi (eds.), The William Blake Archive, retrieved 16 June 2012
  21. ^ Liu, Alan (2004). "Transcendental Data: Toward a Cultural History and Aesthetics of the New Encoded Discourse". Critical Inquiry. 31 (1): 49–84. doi:10.1086/427302. ISSN 0093-1896. JSTOR 10.1086/427302. S2CID 144101461.
  22. ^ a b c Fitzpatrick, Kathleen (8 May 2011). "The humanities, done digitally".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Retrieved 10 July 2011.
  23. ^ Berry, David (1 June 2011). "The Computational Turn: Thinking About the Digital Humanities". Culture Mach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January 2012. Retrieved 31 January 2012.
  24. ^ a b Kirschenbaum, Matthew G. (2010). "What is Digital Humanities and What's it Doing in English Departments?" (PDF). ADE Bulletin. No. 150.
  25. ^ Howard, Jennifer (31 December 2009). "The MLA Convention in Translation".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ISSN 0009-5982. Retrieved 31 May 2012.
  26. ^ Pannapacker, William (28 December 2009). "The MLA and the Digital Humanities"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Brainstorm. Retrieved 30 May 2012.
  27. ^ Petriglieri, Gianpiero (2 November 2018). "Business Does Not Need the Humanities — But Humans Do". Harvard Business Review.
  28. ^ a b c Honn, Josh. "A Guide to Digital Humanities: Values Methods". Northwestern University Libra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September 2015. Retrieved 19 September 2015.
  29. ^ Bradley, John (2012). "No job for techies: Technical contributions to research in digital humanities". In Marilyn Deegan; Willard McCarty (eds.). Collaborative Research in the Digital Humanities. Farnham and Burlington: Ashgate. pp. 11–26 [14]. ISBN 9781409410683.
  30. ^ "Grant Opportunities".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Office of Digital Humanities Grant Opportunities. Retrieved 25 January 2012.[영구적 데드링크]
  31. ^ "Harvard University Arts & Humanities Research Computing – Harvard University Arts & Humanities Research Computing". Harvard University Arts & Humanities Research Computing.
  32. ^ Roth, S. (2014), "유행 기능.기능 차별화 경향에 대한 Google의 n그램 보기(1978-2000), 국제 기술인간 상호작용 저널, 밴드 10, Nr. 2, S. 34-58(http://ssrn.com/abstract=2491422)).
  33. ^ Bobley, Brett (December 1, 2008). "Grant Announcement for Humanities High Performance Computing Program".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6, 2012. Retrieved May 1, 2012.
  34. ^ "Awardees of 2009 Digging into Data Challenge". Digging into Data.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May 2012. Retrieved 1 May 2012.
  35. ^ "NEH Announces Winners of 2011 Digging Into Data Challenge".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3 January 2012. Retrieved 1 May 2012.
  36. ^ Cohen, Patricia (16 November 2010). "Humanities Scholars Embrace Digital Technology". The New York Times. New York. ISSN 0362-4331. Retrieved 7 June 2012.
  37. ^ Williford, Christa; Henry, Charles (June 2012). "Computationally Intensive Research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 Report on the Experiences of First Respondents to the Digging Into Data Challenge". Council on Library and Information Resources. ISBN 978-1-932326-40-6.
  38. ^ Dzogang, Fabon; Lansdall-Welfare, Thomas; Team, FindMyPast Newspaper; Cristianini, Nello (8 November 2016). "Discovering Periodic Patterns in Historical News". PLOS ONE. 11 (11): e0165736. Bibcode:2016PLoSO..1165736D. doi:10.1371/journal.pone.0165736. ISSN 1932-6203. PMC 5100883. PMID 27824911.
  39. ^ 위키백과 검색 및 트위터 포스트, F Dzogang, T Lansdall-Welfare, N Christianini – 2016 IEEE 국제 데이터 마이닝 회의, 인간 활동 분석 데이터 마이닝 워크숍에 의해 드러난 집단 무드의 계절적 변화
  40. ^ Flaounas, I.; Turchi, M.; Ali, O.; Fyson, N.; Bie, T. De; Mosdell, N.; Lewis, J.; Cristianini, N. (2010). "The Structure of EU Mediasphere". PLOS ONE. 5 (12): e14243. Bibcode:2010PLoSO...514243F. doi:10.1371/journal.pone.0014243. PMC 2999531. PMID 21170383.
  41. ^ Lampos, V; Cristianini, N (2012). "Nowcasting Events from the Social Web with Statistical Learning". ACM Transactions on Intelligent Systems and Technology. 3 (4): 72. doi:10.1145/2337542.2337557. S2CID 8297993.
