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오스 데 마야귀에즈
Indios de Mayagüez인디오스 데 마야귀에즈 | |||||
---|---|---|---|---|---|
| |||||
정보 | |||||
리그 | LBPPR | ||||
위치 | 푸에르토리코 마야귀에즈 | ||||
야구장 | 이시도로 가르시아 야구장 | ||||
설립 | 1938 | ||||
리그 우승 | 19 (1949, 1957, 1963, 1966, 1978, 1984, 1986, 1988, 1989, 1992, 1997, 1998, 1999, 2003, 2005, 2010, 2012, 2014, 2023) | ||||
캐리비안 시리즈 선수권 대회 | 2 (1978, 1992) | ||||
색 | 버건디와 골드[1] | ||||
부장님 | 마코 올리베라스 | ||||
유니폼 | |||||
인디오스 데 마야귀에즈(, )는 푸에르토리코의 프로 야구 리그인 로베르토 클레멘테(, 스페인어로 로베르토 클레멘테)를 연고지로 하는 프로 야구단입니다. 마야귀에즈를 연고로 하는 인디오스는 19개의 국내 선수권 대회와 2개의 캐리비안 월드 시리즈를 우승했습니다.[2] 인디오스는 한 리그의 기록적인 40 결승전에 참가했습니다. 1938년 11월 13일 창단 당시 LBPPR에 편입된 6개 팀 중 3개 팀이 남아있는 팀 중 하나입니다.
인디오스는 푸에르토리코 서부 해안에 위치한 마야귀에즈가 강력한 토착 유산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 외에도 이전 이름인 세르베시아 인디아(현재의 푸에르토리코 콤파냐 세르베세라 데 CCC)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습니다. 타이노어에서 유래된 도시 이름으로 시작합니다. 팀의 색상은 버건디, 골드 및 블루로, 한때 팀을 홍보하고 이름의 기반이 된 양조장의 원래 주력 제품인 세르베자 인디아의 라벨에 색상이 있었습니다.[3]
인디오스 데 마야귀에즈 팀은 PRBL 역사상 두 번째로 많은 우승을 차지한 팀입니다(1923년 1월 26일 기준, 19회). PRBL 최종 시리즈에 40회(해당 날짜 기준) 도달했습니다. 푸에르토리코 대부분의 도시와 마을들이 농구를 지지하는 것으로 더 잘 알려진 이 시기에, 마야귀에즈라는 도시는 이 섬나라의 강력한 야구 거점으로 남아 있습니다. 팀의 팬층은 극단적인 경계에 있는 충성도와 평균 경기 관중으로 명성이 높으며, 지난 5시즌 동안 각각 푸에르토리코 윈터리그에서 가장 높은 총 시즌 관중을 기록했습니다.
인디오스가 PRBL 토너먼트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경우, 팀의 야구 공원 관람과 경기 후 축하 행사는 보통 마야귀에즈 시의 수호성인 축제(피에스타스 패트로날레스)와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에 특히 높은 경향이 있습니다. 챔피언 경기가 열리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닙니다. Candlemas (2월 2일) 또는 Candlemas Eve와 일치합니다.
인디오스의 경영진은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의 단장이자 국제 크로스 체커인 헥터 오테로가 이끌고 있습니다. 구단의 관리자는 마야귀에즈 출신으로 기업가 CPA 호세 훌리오 펠리시아노입니다. 푸에르토리코의 윈터리그 역사상 8번의 우승을 차지한 마코 올리베라스 감독이 현재(2023-2024 시즌 기준) 팀의 감독입니다.
