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그로시베미나타
Hygrocybe miniata히그로시베미나타 | |
---|---|
![]() | |
과학적 분류 ![]() | |
킹덤: | 곰팡이 |
구분: | 바시디오미코타 |
클래스: | 아가리코미케스목 |
순서: | 아가리칼목 |
패밀리: | 히그로포라과 |
속: | 히그로시베 |
종: | H. miniata |
이항식 이름 | |
히그로시베미나타 | |
동의어 | |
히그로시베 교살아목 스브르체크 |
히그로시베미나타 | |
---|---|
![]() | 하메늄에 대한 아가미. |
![]() ![]() | 캡이 볼록하거나 눌리다 |
![]() ![]() | 히메늄은 장식이거나 디커트적이다. |
![]() | 맨몸이다 |
![]() | 포자 무늬는 흰색이다. |
![]() | 판독성: 알 수 없음 |
히그로시베 미니아타(Hygrocybe miniata)는 일반적으로 베르밀이온 왁스캡(Vermilion 왁스캡)으로 알려져 있으며, 왁스캡 속인 히그로시베(Hygrocybe)의 작고 밝은 적색 또는 적색 오렌지색 버섯그것은 전세계적으로 발견되는 세계적인 종이다.유럽에서는, 가을에는 밭, 모래밭, 풀밭에서 발견된다.[1]그것은 호주의 히스랜드뿐만 아니라 열대우림과 유칼립트 숲에서도 발견된다.
분류학
히그로시베 미니아타는 1821년 스웨덴의 균류학자 엘리아스 마그누스 후라이에 의해 아가리쿠스 미니애투스로 처음 설명되었다가 1838년 같은 작가에 의해 히그로포루스 미니애투스로 개명되었다.그 후 독일의 균류학자 폴 쿠머는 1871년에 그것을 히그로시베 속주에 할당했다.구체적인 표현인 miniata는 "붉은 납으로 칠해져 있다"[2]는 뜻의 'miniat'에서 유래한다.
설명
붉은색에서 노란색으로 된 이 캡은 처음에는 볼록하지만 나중에는 평평해지고 물결치는 가장자리로 우울해진다; 그것은 확대경으로 볼 수 있는 작은 비늘로 이루어진 히그로판성이다.[3]성숙한 결실을 맺는 몸의 중심은 눈에 띄게 허름하거나 비늘이 있다.이는 비가 내리지 않은 건조 시료에서 가장 잘 보이는 특징이다.캡 색상은 주홍색-주황색이며 노란색 선조체 여백이며 지름은 0.5~3.5cm이다.맨 줄기는 종종 길고(캡 직경의 최대 3배) 밑부분을 향해 테이퍼링하며 평평해지는 경향이 있다.그것은 모자와 같은 색이고, 약간 더 창백하며, 흰색 바탕이 있다.[1]아가미는 주황색이고, 장식이 있거나(줄기에 넓은 애착을 가지고 있음) 약간 디커레이트하며, 간격을 넓게 두고, 어느 정도 노치되어 있다.살은 주황색이고, 어떤 악취도 없다.포자 인쇄는 흰색이고 타원형 포자는 7–9 x 4–5 μm이다.[1][4]
유사종
아주 유사한 종인 H. helobi (Annolds) Bon은 계절에 일찍 나타난다; 그것은 덜 산성 토양과 마늘 냄새를 선호한다.[5]
히그로시비 몰리스, H. 모세리, H. 교살라타는 매우 유사하며 일부는 동의어일 수도 있다.[3]
분포 및 서식지
히그로시베 미니아타는 대부분의 온대 지역에서 기록된 세계적인 종이다.영국, 유럽, 미국,[2] 그리고 퀸즐랜드, 뉴사우스웨일스, 빅토리아, 태즈메이니아 등 남반구 동부와 남부 등지에서 수집한 것이다.[6]
영국에서는 가을, 특히 서리가 내리지 않는 시기에 나타나며, 모래 무더기, 풀밭 정리 또는 개선되지 않은 들판을 선호한다.[1]흔히 쥐귀매기(Hieracium pilosella)의 일행에서 볼 수 있다.[5]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온대~아열대우림, 유칼립트 숲, 히스랜드 등에서 볼 수 있다.1월부터 6월까지 잎사귀 사이에 열매 맺는 시체가 집단으로 나타날 수 있다.[6]
판독성
그 가독성은 불분명하지만 독성이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7]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d Phillips, Roger (2006). "Mushrooms with Gills". In Frith-Macdonald, Candida (ed.). Mushrooms. Pan MacMillan. p. 74. ISBN 978-0-330-44237-4.
- ^ a b Arora, David (1986). Mushrooms Demystified (Second ed.). Berkeley: Ten Speed Press. ISBN 978-0-89815-169-5. LCCN 86005917.
- ^ a b Trudell, Steve; Ammirati, Joe (2009). Mushrooms of the Pacific Northwest. Timber Press Field Guides. Portland, OR: Timber Press. p. 65. ISBN 978-0-88192-935-5.
- ^ Courtecuisse, Régis; Duhem, Bernard (1995). Mushrooms & Toadstools of Britain & Europe. Collins Field Guides. Harper Collins. ISBN 978-0-00-220025-7. OCLC 34050438.
- ^ a b Læssøe, Thomas (1998). Mushrooms (flexi bound). Dorling Kindersley. ISBN 978-0-7513-1070-2.
- ^ a b Young, A.M. (2005). Fungi of Australia: Hygrophoraceae. Canberra, ACT: Australian Biological Resources Study/CSIRO Publishing. p. 120. ISBN 978-0-643-09195-5.
- ^ Miller Jr., Orson K.; Miller, Hope H. (2006). North American Mushrooms: A Field Guide to Edible and Inedible Fungi. Guilford, CN: FalconGuide. p. 63. ISBN 978-0-7627-3109-1.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스의 Hygrocybe miniata 관련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