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라 협회

Imatra Society

이마트라 협회는 뉴욕 브루클린위치한 핀란드 이민자들의 모임이었다.그 협회는 존 에이에 의해 설립되었다.Koski, 건축 엔지니어.1890년 12월 6일에 예비 회의가 열렸고,[1] 이어서 1890년 12월 14일에 창립 회의가 열렸다.

애초에 노동자 단체

이마트라 협회의 회장 존 A.코스키

처음에는 노동자 협회 이마트라라[1]이름으로 노동자 단체로 운영되었다.여성들은 처음부터 그 활동에 참여하고 있었다.사업상의 첫 번째 활동으로서 그 협회는 독자적인 브라스 [1]밴드를 결성했다.게다가 합창단과 연극단이 결성되었다.

1892년 10월, 코스키 회장은 다음과 같이 회합에 알렸다.「우리나라핀란드는 흉년이 들고 기근이 임박한 상황이기 때문에,[1] 지금과 같이 기아를 구제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입니다.」이 성명은 만장일치로 승인되었다.

1903년 2월, 협회는 미국과 캐나다에 걸쳐 약 40개의 지부로 구성된 핀란드계 미국인 노동자 조합인 이마트라 연맹을 설립했습니다.리그 총 회원수는 약 2,000명이었다.그 리그는 Työvéen Album (노동자의 앨범)이라는 자체 신문을 발행했다.이마트라 리그는 1917년 [1]2월에 폐지되었다.

1906년 6월 10일 이마트라 협회는 뉴욕 유티셋이라는 [1]자체 신문을 발행하기 시작했다.

1906년 이마트라 협회는 토론 클럽, 연극 그룹, 여성 클럽, 금관악단, 오락 위원회, 도서관,[2] 독서실로 구성되었다.

1907년 가을, 사회는 "농가에서 [2]해고되어 곤경에 빠진" 핀란드의 라우코 농가를 위해 돈을 모으기 시작했다.

이마트라 홀

Imatra Society의 구내는 뉴욕 브루클린의 핀란드 40번가 740번지 주소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협회는 그들의 활동을 위해 집을 짓고 1908년 11월 1일에 입주하였다.11월 18일과 19일에 개막식이 열렸다.그들은 또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발전기를 새 집에 공급했다."이것은 핀타운 언덕에서 있었던 역사적인 사건이었고 벅 언덕에 최초의 전등을 가져온 것은 이마트라 협회였기 때문에 동네에서 많은 화제를 불러일으켰습니다." (현재의 선셋 파크 지역)[1]나중에 이마트라 홀이라고 불리게 된 이 집은 사회의 활동을 위해 가장 중요한 장소였고 핀란드 사람들 사이에서 잘 알려졌고 매우 유명해졌다.

1908년 12월, 그 사회는 절제의 원인을 유지했다.홀에는 알코올 음료를 반입할 수 없으며, 술에 취한 사람은 아무도 나오지 못하게 되어 있었다.또한 [1]그 식당에서는 흡연이 절대 금지되어 있었다.

이마트라 소사이어티는 마티 쿠리카의 제안으로 직업소개소를 설립했다.그 기관은 1910년 12월 1일에 운영을 시작했다.1년 만에 이 기관은 약 50-60명의 남성과 135명의 여성으로 직업을 바꿨다.여성을 위한 서비스직은 [2]지원자보다 공석이 훨씬 더 많았다.1912년에 그 기관은 242개의 일자리를 교환했다.

1910년에는 이마트라홀에서 피메이든발타(어둠의 힘), 찰리의 별인 찰린테티(찰리의 별), 제페 니엘포이카(닐손 제페), 투키요엘라(통나무 강 위의), 로이닐란 탈로사(로이닐라) 등 여러 연극을 공연하였다그들은 특별 공연으로 크리스티(기독교인)와 쿤 피아트 오바 라코사(고용된 소녀들이 [2]파업 중일 때)를 공연했다.

사회·국민 사회 지원

1918년 1월 20일 연차총회에서는 8조-핀란드인의 미국 내 유명화를 위해 최선을 다한다라는 새로운 조항이 만들어졌다.조항 9 – 공식적으로 이 협회는 핀란드 구호 협회 이마트라로 알려져 있다.조항 22 – 사회가 해산되거나 그 운영이 너무 약해져 사회 철수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핀란드 상원의 특별한 허가 없이 사회의 재산을 이동하거나 매각하지 마십시오.이 절은 [1]변경할 수 없습니다.

