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판타, 케손

Infanta, Quezon
인판타
비낭고난 데 램폰(이전)
인판타 시
Infanta Municipal Hall
인판타 시청
Official seal of Infanta
닉네임:
태평양으로 가는 관문
애국가: 마부하이 카, 인판타
(영어: Long Live, Invanta)
Map of Quezon with Infanta highlighted
인판타가 강조 표시된 퀘존 지도
오픈스트리트맵
Infanta is located in Philippines
Infanta
인판타
필리핀 내 위치
좌표: 14°44′33″N 121°38′58″E / 14.7425°N 121.6494°E / 14.7425; 121.6494좌표: 14°44′33″N 121°38′58″E / 14.7425°N 121.6494°E / 14.7425; 121.6494
나라필리핀
지역칼라바르존
케존
제1구
설립됨1696년 4월 25일
에 대해 명명됨스페인 왕정의 공주 또는 후계자
바랑게이36 (바랑게이 참조)
정부
• 유형상무니앙바얀
시장필리핀 그레이스 R. 미국.
부시장아넬 L. 루안토 경
대표윌프리도 마크 M. 엔베르가
• 시 의회
회원들
유권자유권자 17,192명(2019년)
면적
• 합계342.76km2 (1934평방 mi)
최고 고도
1,523m(4,997ft)
최저 고도
0m(0ft)
인구
(1998년 인구조사)
• 합계76,186
• 밀도220/km2(580/sq mi)
가구
16,209
이코노미
소득계층제1차 시 소득계층
빈곤 발생11.92% (2015)[4]
서비스 제공업체
• 전기케존2전기협동조합(QEZECO 2)
시간대UTC+8(PST)
우편번호
4336
PSGC
IDD : 지역번호+63 (0)42
네이티브 언어우미라이 두마게
타갈로그어
웹사이트www.infanta.gov.ph

인판타, 공식적으로 인판타 자치주(Tagalog: 바얀 ng 인판타)는 필리핀 케손 지방의 1급 자치단체다. 202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인구는 76,186명이다. [3]

대지 면적은 130.1km로2 퀘존 면적의 1.5%를 차지한다. 마닐라 북동쪽 144km(89mi), 루체나 시 북쪽에 136km(85mi)에 위치해 있다. 마닐라 메트로에서 마르코스 고속도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인판타는 퀘존 주에서 가장 큰 람바노그 제조업체다. 그 마을은 또한 바유고 요리로도 유명하다.[5] 그 마을은 현재 마을 사람들에게 바유고를 공급할 바유고 사육 센터를 설립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야생에서 바유고의 쇠퇴를 막기 위한 조치다. 또한 퀘존 북부지역의 경제활동의 중심이다. 인판타 마을 축제는 매년 4월 25일에 열린다. 인판타는 또한 "태평양으로 가는 관문"으로도 알려져 있다.

바랑게이

인판타는 정치적으로 도시 7곳과 농촌 29곳의 36개 바랑게이로 세분되어 있다.

어반
  • 포블라시온 1호
  • 포블라시온 38
  • 포블라시온 39
  • 포블라시온 반틸란
  • 코몬
  • 잉가스
  • 디나히칸
농촌
  • 알리타스
  • 랑가스
  • 아니봉
  • 발로보
  • 바콩
  • 매사세이
  • 아몰롱긴
  • 풀로
  • 비노안
  • 구미안
  • 통고인
  • 피나그라파탄
  • 일로그
  • 카탐붕간
  • 필러웨이
  • 아고스 아고스
  • 바누가오
  • 미스와
  • 리알
  • 바티칸
  • 보보인
  • 리브조
  • 아비아윈
  • 비눌라산
  • 메이펄롯
  • 실랑가
  • 카와닌
  • 안티킨
  • 투두란