역사
초창기
야구는 스페인-미국 전쟁 이후 마야귀에즈에서 행해졌습니다. 1970년대의 도시 연감에 따르면, 미국 육군이 도시를 침공한 바로 그 날(1898년 8월 11일), 군대는 도시의 주요 광장에서 즉석 야구 경기를 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1902년까지 야구가 도시의 정기적인 취미활동이 되었다는 것을 증거로 확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1938년에 창단되기 전까지, 마야귀에즈는 준 프로 야구 팀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최초의 팀은 자동차 브랜드의 이름을 따서 "Pope-Hartford"로 명명되었으며 1905년 브랜드 수입업체인 Santiago Panzardi에 의해 조직되었습니다. 그 후 마야귀에즈 카디널스, 야규즈 등의 팀들이 차례로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습니다. 이 팀들은 나머지 섬인 베네수엘라와 쿠바에서 온 조직된 팀들과, 그리고 니그로 리그 야구 선수들로부터 모인 팀들과 경기를 했습니다.
LBPPR이 만들어지자 마야귀에즈 팀이 그 일부가 되었습니다.[4] 알폰소 발데스 코비안이 이끄는 구단은 1938년에서 1957년 사이에 구단을 소유했습니다.
인디오스는 1949년 LBPPR 챔피언십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원래 인디오스는 1912년 2월 14일부터 사용되고 있는 산티아고 요렌 야구장(La Loréns Baseball Park)인 라 리가 데 파리(La Liga de Paris)[3]에서 홈 경기를 치렀습니다. 그 해 말에 이시도로 가르시아 야구장으로 연고지를 옮겼으며, 이시도로 가르시아 야구장은 남서쪽 구석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바벨 페레스 시대
바벨 페레스(Babel Pérez)는 알폰소 발데스(Alfonso Valdés) 이후 인디오스의 경영을 맡았습니다. (그는 40년대 후반부터 돈 알폰소에서 일했습니다) 인디오스는 그의 지휘 하에 1962-1963년과 1965-1966년 두 번의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습니다. 조 크리스토퍼는 그 기간 동안 인디오스의 주요 선수였습니다.[5]
페레스는 1971년 독일 밤베르크에서 그의 딸이자 새로운 손자인 오비디오 엔리케 페레스 2세를 방문하던 중 갑자기 사망했습니다. 바벨 페레스의 미망인인 글로리아 멘데스 페레스는 1974년 매각될 때까지 팀을 소유했고, 야구팀을 소유한 최초의 여성으로서 야구 역사에 입문했습니다.
루이스 고메스 모나가스 시대
성공한 보험 사업가인 Luis Gómez Monagas와 아버지가 이끄는 새로운 경영진이 1974년에 인디오스를 구입했습니다. 그 당시 인디오스는 1965-66 시즌 리그 우승 이후 15년 이상 동안 단 2번의 우승밖에 거두지 못했고, 1966-67 시즌과 1973-74 시즌 사이에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1969-70 시즌을 제외하고는 모든 LBPPR 대회에서 꾸준히 꼴찌를 기록했습니다. 두 차례에 걸쳐, 구단은 바야몬으로 이적하겠다고 위협했지만, 대중의 지지로 두 차례 모두 마야귀에즈에 잔류했습니다. 설상가상으로 이시도로 가르시아 야구장은 말 그대로 팬과 선수, 필드 키퍼들에게 안전하지 않을 정도로 황폐한 상태였습니다.
역사적인 1977-1978 팀
1977-1978 팀은 말 그대로 파산과 망각으로부터 프랜차이즈를 구했습니다. René Lacheman이 관리하고 론 르플로어, 짐 드와이어, 커트 베바쿠아, 호세 마누엘 모랄레스가 1-4 자리에 포함된 강력한 라인업을 제공한 팀은 결과적으로 준결승과 결승 시리즈를 휩쓸며 플레이오프에 거의 진출하지 못했습니다. 이 시리즈의 마지막 경기에서 마야귀에즈는 18-2의 스코어로 우연한 이름을 가진 바야몬 카우보이스를 꺾었습니다. 그 팀은 결국 멕시코의 마자틀란으로 가서 1978년 카리브 월드 시리즈에서 우승했습니다.