원래는 노동자 단체였는데, 그 후 구호 단체가 되었고, 1921년 7월에는 칸살리세우라 이마트라(전국협회 이마트라)[2]로 명명되었다.

1923년 5월 13일, 이마트라 협회는 7명의 사람들을 엘리스 섬에 보내 착륙 과정에서 [2]핀란드 이민자들을 돕습니다.

핀란드 방문자

이마트라 홀의 활동에는 예술가와 다른 사람들과 같은 핀란드에서 온 방문객들이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이마트라 홀에서는 다음과 같은 유명 아티스트를 포함한 많은 핀란드 아티스트가 콘서트를 열었습니다.1917년 10월 27일 우노 클라미, 1924년 5월 29일 알프레드 태너, 1925년 1월 11일 로버트 카자누스, 1949년 4월 24일 레아 필티, 1959년 10월 22일 타피오 라우타바라, 1973년 2월 2일 헨리 테엘, 1984년 [2]1월 24일 하이모 하이토.

1966년 2월 19일 파보 누르미, 1978년 2월 5일 안네 포흐타모, 1982년 9월 13일 대표단과 함께 카리나 수오니오 교육부 장관, 마우노 코이비스토 핀란드 대통령, 부인 등 이마트라 홀을 방문한 다른 중요한 인물들.1985년 10월 25일 Tellervo Koivisto와 대표단, 1988년 4월 10일 Christofer Taxell 교육부 장관이 대표단과 함께.

이마트라 협회는 1935년 12월 8일 시벨리우스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축제를 열었다.축제는 대성공이었다.예르네펠트 장관도 참석했다.[2]

처음 50년 동안 사회는 금주 사회로 운영되었지만, 이제 주류 면허를 취득하기로 결정했고 이마트라 홀의 바는 1941년 [1]8월 27일에 운영을 시작했습니다.

1946년 10월 1일 유명한 화가 주호 리사넨이 이마트라 홀을 방문해 이마트라 [2]홀을 위해 벽화를 주문해 줄 것인지 물었다.

1949년 1월 23일, 이마트라 사회는 가난한 사람들의 시설과 7개의 가정에 많은 소포를 보냈으며,[2] 더 나아가 핀란드의 가난한 사람들과 고아들을 돕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알려졌습니다.

1959년의 사회 상황 조사: 「올해는, 매우 어려운 상황으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외국인의 떠들썩한 소란으로 집을 잃을 뻔했고, 때때로 우리 자신의 멤버가 들어가는 것이 매우 어려웠습니다.진짜 청소가 필요했기 때문에 그 일을 냉정하게 처리할 필요가 있었다.우리는 이것으로 꽤 성공했고 이미 평화롭고 질서가 돌아오기 시작했습니다…." 사회 내부에서는 핀인이 아닌 사람이 이마트라 협회의 회원이 되는 것이 받아들여지는지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었습니다.이제 그들이 [2]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것이 마침내 분명해졌다.

이마트라 협회는 미스 핀란드 미인대회를 준비하기 시작했다.첫 번째는 1968년 10월 6일에 열렸다.1970년부터 핀에어는 우승자에게 [1][3][4]핀란드행 비행기표를 기증했다.

1971년 6월 2일 사카리 유르카가 이끄는 핀란드 국립극장 소속 배우들이 이마트라 홀에서 코미디 '묘헤스티니트 해요'를 공연했다.공연은 대성공이었고 그래서 6월 [2]27일 이마트라홀에서 재방송되었다.

이마트라홀 앞 40번가는 핀란드 거리(Finlandia Street)로 이름이 붙여졌다

처음 95년간 사회언어는 핀란드어였지만 1986년 2월 16일 연례총회 이후 [2]핀란드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비회원이 있었기 때문에 영어였다.

1987년에는 이마트라 홀에서 핀란드와 미국의 아티스트들이 공연할 수 있는 연례 음악제를 설립할 계획이었다.이것은 큰 계획이었고, 그래서 핀란드의 음악 페스티벌에 그들이 함께 와서 뉴욕에서 축제를 조직할 수 있는지 문의했다.그들 중 많은 이들이 [5]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1991년 3월 7일 이마트라홀에서 두 명의 경찰 합창단이 공연된 콘서트가 있었는데, 하나는 핀란드 출신의 서해안 경찰 합창단으로 60명의 가수와 40명의 남녀 [2]가수와 뉴욕 시 경찰 합창단이 공연되었다.