기후

인판타 기후 데이터(1981-2010, 극한 1949-2012)
2월 3월 4월 5월 줄리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도
높은 °C(°F) 기록 34.1
(93.4)
34.1
(93.4)
34.5
(94.1)
37.2
(99.0)
37.8
(100.0)
37.8
(100.0)
38.1
(100.6)
37.0
(98.6)
37.0
(98.6)
36.5
(97.7)
34.5
(94.1)
32.8
(91.0)
38.1
(100.6)
평균 높은 °C(°F) 27.6
(81.7)
28.5
(83.3)
30.1
(86.2)
31.8
(89.2)
33.1
(91.6)
33.4
(92.1)
32.7
(90.9)
32.8
(91.0)
32.4
(90.3)
30.8
(87.4)
29.6
(85.3)
27.9
(82.2)
30.9
(87.6)
일평균 °C(°F) 24.9
(76.8)
25.3
(77.5)
26.5
(79.7)
27.9
(82.2)
28.9
(84.0)
29.2
(84.6)
28.7
(83.7)
28.9
(84.0)
28.4
(83.1)
27.4
(81.3)
26.7
(80.1)
25.4
(77.7)
27.3
(81.1)
평균 낮은 °C(°F) 22.2
(72.0)
22.2
(72.0)
22.9
(73.2)
24.0
(75.2)
24.7
(76.5)
24.9
(76.8)
24.6
(76.3)
24.9
(76.8)
24.4
(75.9)
24.0
(75.2)
23.8
(74.8)
22.9
(73.2)
23.8
(74.8)
낮은 °C(°F) 기록 17.4
(63.3)
17.4
(63.3)
16.4
(61.5)
18.1
(64.6)
20.5
(68.9)
21.5
(70.7)
20.6
(69.1)
21.6
(70.9)
21.0
(69.8)
20.0
(68.0)
17.4
(63.3)
18.0
(64.4)
16.4
(61.5)
평균 강우량 mm(인치) 365.1
(14.37)
253.0
(9.96)
192.3
(7.57)
208.9
(8.22)
197.8
(7.79)
237.2
(9.34)
283.9
(11.18)
189.8
(7.47)
270.7
(10.66)
635.7
(25.03)
594.9
(23.42)
675.8
(26.61)
4,105.1
(161.62)
평균 비 오는 날(평균 0.1mm) 26 18 16 14 16 17 19 16 19 24 25 26 236
평균 상대습도(%) 87 87 85 82 81 80 81 80 82 86 87 87 84
출처: PAGASA[6][7]

역사

스페인 식민지화 이전 이곳은 최초의 민족인 두마가트족에 의해 비낭고난으로 알려져 있었다. 비낭고난(Binangonan)은 소브칼(Bobo a Laki)이 아기에게 바친 뱅곤("신성한 이름")이 있는 신성한 장소에 관련된 두마가트어이다.

인판타 구

(번역: Fray Felix de Huerta's “Estado, Topográfico, Estadistíco, Histórico—Religioso, de la Santa y Apostólica Provincia de San Gregorio Magno, de Religiosos Menores Descalzos de la Regular y Mas Estrecha Observancia De Nuestro Padre San Francisco, en las Islas Filipinas”. 비논도: 1865년, 도미니도어 N. 마르카이다 주니어 (2015년 9월 21일 접속 @1907://bdh-rd.bne.es)

1856년에 부여된 상부의 칙령에 의해, 이 지역은 이전에 라구나 지방에 속했던 영토로, 14° 30에서 15° 10의 북위까지, 폴릴로 섬과 이를 둘러싼 다른 작은 섬들을 포함하여, 만들어졌다. 북으로는 프린시페, 동쪽으로는 바다, 남쪽으로는 타야바스, 서쪽으로는 호수에 접해 있다. 대부분 평지로 소와 말의 목초지가 풍부하고, 사냥, 낚시, 밀랍, 다수의 뿌리 작물이 있으며, 건축과 장정에 좋은 목재가 풍부하다. 수도는 정치군수가 있는 비낭고난에 있다. 그 토착민들은 우리의 종교에 의해 개종되었는데, 그들은 다음과 같은 마을을 설립하고 관리하였다.

비낭고난 데 램폰

1578년, 존경스럽고 열성적인 프레이 에스테반 오르티스는 60여개의 리그로 섬의 동쪽 해안을 둘러본 이 마을에 십자가의 위로 표지를 심었고, 당시 선교사의 부족은 1609년 경까지 성스러운 프레이 열사와 함께 목사의 지속적인 조력을 허락하지 않았다. 블라스 팔로미노가 새롭게 개종하고, 이 마을을 공식화했으며, 초대 목사가 되었다.

1658년 이후, 이 마을의 행정은 이 사도교 성에서 양도되었다. 그레고리는 아우구스티니아 리콜렉트로 갔고 그들은 또한 1703년에 퇴위했고, 그것을 우리의 책임으로 돌려주었고, 그 당시 90명 이하의 조공을 받았다.