이것은 팀 역사의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팬들의 지원으로 인디오스의 경영진은 프랜차이즈를 살릴 수 있는 충분한 재정적 능력을 갖게 되었습니다. 40년 동안 단 3번의 우승에 그쳤던 그 팀은 1978년 시즌에 이어 34년 동안 13번의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집단적인 팬 시위는 야구장의 주인인 푸에르토리코 공원 및 레저 관리국(현재 푸에르토리코 레크리에이션 스포츠부로 불림)에게 야구장의 수리를 요구했습니다. 경기장은 1980년 이후 곧 리모델링되었습니다. 고메즈의 소유 하에 있는 인디오스는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총 5번의 대회에서 4번 더 우승(83-84, 85-86, 87-88, 88-89)했습니다.
루이스 이반 멘데스 시대
1989년 고메즈는 팀의 라디오 방송 해설자였던 루이스 이반 멘데스에게 팀을 매각했습니다. 멘데스의 팀에 대한 극도의 열정이 일부 지역 팬들에 의해 회의적으로 보였기 때문에 이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조치였습니다. 그들은 멘데스를 뻔뻔하고 거만하며 주로 돈에 의해 동기부여가 된다고 여겼기 때문입니다. 방송인으로서 멘데스는 팀의 희박한 기간 동안 악마의 옹호자였으며, 라인업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많은 피드백을 제공했지만, 그의 언급은 때때로 무뚝뚝해서 팀 팬들을 멀어지게 했습니다(그는 심지어 그들 중 몇 명과 대립하기도 했습니다). 멘데스는 푸에르토리코 인근 산 세바스티안 출신으로 도시의 최초의 비토박이라는 사실은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 일부 팬들은 심지어 멘데스가 성공적인 AA 리그 프랜차이즈를 가지고 있는 그의 고향으로 팀을 옮기고 싶어한다고 의심했습니다.
그러나 객관적으로 멘데스는 팬들의 지지를 종교에 가까운 위치로 끌어올리려 했을 뿐만 아니라 5개의 선수권 대회와 3개의 준우승을 담당했습니다. 그는 많은 팀 의식을 확립하거나 승인하는 일을 맡았고, 팀의 색깔을 버건디와 골드로 바꾸었으며, 심지어 카리브 월드 시리즈에 갈 때 인디오들에게 자신들의 유니폼을 입으라고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많은 팬들은 멘데스와 애증의 관계를 맺기로 결정했고, 그의 사업적인 영리함과 야구에 대한 재능을 칭찬하면서도 그를 개인적으로 싫어했습니다.
다니엘 아키노 시대
그에 대한 비난 여론에 지쳤고, 리그 동료를 폭행한 혐의로 LBPPR로부터 자격 정지 징계를 받기도 한 멘데스는 인근의 푸에르토리코 대학교에서 기계 공학 학위를 받은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의 다니엘 아키노에게 팀의 소유권을 팔았습니다. 한때 도미니카 윈터리그의 레오네스 델 에스코기도 구단주였던 아키노에 대한 팬들의 반응은 멘데스에 대한 반발을 창백하게 만들었습니다. 아키노는 급여 비용 상승으로 인해 레온즈의 로스터에 물을 끼얹은 것에 대해 고국에서 상당한 비판을 받았습니다. 외국인 혐오증은 아키노가 푸에르토리코와 마야귀에즈와 개인적인 유대관계가 강했고, 레온즈를 경험한 후 팀 결과에 개인적인 이해관계가 없다면 다른 야구팀을 운영하는 데 뛰어들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다고 반복적으로 반박한 것에 대해 비판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그러나, 아키노는 성공적인 구단주임을 증명하였고, 그의 경영진에 또 다른 논란의 대상이 되는 (그리고 매우 목소리가 큰) 야구 임원인 카를로스 피에브를 포함시켰다 (이번에는 단장으로서). 아키노는 구단주로서 첫 해에 인디오스를 리그 우승(2003년)시켰으나, 그 다음 해에 리그 우승(2004년)을 거두었고, 그 다음 해에 또 다시 우승(2005년)을 거두었습니다. 이 팀은 2006년 Gigantes de Carolina와의 결승전에서 패했고 2007년 플레이오프 준결승전에서 또 패배했습니다.[6]
홈구장인 이시도로 가르시아 야구장이 철거되고 2010년 중미카리브해 게임을 개최하기 위해 재건되면서 인디오스는 푸에르토리코 인근의 아와딜라로 임시 이전해야 했습니다. 그들은 루이스 A에서 경기를 했습니다. 카네나 마르케스 스타디움은 "인디오스-티부로네스"라는 이름으로 1940년대와 1950년대에 활동했던 LBPPR 팀인 티부로네스 데 아구아딜라(아구아딜라 샤크스)를 떠올리게 하는 마케팅 개념입니다.