이 협회의 100주년 기념행사는 4일간 지속되었고 1991년 9월 19일부터 22일까지 열렸다.이 기념행사와 관련하여 이마트라 홀 앞 40번가는 핀란드 거리로 공동 이름이 붙여졌다.그 때 시벨리우스의 핀란드 찬송가는 핀란드에서 온 예르벤패의 남성 가수들에 의해 연주되었다.그 후 민족 의상을 입은 깃발 행렬이 사람들을 이마트라 홀에 이끌었고, 그곳에서 [6][7][8][9][10][11][12][13]주요 행사가 열렸다.

100주년 기념행사 이후 불과 몇 년 만에 이마트라 협회는 재정난에 빠졌고 1995년 가을에는 부채에 너무 많이 연루되어 더 이상 회복할 수 없었다.이마트라홀이 매각되고 남은 재산으로 이마트라 재단이 설립되었습니다.Imatra [14]Society는 1996년 4월 26일에 탄압당했다.

프레지던트

이름. 기간
존 A. 코스키 1890년 12월 6일 예비회의

1890년 12월 14일 창립총회

1891년 1월 13일 ~ 1895년 1월 6일

1912년 1월 25일 ~ 1913년 1월 29일

악셀리 예르네펠트 1895년 1월 6일 ~ 1896년 1월 19일
찰스 블롬크비스트 1896년 1월 19일 ~ 1897년 1월 3일
이자크 쥐셀리우스 1897년 1월 3일 ~ 1899년 1월 3일

1900년 1월 14일 ~ 1901년 1월 13일

1902년 1월 12일 ~ 1906년 1월 14일

1910년 1월 9일 ~ 7월 21일

1914년 7월 23일 ~ 1915년 1월 10일

1916년 1월 23일 ~ 1917년 1월 14일

에사 타칼라 1899년 1월 3일~1900년 1월 14일
A. 빌랜더 1901년 1월 13일 ~ 1902년 1월 12일
에로 W. 헬린 1906년 1월 14일 ~ 1907년 1월 27일

1935년 1월 10일 ~ 1936년 1월 9일

1937년 2월 11일 ~ 1942년 1월 11일

살로몬 라이티넨 1907년 1월 27일 ~ 1910년 1월 9일

1910년 8월 25일 ~ 1911년 1월 5일

W. 라우리 1910년 7월 21일 ~ 8월 25일
마티 심파넨 1911년 1월 5일 ~ 1912년 1월 25일
J. A. 하펫 1913년 1월 29일 ~ 1914년 5월 3일

1915년 1월 10일 ~ 1916년 1월 23일

A. Uksila 1917년 1월 14일 ~ 1918년 5월 5일
헨리 알토 1918년 5월 5일 ~ 1921년 3월 27일

1928년 1월 26일 ~ 1930년 1월 9일

얄마르 팜로즈 1921년 3월 27일 ~ 1922년 1월 15일

1936년 1월 9일 ~ 1937년 2월 11일

할마르 케토넨 1922년 1월 15일 ~ 1923년 3월 18일
칼레 소이니 1923년 4월 4일~1928년 1월 26일
배이뇌 자크콜라 1930년 1월 9일 ~ 1931년 1월 26일
카를 레티넨 1931년 1월 26일 ~ 1932년 9월 26일
구스타프 헬레니우스 1932년 9월 26일 ~ 1935년 1월 10일
라일라 살로 1942년 1월 11일 ~ 4월 19일
A. F. 제르프 1942년 4월 19일 ~ 1943년 1월 24일
배이뇌 살린 1943년 1월 24일 ~ 1944년 1월 30일
엘머 아라 1944년 1월 30일 ~ 1947년 1월 19일

1949년 6월 7일 ~ 1950년 1월 22일

휴고 케톨라 1947년 1월 19일 ~ 1949년 1월 23일

1953년 1월 18일 ~ 1956년 1월 22일

1964년 1월 26일 ~ 1965년 1월 24일

리스토 리메이 1949년 1월 23일 ~6월 7일
베르너 배이새넨 1950년 1월 22일 ~ 1952년 1월 20일
마이키 헬린 1952년 1월 20일 ~ 1953년 1월 18일
우르호 오스트만 1956년 1월 22일 ~ 1957년 1월 27일
앨런 필모어 1957년 1월 27일 ~ 1958년 1월 26일