평지 14° 49' EI0"의 위도와 섬의 동쪽 해안, 그리고 아고스라는 이름의 강의 오른쪽에 위치해 있는데, 이 강은 루손 섬의 북쪽에 있는 웅장한 코딜레라 산에서 유래했으며,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강이 폴릴로 섬의 앞 바다로 흘러들어간다. It is bordered on the North by the town of Baler, distant about twenty and seven leguas: on the East by the island and town of Polillo, an eight-hour time of navigation on fair weather; on the South by the town of Mauban, belonging to the province of Tayabas and as about fifteen leguas, and West-Southwest by the town of Siniloan at eight leguas, which가 산을 넘다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온화하고 건강한 기후를 누린다.가장 흔한 질병은 온열과 결핵이다. 그것은 강과 여러 개의 샘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있는데, 모두 좋은 품질이다. 산맥을 관통하는 매우 어려운 길보다 더 많은 도로가 없어 신릴로안 마을로 이어진다. 마우반 마을과 연결되려면 반드시 물로 해야 하며, 항해는 매우 위험하거나, 10월부터 3월까지 거의 불가능하며, 발레르 마을과 연결하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항해 곤란 외에도, 서식하는 많은 이교도들이 두려워 해안 전역으로 육지로 가져갈 수 없다. 그 지역 기회가 있을 때 도에서 우편물을 받는다.

에반젤리스트 산마르코스에게 바쳐진 교회는 1732년까지 대나무 지팡이와 니파(nipa)로 되어 있었는데, 그 무렵에는 그것이 불타버리고 기존 것을 지었는데, 돌로 만들었지만 니파로 지붕을 얹고, 재판소 역할을 하는 교구의 집과 같았다. 지역사회의 기금에 의해 부여된 초등교육 학교가 있다. 약 600여 개의 목조 가옥과 그 밖의 많은 대나무 집들이 28개의 바리오에 분포되어 있으며, 일부는 교회에서 꽤 멀리 떨어져 있다. 현재 프레이 루카스 마르티네스 29세 전도사가 서빙하고 있다.

주립교구 주

이 마을은 한이 없다. 그들의 길고 우거진 숲에는 건축과 장식용, 최고의 품질의 모든 종류의 숲이 있다. 소와 말을 위한 많고 좋은 목초지, 다양한 야자수, 통조림, 갈대, 열매가 많고 뿌리가 많은 갈대, 풍부한 사냥 버팔로, 멧돼지, 사슴, 새, 밀랍과 꿀이 많다. 프리 안토니오 델 모랄이 1849년 발견한 화강암 석재 채석장도 있다. 마을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는 높은 배의 안전한 항구가 존재하지만, 그 입항은 경험이 없는 사람들에게 위험하며, 10월부터 3월까지 부는 강한 북풍 때문에 해안을 항해하는 것은 위험하다. 경작지로 전락한 땅은 쌀, 옥수수, 사탕수수, 코코아, 커피, 고구마의 풍부한 작물을 생산한다. 이 아바카는 1851년 Fray Antonio del Moral에 의해 처음으로 심어진 것으로, 매우 행복한 결과를 주었고, 오늘날에는 그 증가하는 재배가 큰 활동과 혜택으로 계속 되고 있다. 그 토착민들은 농업, 아바카의 수확, 니파 포도주, 사냥과 어업에서 소의 번식을 하고 있으며, 다른 농산물의 과잉과 함께 중간 크기의 보트로 타야바스 지방의 마우반 마을과 파라칼레와 맘 마을로 수출된다.수도에 반입된 후 금가루를 반환하는 불라오

다음은 프레이 오르티즈와 프레이 팔로미노 이후 비낭고난 데 람폰에 있는 종교 프랑시스칸이다.