푸에르토리코 야구 리그
2009년 11월 18일, 로보스는 인디오스를 이겼습니다.[7] 2009년 11월 19일에 인디오스를 이긴 후, Gigantes는 짧은 기간 동안 리그의 선두를 얻었습니다.[8] 2009년 11월 25일, 인디오스는 레온즈를 꺾고 시즌 4승을 거두었습니다.
마야귀에즈는 정규 시즌 4위(2009-2010)로 마감했습니다. 그들은 플레이오프에서 로보스를 4대 3으로 꺾고 30번째 챔피언십 시리즈에 진출했습니다.
인디오스 데 마야귀에즈는 크리올로스 데 카구아스를 4-1로 꺾고 16번째 우승(PRBL 최다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이 시리즈의 세 경기는 연장전까지 갔습니다.[9]
가장 잘 알려진 전 MLB 선수들
인디오스에서 뛰었던 메이저리그 선수들은 데니스 맥클레인, 부기 파월, 브래딘 헤겐스, 짐 노스럽, 윌리 호튼, 미키 롤리치, 잭 모리스, 데이브 맥널리, 토미 라소다, 론 르플로어, 커트 베바쿠아, 랜스 패리쉬, 폴 오닐, 제프 브랜틀리, 켄 카미니티, 잭 그레인키, 더그 글랜빌, 해롤드 레이놀즈, 데니스 마르티네스, 대니 발렌시아와 월리 조이너.
또한 현지 MLB 스타들은 봄보 리베라, 윌리 에르난데스, 호세 구스만, 이반 칼데론, 로베르토 에르난데스, 이반 로드리게스, 바비 보니야, 윌 코데로, 호르헤 포사다, 호세 비드로 등이 있습니다. 코데로는 이시도로 가르시아 야구장 건너편에 있던 마을의 코코라 구역에서 자라났습니다.
LBPPR 챔피언십(팀 매니저)
- 1948-49: 아티 윌슨
- 1956-57: 미키 오언
- 1962-63: 칼 에르머
- 1965-66: 웨인 블랙번
- 1977-78: 르네 라체만
- 1983-84: 프랑크 베르디
- 1985-86: 닉 레이바
- 1987-88: 짐 리글먼
- 1988-89: 톰 감보아
- 1991-92: 팻 켈리
- 1996-97: 톰 감보아
- 1997-98: 톰 감보아
- 1998-99: 알 뉴먼
- 2002-03: 닉 레이바
- 2004-05: 마코 올리베라스
- 2009-10: 마코 올리베라스
- 2011-12: 데이브 마일리
- 2013-14: 카를로스 바에르가
- 2022-23: 마코 올리베라스
캐리비안 시리즈 기록
연도 | 장소 | 끝내라. | 이김. | 손실 | 윈% | 부장님 |
---|---|---|---|---|---|---|
1949 | ![]() | 네번째 | 1 | 5 | .167 | ![]() |
1957 | ![]() | 세번째 | 2 | 4 | .333 | ![]() |
1978 | ![]() | 첫 번째 | 5 | 1 | .833 | ![]() |
1984 | ![]() | 네번째 | 1 | 4 | .200 | ![]() |
1986 | ![]() | 네번째 | 2 | 4 | .333 | ![]() |
1988 | ![]() | 두번째 | 3 | 3 | .500 | ![]() |
1989 | ![]() | 두번째 | 4 | 2 | .667 | ![]() |
1992 | ![]() | 첫 번째 | 5 | 2 | .714 | ![]() |
1997 | ![]() | 네번째 | 2 | 4 | .333 | ![]() |
1998 | ![]() | 두번째 | 4 | 2 | .667 | ![]() |
1999 | ![]() | 두번째 | 4 | 2 | .667 | ![]() |