  42. ^ NOAM: 뉴스 매체 분석 및 모니터링 시스템; 2011년 ACM SGIMOD 국제 데이터 관리 회의의 I Flaownas, O Alli, M Turchi, T Snowill, F Nicart, T De Bi, N Christianini Proc.
  43. ^ 미디어 콘텐츠의 패턴 자동 검색, N Christianini, Combinatorial Pattern Matching, 2011년 2-13
  44. ^ a b Lansdall-Welfare, Thomas; Sudhahar, Saatviga; Thompson, James; Lewis, Justin; Team, FindMyPast Newspaper; Cristianini, Nello (9 January 2017). "Content analysis of 150 years of British periodical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4 (4): E457–E465. doi:10.1073/pnas.1606380114. ISSN 0027-8424. PMC 5278459. PMID 28069962.
  45. ^ 볼, P. K., C.L. 류, H. Wang. (2015) "언어 모델 기반의 접근방식으로 디팡지에서의 전기적 정보 채굴 및 발견", 2015년 디지털 인문학을 주제로 한 국제회의의 진행"(https://arxiv.org/abs/1504.02148)
  46. ^ Presner, Todd (2010). "Digital Humanities 2.0: A Report on Knowledge". Connexions. Retrieved 9 June 2012.
  47. ^ 빅데이터 및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미국 대선 자동분석 : S 수다하르, GA 벨트리, N Christianini; Big Data & Society 2 (1), 1-28, 2015
  48. ^ 가디너, 에일린, 로널드 G.무스토. (2015년)디지털 인문학: 학생과 학자들을 위한 입문서.케임브리지: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83쪽
  49. ^ "Welcome // - DiRT Directory". dirtdirectory.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April 2019. Retrieved 26 December 2016.
  50. ^ "TAPoR". tapor-test.artsrn.ualberta.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September 2017.
  51. ^ "Voyant Tools". voyant-tools.org.
  52. ^ "dhresourcesforprojectbuilding [licensed for non-commercial use only] / Digital Humanities Tools". dhresourcesforprojectbuilding.pbworks.com.
  53. ^ 자세한 내용은 CONY Commons Wiki Archive를 참조하십시오.
  54. ^ "The Walt Whitman Archive". www.whitmanarchive.org.
  55. ^ 에밀리 디킨슨 아카이브 웹사이트"Emily Dickinson, From Fascicle to Open Access Harvard University Press". www.hup.harvard.edu. Retrieved 26 December 2016. 참조
  56. ^ 제네바에 있는 유엔 사무소의 국제연맹 문서 보관소야에 게시된 네트워크 시각화 및 분석
  57. ^ "Homepage". Slave Societies Digital Archive.
  58. ^ "People". Department of History.
  59. ^ Sabharwal, Arjun (2015). Digital Curation in the Digital Humanities: Preserving and Promoting Archival and Special Collections. Waltham, MA: Elsevier. p. 27. ISBN 9780081001431.
  60. ^ Sacco, Kathleen (2015). Supporting Digital Humanities for Knowledge Acquisition in Modern Libraries. Hershey, PA: IGI Global. p. 22. ISBN 9781466684447.
  61. ^ Warwick, Claire; Terras, Melissa; Nyhan (2012). Digital Humanities in Practice. London: Facet Publishing. p. 203. ISBN 9781856047661.
  62. ^ "Timeline: 4535 Time Magazine Covers, 1923-2009".
  63. ^ "A View from Above: Exploratory Visualizations of MoMA Photography Collection".
  64. ^ "Exploring One Million Manga Pages with Supercomputers and HIPerSpace".
  65. ^ Manovich, Lev (2017). Instagram and Contemporary Image.
  66. ^ "Cultural Analytics Lab".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April 2017. Retrieved 6 June 2021.
  67. ^ "문화 분석: 2015년 5월 시카고 대학 '문화 연구에 대한 컴퓨터 접근법'과 2017년 5월 노트르담 대학 '문화 분석 심포지엄'이 있다.
  68. ^ 2016년 3월 7일부터 6월 10일까지 UCLA, "Culture Analytics Program", IPAM(Institution for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IPAM), UCLA.
  69. ^ "Journal of Cultural Analytics: CA".
  70. ^ "Mapping the Republic of Letters".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Retrieved 26 December 2016.
  71. ^ Grandjean, Martin (2016).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Twitter: Mapping the digital humanities community" (PDF). Cogent Arts & Humanities. 3 (1): 1171458. doi:10.1080/23311983.2016.1171458. S2CID 114999767.