1963년 1월 20일 ~ 1964년 1월 26일

1968년 1월 28일 ~ 1969년 1월 26일

마우리 펠코넨 1958년 1월 26일 ~ 1960년 1월 24일
에이노살림 1960년 1월 24일 ~ 1962년 1월 21일
존 아르니오 1962년 1월 21일 ~ 1963년 1월 20일
해리 매너 1965년 1월 24일 ~ 1966년 1월 30일
알포 하우타매키 1966년 1월 30일 ~ 1968년 1월 28일

1971년 1월 24일 ~ 1972년 1월 30일

1972년 8월 2일 ~ 1973년 1월 28일

1974년 1월 27일 ~ 1975년 1월 26일

1976년 1월 25일 ~ 4월 19일

1982년 2월 14일 ~ 1983년 2월 6일

에릭 윌리엄스 1969년 1월 26일 ~ 1970년 1월 25일
유진 매너 1970년 1월 25일 ~ 1971년 1월 24일
존 케톨라 1972년 1월 30일~8월 2일
아르보 에크 1973년 1월 28일 ~ 1974년 1월 27일

1975년 1월 26일 ~ 1976년 1월 25일

얄마르 코이부 1976년 4월 19일 ~ 1977년 1월 30일
우르포 쿠르코 1977년 1월 30일 ~ 1978년 1월 29일
에이노혼카 1978년 1월 29일 ~ 1979년 1월 28일
렘피 이사카이넨 1979년 1월 28일 ~ 1980년 1월 27일
레이먼드 앤더슨 1980년 1월 27일 ~ 1982년 2월 14일
마우노 로릴라 1983년 2월 6일 ~ 1988년 3월 13일
베이코 라이호 1988년 3월 13일 ~ 1992년 6월 7일

협회 활동 사진

레퍼런스

  1. ^ a b c d e f g h i j k 이마트라 학회 100주년 기념품 저널(1991년 9월 발행).페이지 8-9, 30-32, 34, 36-40, 42, 45, 47-48.
  2.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이마트라 협회의 회의록: 1906, 1907, 1910, 1911, 1921, 1923~1925, 1946, 1949, 1960, 1971, 1986, 1991년의 회의록.
  3. ^ 1986년 10월 14일, 뉴욕 유티셋 페이지 6에서 미스 핀란디아 1986이 선발되었습니다.
  4. ^ 1990년 10월 9일, Amerikan Uutiset 페이지 9에서 미스 핀란디아 1990이 선발되었습니다.
  5. ^ 뉴욕의 음악 축제, 1987년 10월 1일 핀란드의 SATA-HAME SOI 축제에서 온 편지.
  6. ^ Heikki Sarmanto, 이마트라 개회 기념일 4페이지가 시작됩니다.1990년 12월 25일 뉴욕 유티셋.
  7. ^ 핀란드 거리에서는 이마트라 핀란드 구호회가 100주년을 기념합니다, 페이지 16-17.홈 리포터와 선셋 뉴스, 1991년 2월 8일.
  8. ^ 100년 이마트라 협회가 뉴욕에서 축하를 합니다. 페이지 A4.헬싱긴 사노마트 1991년 8월 6일
  9. ^ Imatra Society는 1991년 9월 19일 핀란드 거리 도프, 페이지 6. Norden.
  10. ^ 핀란드는 핀란드계 미국인 Kejo Korhonen으로부터 이마트라 기념식에서 이민자들에게 감사를 전할있었다…, 페이지 9. Aamulethti, 1991년 9월 23일.
  11. ^ Imatra는 창립 100주년을 기념했습니다.뉴욕은 핀란디아 스트리트(P.1)에 있습니다.1991년 9월 24일 뉴욕 유티셋.
  12. ^ 이마트라는 5-12페이지에서 4일간 축하했다.1991년 10월 1일 뉴욕 유티셋
  13. ^ 이마트라의 축하 행사인 8-9페이지.1991년 10월 10일, Amerikan Uutiset.
  14. ^ 미국에서 핀란드 요람의 흔들림은 사라지고 있다 – 이마트라는 떨어지고 있다, 페이지 13.사타쿠난 칸사, 1996년 12월 14일

추가 정보

  • 뉴욕 유티셋: "이마트라 홀은 사람들을 끌어당긴다", 페이지 4.1988년 12월 13일
  • 뉴욕 유티셋: "모두 새롭고 멋진 이마트라를 응원하러 오세요!" 페이지 3. 1989년 2월 14일.
  • 뉴욕 뉴스데이: "스칸디나비아 클럽의 작은 부분은 선셋 파크의 과거를 떠올리게 한다.", 페이지 27.1992년 2월 2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