2003 | ![]() | 두번째 | 5 | 2 | .714 | ![]() |
2005 | ![]() | 네번째 | 1 | 5 | .167 | ![]() |
2010 | ![]() | 두번째 | 4 | 2 | .667 | ![]() |
2012 | ![]() | 두번째 | 3 | 3 | .500 | ![]() |
2014 | ![]() | 두번째 | 3 | 3 | .500 | ![]() |
2023 | ![]() | 5일 | 4 | 3 | .571 | ![]() |
총 | 53 | 51 | .510 |
마야귀에즈 역대 올스타 팀
2003년 12월, 5명의 지역 스포츠 캐스터로 구성된 패널은 Indios de Mayagüez All-Time All Star Team을 선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선발은 지난 65년 동안의 인디오스 팀들의 후보들을 고려했습니다. 그들이 선택한 팀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 데니 맥레인, P(RH)
- Dave McNally, P (LH)
- 랜스 패리시
- 브라이언 존슨, C
- 월리 조이너, 1B
- 카를로스 마누엘 산티아고,[10] 2B
- 아티 윌슨,[11] SS
- Kurt Bevacqua, 3B
- 윌머 필드, 3B(때로는 P, 1B)
- 짐 드와이어, LF
- 짐 노스럽, CF
- 루이스 A. "카네나" 마르케스, RF
- 루시우스 "루크" 부활절, DB
2014년 현재, Mayaguez의 스포츠 언론 커뮤니티 사이에서는 일 년 중 언젠가 목록을 업데이트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은퇴번호
번호 | 이름. | 위치 |
---|---|---|
4 | 움베르토 피타 마르티 | 포수 |
13 | 세페리노 "세포" 콘데 | 물주전자 |
21 | 로베르토 클레멘테 워커(LBPPR 모든 팀에서 은퇴) | 우익수 |
22 | 호세 "토니" 발렌틴 | 유격수 |
23 | 루이스 "맘보" 데 레온 | 물주전자 |

인도의 도상과 전통
로스 인디오스 데 미 푸에블로
데이비드 카스트로(David Castro)가 방송에서 한 발언은 팀에게 "Los Indios de mi pueblo" ("내 고향의 인디언")이라는 별명을 붙였습니다. 라몬 S. 푸에르토리코 여러 뉴스 라디오 방송국의 오랜 뉴스 앵커이자 역시 마야귀에즈 출신인 올리벤시아는 자신의 방송에서 전날 밤부터 야구 점수를 읽어야 할 때마다 팀 이름을 읽는 대신 이 문구를 언급하는 습관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이 문구는 붙었고 Olivencia가 죽은 지 한참 후에도 여전히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마야귀자노스가 팀을 지칭할 때 주로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인디오스 데 마야귀에즈는 1938년 지역 사업가 알폰소 발데스 코비안이 설립한 인도의 세르베세리아가 처음 후원했습니다. 발데스 감독이 부임한 후, 구단의 첫 구단주를 기리기 위해 모든 구단 유니폼의 왼쪽 소매에 "AVC"라는 이니셜이 추가되었습니다. 인디오스가 재건된 이시도로 가르시아 스타디움으로 복귀하자, 발데스의 사진은 좌익수 펜스에 포함되었고, 선수들의 번호가 영구 결번되었습니다.
