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드나잇 아워에서

In the Midnight Hour
미드나잇 아워에서
In the Midnight Hour.jpg
싱글 바이 윌슨 피켓
앨범에 수록된 "In the Midnight Hour"
B측"피곤하지 않다"
방출된1965년 6월 (1965-06)
녹음된1965년 5월 12일
스튜디오스탁스, 멤피스, 테네시 주
장르.
길이2:30
라벨애틀랜틱
작곡가
프로듀서
윌슨 피켓 싱글 연대기
"Come Home Baby"
(1964)
미드나잇 아워에서
(1965)
"Don't Fight It"
(1965)

'인 더 미드나잇 아워'는 1965년 윌슨 피켓이 원래 공연한 곡으로, 1966년 앨범 《The Communic Wilson Pickette》에 수록되기도 했다.이 곡은 마틴 루터주니어의 암살 장소인 멤피스의 역사적인 로레인 모텔에서 피켓과 스티브 크로퍼가 작곡한 곡이다.아틀란틱 레코드에서 피켓의 첫 히트곡인 R&B 차트에서 1위에 올랐고 팝 차트에서는 21위로 정점을 찍었다.[1][2]null

구성 및 기록

윌슨 피켓은 1965년 5월 12일 멤피스 Stax Studio에서 "In the Midnight Hour"를 녹음했다.이 곡의 공동 작곡가인 스티브 크로퍼는 "제리 웩슬러는 이 위대한 가수 윌슨 피켓을 세션 기타리스트였던 스탁스 스튜디오에서 녹음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회상했다.하지만 나는 레코드 가게에서 일하곤 했는데, 윌슨 피켓이 불렀던 복음서 몇 곡을 발견했다.마지막에 그는 이렇게 말한다: '자정 시간에 내 예수님을 뵈러 갈게!오, 한밤중에.한밤중에 내 예수를 만나겠다.'고 말했고 크로퍼는 R&B 노래의 기본에 '자정에'라는 문구를 사용하자는 아이디어를 얻었다.[3]더 그럴 가능성이 높은 것은, 크로퍼는 1962년 팰컨스의 노래 "사랑을 찾았다"를 기억하고 있었는데, 이 곡에서 피켓은 리드 노래를 부르며 "그리고 한밤중에 전화를 걸기도 한다!"고 말한다.이 전에 피켓이 등장했던 유일한 복음 음반은 바이올리니스트의 "판단의 사인"이었는데, 여기에는 그런 구절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4]null

'인 더 미드나잇 아워'의 밴드는 크로퍼 외에도 스탁스 세션 레귤러인 알 잭슨(드럼스)과 도널드 듀크 던(바스)이 출연했다.크롭퍼에 따르면 크롭퍼가 스튜디오에서 시연했던 저크라는 댄스 스텝을 바탕으로 '인 더 미드나잇 아워'의 기획된 그루브를 새롭게 꾸몄을 때, "벡슬러는 트랙의 혁신적인 지연 백비트를 담당했다"고 한다.크로퍼에 따르면, "아이들이 춤을 추는 방식이었습니다. 그들은 둘에게 악센트를 붙였습니다.기본적으로, 우리는 애프터비트를 가진 한 박자 가속기였다; 그것은 '붐다'와 같았지만, 여기엔 억양이 있는 한 그 반대인 '음차'가 있는 것이 있었다.[5]

피켓은 1987년 앨범 American Soul Man의 곡을 다시 녹음했다.

차트 및 인식

"In the Midnight Hour"는 1965년 8월 7일자 빌보드 매거진 R&B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고 빌보드100의 탑 40에 올라 21위에 올랐다고 Stax의 사장 Jim Stewart에 따르면 원래 발매된 싱글의 국내 판매량은 보통 30만 대였다.곡이 20위권 안에 들지 못한 이유 중 하나는 곡 제목이 너무 성적인 뒷시간이라는 사실이었다.[6]그러나 윌슨 피켓의 "In the Midnight Hour"는 롤링 스톤이 선정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500곡 중 134위를 차지하면서 R&B의 상징이 되었다.이 곡은 또한 피켓의 유일한 곡인 "Rock and Roll"을 형상화한 "The Rock and Roll of Fame" 500곡 중 하나이다.이 곡은 현재 '찬미받는 음악'의 1965년 11번째 베스트 곡이자 역대 175번째 곡으로 선정되었다.[7]2017년 이 노래는 '문화적으로, 역사적으로, 또는 예술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의회도서관이 국가기록부에 보존 대상으로 선정되었다.[8]