  72. ^ 아담 자토우트, 리카르도 캄포스, 소라브 S 보우믹, 앙투안 두셋:시대상황 문서(DICT): 과거 문서 분석 지원을 위한 일시적 상황 제공, 제28차 국제정보지식경영회의(CIKM 2019), ACM Press (2019) https://adammo12.github.io/adamjatowt/CIKM19d.pdf
  73. ^ Cohen, Patricia (16 December 2010). "In 500 Billion Words, New Window on Culture". New York Times.
  74. ^ Hayes, Brian (May–June 2011). "Bit Lit". American Scientist. 99 (3): 190. doi:10.1511/2011.90.19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October 2016. Retrieved 16 January 2017.
  75. ^ Letcher, David W. (6 April 2011). "Cultoromics: A New Way to See Temporal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Words and Phrases" (PDF). American Institute of Higher Education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Proceedings. 4 (1): 228.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3 March 2016. Retrieved 16 January 2017.
  76. ^ a b Michel, Jean-Baptiste; Liberman Aiden, Erez (16 December 2010). "Quantitative Analysis of Culture Using Millions of Digitized Books". Science. 331 (6014): 176–82. doi:10.1126/science.1199644. PMC 3279742. PMID 21163965.
  77. ^ "MLA Commons – An online community for MLA members".
  78. ^ "Digital Pedagogy in the Humanities - MLA Commons".
  79. ^ Rijshouwer, Emiel Alexander (2019). Organizing democracy : power concentration and self-organizing bureaucratization in the evolution of Wikipedia. Uitermark, J.L. Rotterdam: Erasmus Universiteit Rotterdam. ISBN 9789402813173. OCLC 1081174169.
  80. ^ "Debates in the Digital Humaniti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April 2019. Retrieved 26 November 2013.
  81. ^ a b Berry, David M.; Fagerjord (2017). Digital Humanities: Knowledge and Critique in a Digital Age. UK: Polity. p. 137. ISBN 9780745697666.
  82. ^ a b Liu, Alan (7 January 2011). "Where is Cultural Criticism in the Digital Humanities?". UCSB. Retrieved 14 May 2016.
  83. ^ Fish, Stanley (9 January 2012). "The Digital Humanities and the Transcending of Mortality". The New York Times. New York. Retrieved 30 May 2012.
  84. ^ Leroi, Armand (13 February 2015). "Digitizing the Humanitie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14 May 2016.
  85. ^ Kirsch, Adam (2 May 2014). "Technology Is Taking Over English Departments". The New Republic. The New Republic. Retrieved 14 May 2016.
  86. ^ Straumshein, Carl. "Digital Humanities Bubble". Inside Higher Education. Retrieved 14 May 2016.
  87. ^ Straumshein, Carl. "Digital Humanities as 'Corporatist Restructuring'". Inside Higher Education. Inside Higher Education. Retrieved 14 May 2016.
  88. ^ Carlson, Tracy. "Humanities and business go hand in hand". Bostonglobe.com. The Boston Globe. Retrieved 14 May 2016.
  89. ^ Pannapacker, William. "Stop Calling It 'Digital Humanities'".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Retrieved 14 May 2016.
  90. ^ Dobson, James E. (2015). "Can an Algorithm be Disturbed? Machine Learning, Intrinsic Criticism, and the Digital Humanities". College Literature. 42 (4): 543–564. doi:10.1353/lit.2015.0037.
  91. ^ a b "Johanna Drucker (UCLA) Lecture, "Should Humanists Visualize Knowledge?"". Vimeo. 24 September 2015. Retrieved 25 January 2016.
  92. ^ "Debates in the Digital Humanities".
  93. ^ "Open Thread: The Digital Humanities as a Historical "Refuge" from Race/Class/Gender/Sexuality/Disabil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December 2013.
  94. ^ a b "Debates in the Digital Humanities". dhdebates.gc.cuny.edu.
  95. ^ a b George H. Williams. "Disability, Universal Design, and the Digital Humanities". Debates in the Digital Humanities.
  96. ^ "Poetry in Motion". Nature. 474 (7352): 420. 2011. doi:10.1038/474420b. PMID 21697904. S2CID 193524493.
  97. ^ Kirschenbaum, Matthew. "What Is "Digital Humanities," and Why Are They Saying Such Terrible Things about It?" (PDF). Wordpress. Matthew Kirschenbaum. Retrieved 14 May 2016.
  98. ^ "Guidelines for Evaluating Work in Digital Humanities and Digital..." Modern Language Association. Retrieved 13 February 2017.
  99. ^ "Guidelines for the Professional Evaluation of Digital Scholarship by Historians AHA". www.historians.org. Retrieved 13 February 201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