비공식 팀 노래 '아히비엔 로스 인디오스'
외부영상 | |
---|---|
![]() |
인디오스의 비공식 팀 노래는 1959년 빌로의 카라카스 보이즈 오케스트라 라인업이 오랜 지휘자인 빌로 프로메타와 재회한 두 명의 전 밴드 동료 에르네스토 차푸소와 프란시스코 시모 다미론이 녹음한 도미니카 메렝게입니다. 이 노래는 일반적으로 게임의 7회 연장에서 재생됩니다.
팀을 지칭하는 다른 노래들
마야귀에즈 시에는 루치아노 퀴뇨네스가 작곡한 공식적인 노래인 "Mayagüez, Mi Mayagüez"가 있지만, 이 노래가 위촉되기 전에 시의 비공식적인 주제가는 팀을 지칭하는 세자르 콘셉시온의 플레나 A Mayagüez였습니다. 이 노래는 이 가수가 "바실러스 콘로스 인디오스, 퀸 베르다 데찬 칸델라"(최근 정말로 불타고 있는 인디오스와 즐거운 시간을 보내세요)를 위해 이 도시를 방문할 것임을 암시합니다.
역사적인 (그러나 공식적이지 않은) 팀 노래는 플레나 "El Mayagüez Invancible"로, 일반적으로 1949년 인디오스의 첫 우승에 기여한 투수이자 야구 철학자인 세페리노 "Cefo" Conde에 기인합니다. 플레나는 1949년 팀의 초기 라인업에 포함된 모든 마야귀에즈 선수들의 이름과 함께 그들의 플레이 포지션을 지정합니다.
더욱 성공적인 밴드 리더가 되기 전까지 인디오스에서 성공적인 유격수로 활약했던 몬 리베라는 팀과 관련이 있을 때 겪었던 일화를 유머러스하게 노래로 썼습니다. 팀의 포수 중 한 명인 험버토 "피타" 마르티에 대해 언급합니다. 마르티는 포수로서 충분히 훌륭한 활약을 펼쳤으며, 결국 팀에서 그의 등번호를 은퇴할 자격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영어 실력은 그만큼 좋지 않았습니다. 그 팀은 미국 출신의 주요 야구 선수들을 포함했기 때문에, 선수들 간의 상호작용은 영어, 스페인어, 스페인어, 스페인어, 수화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야만 했습니다. 마르티는 경기 전에 "어때요?"라는 질문을 받았고,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대답했습니다. "Yo no juego field, loque juego catcher de Mayagüez" (나는 야수가 아니라 Mayagüez에서 포수로 뛰고 있습니다). 이 농담은 ¿ 코모에스타 피타라는 노래를 불러도 좋을 만큼 지속되었습니다.
팀의 원래 마스코트인 Indio de Mayagüez
197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초반 사이에 "Indio de Mayagüz" 캐릭터는 팀의 비공식 치어리더가 되었습니다. 2011-12 시즌 동안 인디오는 짧은 기간 동안 컴백했습니다. 에르빈 산타나(Ervin Santana)가 해석한 인디오(Indio)는 즉 모직 판초를 쓰고 깃털이 달린 머리장식을 한 의상을 입은 팬으로 현지 팀을 위해서는 관객들의 환호를, 방문객들을 위해서는 야유를 요구합니다.[12] 그런 다음 인디오는 인디오스 더그아웃의 지붕 한쪽에 손수건(혹은 선풍기에서 빌려온 현수막)을 놓고 반대편으로 걸어간 다음, 달려가 손수건을 향해 미끄러지듯, 마치 베이스를 훔치듯 먼저 집어 듭니다.[12]
1990년대 후반 한때 치어리더는 더그아웃의 지붕을 지나 근처 계단에 내려앉아 다리와 갈비뼈 3개가 부러졌습니다. 오랜 요양 끝에 인디오는 경기장 1루 더그아웃에 있는 평소의 구호 장소로 돌아와 깁스를 하고 목발을 짚고 환호를 외쳤습니다. 가끔 인디오는 내야로 들어가 베이스를 돌고 홈플레이트를 훔칩니다.