커버 버전

  • 젊은 라스칼스는 1966년에 이 노래를 녹음했다.이 앨범은 라스칼스의 최고 히트 앨범인 타임 피스(1968년)에 수록되었다.
  • The Greating Dead는 1967년부터 정기적으로 이 곡을 연주했는데, 특히 프런트맨 Ron "Pigpen" McKernan의 즉흥적인 보컬이 가장 두드러졌다.
  • 제네시스는 80년대에 Turn It On Again 메들리의 일환으로 정기적으로 이 곡의 발췌곡을 공연했다: Turn It On Again - Best of 81와 Knebworth The Album에 각각 다른 두 개의 라이브 음반이 등장한다.
  • 미레테스는 1968년 3월 빌보드 R&B 차트에서 18위에 오른 '인 더 미드나잇 아워(In the Midnight Hour)' 버전과 빌보드 핫 100에서 45위에 오르며 20위권 R&B 히트곡을 냈다.이 곡은 또한 캐시 박스 R&B 차트에서 18위, 캐시 박스 탑 100 차트 52위에 올랐다.[9][10]
  • 토큰 4중주단의 3명으로 구성된 크로스컨트리(Cross Country)는 그룹 단독 앨범 발매의 발라드 버전인 "In the Midnight Hour"를 녹음했는데, 이 앨범의 제목은 크로스컨트리(Cross Country)이며, 원작으로 구성되었다: 그룹 멤버 제이 시겔(Jay Sigel)은 크로스컨트리(Country)가 리코드를 원형으로 재발명했다고 말한다.크로스비 스틸스[11]내시의 곡들1973년 7월에 싱글로 발행된 "In the Midnight Hour"는 1973년 8월 18일자 빌보드 매거진 핫 100에서 100위로 데뷔하여 1973년 10월 30위로 최고조에 올랐다. Cashbox Top 100 싱글 차트는 Cross Country의 "In the Midnight Hour"가 Wilson Pickett에게 주어진 22개의 최고 기록으로 18위에 올랐다.Cash Box Top 100 싱글 차트 기준.크로스컨트리(Cross Country)의 'In the Midnight Hour'도 빌보드 이지 리스닝(Easy Listening) 차트 6위에 올랐고, 캐나다에서도 RPM100 피크 34를 기록하며 중간 히트를 기록했으며, 호주에서도 차트(63위)를 기록했다.
  • '인 더 미드나잇 아워'는 1984년 래지 베일리가 리메이크한 C&W 14위에 오르며 C&W 히트를 쳤다.이 싱글은 1983년 내슈빌의 밥 몽고메리의 사운드샵 스튜디오에서 녹음된 베일리의 미드나잇 아워 앨범에서 따온 것이다. (베일리는 또 다른 스티브 크로퍼와 함께 '나잇나잇 아워에서'를 공동 집필했다.)
  • 호주 밴드 레이 브라운과 위스퍼즈는 윌슨 피켓의 히트곡의 현지 커버를 녹음했고, 1965년에 4번째 호주 히트곡을 제공받았다.
  • 호주 출신 아티스트 사만다 상은 1979년 발표한 앨범 'In the Midnight Hour'를 리메이크하여 두 번째 싱글 앨범으로 발매되었다: 88위에 도달하면 이 트랙은 그녀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Hot 100 출연을 기록하게 된다.
  • 영국 록시뮤직1980년 발매한 'In the Midnight Hour' 앨범을 리메이크한 곡으로 미국에서 싱글로 발매된 으로 빌보드 핫 100이 #106에 이르는데, 이 곡은 포르투갈에서도 싱글로 발매되었다.
  • 미국 음악가 로저는 1984년 34위에 도달한 "Midnight Hour (Part 1)"라는 리메이크곡으로 R&B 히트곡을 냈다: 이 싱글은 The Saga Continuce...
  • 미국의 차고 록/심리 록 밴드 The Chocolate Watchband가 비평가들에게 호평을 받은 첫 앨범인 1967년 No Way Out에 버전을 발표했다.차트는 아니지만 2012년 선다이드 레코드에서 재발매한 싱글로 발매되었다.
  • 영국 모델/펑크 밴드 더 이 1977년 두 번째 앨범 'This Is the Modern World'의 마지막 곡으로 이 노래를 커버했다.

참조

  1. ^ Gilliland, John (1969). "Show 51 - The Soul Reformation: Phase three, soul music at the summit. [Part 7] : UNT Digital Library" (audio). Pop Chronicles. University of North Texas Libraries.
  2. ^ Whitburn, Joel (2004). Top R&B/Hip-Hop Singles: 1942-2004. Record Research. p. 461.
  3. ^ "Steve Cropper's research into Wilson Pickett sparked initial hit". Something Else. February 3, 2015. Retrieved 2016-09-29.
  4. ^ Simpson, Kim (February 23, 2017). "'I Found a Love' (1962) - The Falcons". Song ID Blog. Retrieved August 11, 2021.
  5. ^ Pickett, Louella (2015). Don't Let the Green Grass Fool You. New York: Fulton Books. ISBN 9781499052855.
  6. ^ Bowman, Rob (1997). Soulsville, U.S.A.: the story of Stax Records. NYC: Schirmer Trade Books. p. 62. ISBN 978-0825672842.
  7. ^ "Acclaimed Music Top 3000 songs". Acclaimed Music. 27 May 2009.
  8. ^ "National Recording Registry Picks Are "Over the Rainbow"". Library of Congress. March 29, 2016. Retrieved March 29, 2016.
  9. ^ "Top 50 In R&B Locations" (PDF). Cash Box: 56. March 23, 1968.
  10. ^ "Cash Box Top 100 3/30/68". Tropicalglen.com. Retrieved 8 June 2021.
  11. ^ "Gary James' Interview With Jay Siegel of the Tokens". ClassicBands.com. Retrieved 14 September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