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노에벨

Imi Knoebel
이미 노에벨
태어난
클라우스 볼프 노에벨

1940
직업독일의 예술가

이미 크노벨(Claus Wolf Knoebel; 1940년 출생)은 독일의 예술가다.크노벨은 미니멀하고 추상적인 회화조각으로 유명하다.'메서슈니트(Messerschnitt)' 또는 '나이프 컷(Knife cuts)'은 그가 자주 사용하는 원색인 빨강, 노랑, 파랑의 사용법과 함께 그가 사용하는 반복적인 기술이다.크노벨은 뒤셀도르프에서 살고 일한다.

어린 시절과 경력

크노벨은 1940년 독일의 드사우에서 태어났다.[1]1962년부터 1964년까지 요하네스 이텐라슬로 모홀리-나기가 가르친 바우하우스 전 과정의 사상을 바탕으로 다르슈타트 '베르쿤스트슐레'에서 공부했다.1964년부터 1971년까지 그는 동료 학생 블링키 팔레르모, 요르그 이멘도르프, 이보 링게, 카타리나 시베르딩과 함께 쿤스타카데미 뒤셀도르프에서[2] 조셉 비어스 에서 공부했다.[3]

크노벨의 작품은 공간, 그림 지지대, 색채의 관계를 탐구한다.[4]그의 그림과 조각의 스타일과 형식적인 관심사는 카지미르 말레비치바우하우스[5] 높은 모더니즘 원리와 비교되었다.

1966년과 1969년 사이에 크노벨은 90개의[6] 판넬을 포함하는 일련의 "리니엔빌더" 즉 선화 작업을 했다. 또 다른 시리즈 25만 점의 "리니엔빌더" 그림은 1969년과 1973/75년 사이에 DIN A4 시트에 그려졌다.[7]1968년 크누벨은 그의 첫 번째 주요 작품인 19번 강의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라움 19라고 불리는 다양한 기하학적 물체들을 가진 설치물을 만들었는데, 이것은 Beuys가 학원에서 그의 학생들에게 주었다.라움 19는 목재와 메이슨ite로 만들어진 77개의 구성품들로 구성되는데, 여기에는 들것들을 도장하고 조립한 것과 조각으로 만든 것, 처리되지 않은 메이슨ite를 그림 평면으로 부착한 들것들의 대형 구조, 그리고 아치형 창문이나 문틀의 부분과 유사한 더 큰 입방체 부피와 곡선 블록 등이 포함된다.[8]

1992년, 크누벨은 조셉 뷰이스의 "블록 뷰이스"에 근접하여 헤시스 랜드스뮤지엄 다름슈타트(Hesisian State Museum Darmstadt)를 위한 "Raum 19"의 두 번째 버전을 만들었다.1968년에 크노벨은 또한 사진을 예술적 매개체로 사용했다.

1968년에 시작된 누벨은 사진을 독립적인 예술 매체로 사용한 최초의 뷰이스 학생 중 한 명이었다.그의 Innenprojektionen (Interior Projektion; 1968–1970) 흑백 사진들을 위해, 그는 빈 슬라이드 투영법을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벽에 투영되거나 어둡고 폐쇄된 방에서 투영된 빈 사각형 빛의 광장을 만들기 시작했다.[9]이것은 나중에 그가 복사 잉크로 덮은 슬라이드에 수직선과 수평선을 정확하게 새긴 후 실내 전체에 주조하는 것으로 진화했다.어두운 공간 전체에 걸쳐 창문, 코너, 벽 부착물 및 건축상의 불규칙함에서 이러한 선들을 다양한 각도로 투영하는 것은 예술가들에게 무한한 가능성을 제공했다.Knoebel은 카메라로 이러한 빛 투영을 기록하고 대형 그리드의 변형을 표시했으며, 종종 하나의 작품을 구성하는 80여 장의 사진을 가지고 있었다.크노벨의 1968년 프로젝션 1은 고든 마타 클라크가 당시 행하고 있던 건축적 슬라이싱을 떠올리게 하는 빛 투사 흑백사진 시리즈다.[10]같은 비디오 컨셉의 두 버전인 Projektion X(1970–71)와 Projektion X 리메이크(2005)는 이러한 야외 투영을 바탕으로 한 그의 유일한 비디오 테이프다.[11]잠자는 도시 다름슈타트를 통과하는 야행성 주행 중, 자동차에서 건물 벽으로 광채가 나는 X자 모양의 커다란 광선이 투사되었다.[12]

헤시체스 란데스무세움 다름슈타트(Hesisches Landsmuseum Darmstadt) 소장품에는 광범위한 사진, 슬라이드, 크노벨의 프로젝션 X 이 소장되어 있다.