Bompy, (오버로드됨) 인디오스 마스코트
2013-14 시즌을 기점으로, 원래 Indios de Mayaguez 농구팀을 위해 개발된 만화 캐릭터인 Bompy가 야구팀의 경기에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장난꾸러기인 봄피는 자신의 페이스북 페이지를 가지고 있으며, 양 팀의 어린 팬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캐릭터입니다.
라디오 방송
라디오 아나운서 아르투로 소토 카르도나(Arturo Soto Cardona)는 지난 44년간(2023년 기준) Indios de Mayagüez 라디오 방송국 승무원 중 한 명이 고정 멤버였습니다. 푸에르토리코 인근 산 세바스티안 출신인 소토는 1977년부터 인디오스의 경기를 해설해왔습니다.
일부 인디오 팬들이 그러하듯이,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인디오들이 출연하는 텔레비전 방송에서 볼륨을 줄이고, 라디오 세트를 켜서 방송국 WYEL-AM(600kHz)에서 방송되고 인터넷을 통해 스트리밍되는 인디오 공식 라디오 방송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입니다. 소토의 목소리 변화는 팬들에게 매우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그의 목소리를 듣는 것만으로도 많은 사람들이 공이 실제로 떨어지기 전에 팝업 플라이와 히트의 차이점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방송팀 출신인 데이비드 카스트로는 1938년 팀 창단 이후 2005년 공식 은퇴할 때까지 국내외 모든 인디오스 경기(1960년대 초반 비현지 경기 한 경기 제외)에 참석한 것으로 유명했습니다.
다큐멘터리
에마뉘엘 디아스 감독이 연출한 "로스 인디오스 데 미 푸에블로"라는 이름의 팀에 관한 다큐멘터리가 2011년에 발행되었습니다.[13]
참고문헌
- ^ Caputo, Paul (4 November 2021). "Puerto Rico's Indios de Mayagüez rebrand features "Little Mango" character". Chris Creamer's SportsLogos.Net News. Retrieved 8 August 2023.
- ^ Edwin Kako Vazquez. "Los Indios de Mayaguez Puerto Rico 2006–2007". 1-800-Beisbol. Retrieved 2007-01-05.
- ^ a b "Beisbol de Puerto Rico Resumen Primera Semana Nov 14". 1-800-Beisbol. Retrieved 2009-01-05.
- ^ Edwin Kako Vazquez. "Historia Beisbol de Puerto Rico". 1-800-Beisbo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3-16. Retrieved 2008-01-05.
- ^ "Joe Christoph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5-10-03. Retrieved 2007-01-16.
- ^ Edwin Kako Vazquez. "Beisbol de Puerto Rico La Serie Final 2006 2007". 1-800-Beisbol. Retrieved 2008-01-05.
- ^ "Arecibo y Carolina ganan en el béisbol profesional". Primera Hora (in Spanish). 2009-11-09. Retrieved 2009-12-02.
- ^ "Gigantes de Carolina se consolidan al tope de la liga invernal boricua". Primera Hora (in Spanish). 2009-11-2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11-24. Retrieved 2009-12-02.
- ^ "¡Los Indios de Mayagüez son campeones! - Primerahora.com". www.primerahora.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02-02.
- ^ "Santiago, Carlos Manuel – Negro Leagues Sta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December 2008.
- ^ "Wilson, Artie – Negro League Baseball Play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April 2008.
- ^ a b Joe Connor (2006-01-16). "Welcome to Puerto Rico". ESPN. Retrieved 2008-01-06.
- ^ "Los Indios de mi pueblo". Cuevana3. Retrieved 29 June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