프란시스칸 프리어스(1617~1880년대), 비낭고난 데 램폰

프란시스칸 프리아 포지션 연도
베르나르디노 데 라 컨셉시온 고해 신부 1617
후안 데 만실라 고해 신부 1619
로렌초 발데스 고해 신부 1632
비센테 필라스 또는 산호세 설교자 1639
디오니시오 데 라 컨셉시온 고해 신부 1652
페드로 드 앨버커키 설교자 1653 / 1659
발타사르 고해 신부 1659
후안 안토니오 델라 푸르피카시온 델 모럴 1727-1731
니콜라스 발베르데 또는 데 제수스 고해 신부 1741 / 1765
비센테 마스 설교자 1758
마누엘 데 사시온 설교자 1758
호세 데 헤수스 또는 데 산 에스테반 후리스터 1759
훌리안 드 마드리드 설교자 1760
마누엘 데 산 라몬 고해 신부 1768
아타나시오 아르고베조 데 헤수스 마리아 설교자 1774
호세 엔그라시오 데 알라리야 설교자 1785
후안 모베노 설교자 1811
토마스 포베다 설교자 1823
발타사르 바르셀로 데 산 안토니오 설교자 1825
안토니오 후에르타스 펠리페 델 모럴 1848-1853
루카스 마르티네스 설교자 1864
시릴로 산즈 설교자 1867-1869
프란시스코 아리아가 설교자 1883

출처: 에우세비오 고메스 플라테로의 "Catarlogo Biografico de Los Regulios Franciscanos de la Provincia de La Provinia de San Gregorio Magno de Filipinas desde 1577 que Llegaron las has de Nuestras." 마닐라 프레스 of Sto. 토마스는 돈 게르야시오 메미제(Don Geryasio Memije, 1880년(http://bdh-rd.bne.es)의 담당으로 도미나도르 N. 마르카이다 주니어가 번역했다.

전설

전설에 따르면, 인판타가 된 땅에 첫 정착지를 세운 사람들은 누농 카룩통이라는 장로가 이끌었다. 이 정착민들은 더 나은 생활환경을 찾아 지금의 리잘 성 어딘가에서 시에라 마드레 산맥을 건넜다. 여러 곳을 조사하다가 결국 반틸란 강 근처의 한 부지에 정착하게 되었는데, 거대한 야마 뿌리의 발견은 그 부지가 정착하기에 이상적이라는 것을 확신시켰다. 이곳은 결국 유럽의 식민지 개척자들이 비낭고난 램폰이라고 부르는 정착지의 장소가 되었고, 결국 인판타 자치시가 되었다.

페르디난드 마젤란과 그의 부하들이 세부에 상륙한 지 반세기가 넘은 1578년, 미겔 로페스레가즈피가 세부에 최초의 스페인 정착지를 세운 지 13년 만에 에스테반 오르티스라는 스페인 신부가 비낭고난 데 람폰에 도착하여 그 자리에 스페인 식민 통치의 도입을 상징하는 나무 십자가를 심었다. 1696년 토착 족장 돈 디에고 망길라야(Don Diego Mangilaya)가 이 정착지를 공동체로 발전시키고 누농 카룩통[8] 잠든 자리에 목조 예배당을 지었다. 이 지역은 설립 이후 모로 해적들의 공격을 받아왔고, 2004년까지만 해도 태풍과 콜레라 전염병이 찾아오고 있다. 1803년 페드로 레온 선장이 누에바 에치야 지방으로 비낭고난 데 람퐁을 계열시켰고, 1850년 카피탄 라파엘 오로스코는 누에바 에치야 지방에서 인판타를 철수시키고 서쪽으로 라구나 주와 합류했다. 1835년 후안살바도르 선장에 의해 비낭고난 데 람폰이 성자 예수 인판테(어린이 예수)를 기리기 위해 '인판타'로 개칭되었다. 인판타의 모든 주민들은 1848년 11월 11일 칙령에 따라 스페인 성을 받았다.

1898년 7월 20일 파블로 아스티야 대령이 이끄는 인판타 카티푸네로스 일행이 석회암 수녀원에 은신해 있던 스페인군을 공격했고, 며칠 동안 포위와 전투를 벌인 끝에 스페인 군인들은 항복했다. 1898년 12월 10일 파리 평화조약 덕분에 미군 병사들은 인판타 마을을 점령하고 카피탄 카를로스 루이다 아즈카라가를 초대 '도시 대통령'으로 임명했다. 1903년 루피노 오르티스에 이어 라구나 지방에서 인판타를 철수시키고 타야바스 지방에 합류했다. 인판타의 바리오스(지금의 바랑게이)에 코코넛 나무를 심는 것도 명령했다. 마을 "대통령" 그레고리오 루타키오(1911–1916)의 행정 동안, 그는 학교 주택의 "가발돈형"을 건설했다. 1923년부터 1928년까지 돈 플로렌시오 포테스는 마을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그 도시의 콘크리트 시립 건물과 최초의 전신국을 건설했다. 1935년부터 1939년까지 파비안 솔레사는 마을 "대통령"을 지냈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인판타에서 라구나리잘 지방까지 시에라 마드레 강을 가로지르는 인판타-패미 도로가 건설되었다. 또 구미안(바랑게이)의 봄철 저수지의 파이프로 만든 물을 설치했다. 1941년 12월 일본 제국군은 인판타 마을에서 점령되었다. 1945년 5월 25일, 필리핀군과 미군이 합세하여 마을에 들어온 해방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일본 제국군과 싸운 유격대의 지원을 받았다. 1950년, 자치시는 인판타의 로마 가톨릭 영지 원장자리가 되었다.