1970년대 중반부터 크노벨은 층을 이룬 합판이나 금속판에 색의 제스처를 취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7]1975년부터 현재까지 크노벨은 작가가 이 작품들에 사용해온 메네지 페인트라는 이름으로 철강 공사에 사용되는 부식 방지 페인트를 따서 명명된 "메네지빌더"("빨간 납 그림")라는 겹치는 색상의 직사각형을 연구해 왔다.그의 초창기에는 그의 팔레트가 흰색, 검은색, 갈색으로 축소된 반면, 1977년 이후 그는 더 많은 색으로 작품을 만들어왔다.[13]그의 그림은 그 이후 특정 공간적 관계에 놓인 층층 합판과 금속 판넬에 색상을 생리적 표현으로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14]1980년대에 크노벨은 기하학적으로 묘사된 요소들에 대한 연상적 하중을 계속하고 초상화에 집중하기 시작했다.[7]두 개의 수평 직사각형 옆과 사이에 색상 미묘한 수직 직사각형 3개를 배열하는 것은 '상상'이라는 개념을 묘사하기 위한 Knoebel의 공식 해법이다.

크노벨은 1977년 팔레르모가 사망한 후 친구 블링키 팔레르모에게 경의를 표하며 24개의 다채로운 단색화를 연재했다.[15]1970년대 디아아트재단이 인수한 이 기념비적인 시리즈는 디아에 작품을 설치한 작가가 꼼꼼하게 복원한 것이다.2008년 5월 비콘은 북미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전시회를 기념한다.1997년 독일 번스타그는 크노벨에게 사무용 건물 중 하나를 위해 4부로 구성된 설치물인 Rot Gelb Weiß Blau 1-4를 만들 것을 의뢰했다.2011년 6월 노트르담 랭스 대성당 apse 내 6개의 스테인드글라스 판이 1974년 완공된 마크 샤갈의 스테인드글라스 작품과 나란히 공개되었다.

킨더스틴

1988년, 크누벨은 예술에 대한 확장된 개념을 실현하는 사회적 조각품인 킨더스터른이라는 작품을 만들었고, 1967년 그의 Kunstakademie Düseldorf의 교수인 Joseph Beuys가 이 작품으로 예술 또한 사회를 변화시켜야 한다.1988년부터 킨더스틴(어린이 스타)은 어린이의 권리를 상징하며, 전 세계적으로 유일하게 수익률이 100%가 필요한 아동에게 돌아가는 예술품이다.

랭스 대성당

독일의 폭격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은 지 1세기 이상 지난 후, 크노벨은 랭스 대성당을 위해 세 개의 새로운 스테인드 글라스 창문을 디자인했다.크노벨은 그 프로젝트에 참여한 것에 대한 지불을 거절했다.90만 유로의 비용이 드는 색깔과 무늬가 있는 창문의 창조는 독일 외무부의 자금 지원을 받았다.그것들은 2015년 5월 12일 독일의 프랑크 발터 슈타인마이어 외무장관과 프랑스의 로랑 파비우스가 참석한 기념식에서 공식 발표되었다.[16]

전시회

1968년 코펜하겐에서 비이스의 동료 학생인 이미 기제가와 함께하는 크노벨의 첫 전시회 IMI + IMI가 열렸다.그 이후로, 그는 5년(1972년), 6년(1977년), 7년(1982년), 8년(1971년), 슨벡에서 그의 작품을 전시했다.1996년 뮌헨의 하우스 데르 쿤스트스테델리히크 박물관, 암스테르담, 발렌시아 다아트 모던 연구소, 줄리오 곤살레스 센터와 같은 유럽 전역을 여행했던 그의 작품에 대한 대규모 회고전을 열었다.Knoebel 2009년 여름의 햄버거 Bahnhof과 베를린 신국립 미술관 베를린의[17]은 베를린 신국립 미술관 기념비적인 키워드의 배열은 유명한 데어 로에 건물의 윗층 홀뿐만 아니라 흰색의 유리 판과 서라운드 사용 다양한 색조에 몸짓에 의한 그림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한 회고전을 했다.ing그 건물의 맨 [14]위층

컬렉션

Knoebel의 작품은 Dia를 포함한 전세계 수많은 공개 컬렉션에서 열리고 있다.Beacon in Beacon, New York, The Museum of Modern Art in New York City, the Fonds Regional d'Art Contemporain (FRAC) in France, the Kunstmuseum St. Gallen [de] in Switzerland, Essl Museum Klosterneuburg in Austria, Albertina in Vienna, Berardo Collection Museum Lisbon in Portugal,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Kunstsammlung Nordrhein-We독일의 스팔렌, 네덜란드의 게메엔테무스움하그, 스웨덴의 말뫼 콘슈톨.도이체방크컬렉션은 1984년 첫 구매 이후 현재까지 노에벨의 서류상 작품 1000여점을 취득했다.이 화가는 뉴욕의 메리 분, 파리의 타드대우스 로팍, 데:갈레리 네흐스트 세인트로 대표된다. 비엔나의 스테판 로즈마리 슈바르츠벨더, 프랑크푸르트 베르벨 그레슬린, 베를린의 미술관 파네만, 마드리드의 헬가알베아르.

미술시장

2016년 런던 크리스티 경매에서 노벨의 그레이스 켈리(1989)가 36만5000파운드의 기록적인 가격에 팔렸다.[18]

참조

  1. ^ ULAN 전체 레코드 디스플레이(Getty Research)
  2. ^ "Dia Art Foundation". www.diaart.org. Dia Art Found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March 2016. Retrieved 7 February 2016.
  3. ^ Imi Knoebel 2006-09-29를 웨이백 머신 Dia Art Foundation에 보관.
  4. ^ Imi Knoebel - Auktionshaus Kettrer를 전기제공.
  5. ^ 존 폴 스토나드: "Knoebel, Imi" Grove Art Online.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4-02-2007], http://www.groveart.com/
  6. ^ "The Security of the Pure Square" - Imi Knoebel Deutsche Bank ArtMag의 카롤라 크라우스.
  7. ^ a b c Imi Knoebel 2011-10-05 Wayback Machine Virtual Museum of Modernism NRW에 보관.
  8. ^ 콜린 랭(2008년 9월), 이미 크노벨 아트포르움
  9. ^ 요르그 하이저, 쾌락 시리즈: Knoebel의 Work Dutsche Bank ArtMag의 Seriality와 Color.
  10. ^ 로베르타 스미스 (2011년 8월 25일 ~ ) A Collection's Contest of Objects New York Times.
  11. ^ 프로젝트, 변환, 삭제: Anthony McCall and Imi Knoebel, 2007년 6월 9일 - 9월 30일 샌프란시스코 현대 미술관.
  12. ^ "Media Art Net Knoebel, Imi: Projection X". 30 September 2021.
  13. ^ Imi Knoebel - Schaufler Collection에서 작업, 2011년 3월 19일 - 10월 2일 2012년 9월 10일 보관, 오늘날 Shauwerk Sindelfingen.
  14. ^ a b Imi Knoebel: WEISS - SchWARZ, 201년 3월 25일 - 5월 15일, 잘츠부르크의 웨이백 머신 Thaddaus Ropac에 2011-10-01 보관.
  15. ^ 벤자민 크러피치오(2008년 8월 14일), A Language in Colored Shape and Forms New York Times.
  16. ^ 앙리 노엔도르프(2015년 5월 12일), 독일 예술가 아이미 크노벨이 WWI 아트넷에서 파괴된 랑스 대성당에 새 스테인드 글라스 창문을 선물한다.
  17. ^ Imi Knoebel: 나이프 2부, 2009년 4월 23일 - 2010년 4월 11일, 웨이백 머신 Dia Art Foundation - 2009년 4월 15일 보도자료에 보관.
  18. ^ IMi Knoebel (b. 1940): Grace Kelly Christie의 Post-War & Contemporary Art Evening 옥션, 2016년 10월 6일, 런던, 킹 스트리트.

외부 링크

추가 읽기

  • 이미 크노벨: Works 1968–1996(예: 고양이, 암스테르담, Stedelijk Muss. 등,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