현대사

1949년 7월 21일, 나카르 장군은 자치 단체로부터 창설되었다. 인판타는 1960년 12월 15일 레알 시군이 자치구가 되면서 다시 한번 분할되었다.

인구통계학

웰컴아치
인판타 인구조사
연도Pop.±% p.a.
1903 10,283
1918 15,860+2.93%
1939 20,331+1.19%
1948 19,006−0.75%
1960 21,868+1.18%
1970 21,653−0.10%
1975 25,271+3.15%
1980 27,814+1.94%
1990 35,564+2.49%
1995 39,772+2.12%
2000 50,992+5.47%
2007 60,346+2.35%
2010 64,818+2.64%
2015 69,079+1.22%
2020 76,186+1.94%
출처: 필리핀 통계청

이코노미


교육

인판타는 교육적 학습의 중심지로, 인근 레알, 나카르 장군, 폴릴로, 파누쿨란, 부르데오스, 파트넌간, 조말리그의 마을에서 많은 학생들을 끌어모으는 4개의 대학이 있다. 인판타에 있는 대학은 다음과 같다.

  • 노던 퀘존 대학교
  • 남부 루손 주립 대학교-인판타 캠퍼스
  • 리잘 해양 기술 대학
  • ACT 컴퓨터 대학

중등학교:

  • 인판타 국립 고등학교(인판타에서 가장 큰 공립 고등학교)
  • 인판타 산 카멜 학교(인판타에서 가장 크고 유일한 가톨릭 학교)
  • 비눌라산통합고등학교
  • 통고인 국립 고등학교
  • 랭가스 국립 고등학교
  • 예수님의 어린 친구들 석조 아카데미

마을의 찬가

인판타운의 찬송가는 인판타 마운트 카멜 학교 동문들이 쓴 '마부하이인판타'라는 제목이다.

참조

  1. ^ 인판타 시 (DILG)
  2. ^ "2015 Census of Population, Report No. 3 – Population, Land Area, and Population Density" (PDF).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Quezon City, Philippines. August 2016. ISSN 0117-1453.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May 25, 2021. Retrieved July 16, 2021.
  3. ^ a b Census of Population (2020). "Region IV-A (Calabarzon)".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 PSA. Retrieved 8 July 2021.
  4.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City%20and%20Municipal-level%20Small%20Area%20Poverty%20Estimates_%202009%2C%202012%20and%202015_0.xlsx; 발행일: 2019년 7월 10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5. ^ https://www.youtube.com/watch?v=bmXBqJQRWV8
  6. ^ "Infanta, Quezon Climatological Normal Values".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October 2018. Retrieved 15 October 2018.
  7. ^ "Infanta, Quezon Climatological Extremes".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October 2018. Retrieved 15 October 2018.
  8. ^ "Mythical Origin www.infanta.gov.ph". www.infanta.gov.p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May 2016. Retrieved 2017-04-25.
  9. ^ Census of Population (2015). "Region IV-A (Calabarzon)".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 PSA. Retrieved 20 June 2016.
  10. ^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2010). "Region IV-A (Calabarzon)".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 NSO. Retrieved 29 June 2016.
  11. ^ Censuses of Population (1903–2007). "Region IV-A (Calabarzon)". Table 1. Population Enumerated in Various Censuses by Province/Highly Urbanized City: 1903 to 2007. NSO.
  12. ^ "Province of Quezon". Municipality Population Data. Local Water Utilities Administration Research Division. Retrieved 17 December 2016.
  13. ^ "Poverty incidence (PI):".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Retrieved 28 December 2020.
  14.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NSCB_LocalPovertyPhilippines_0.pdf; 발행일: 2005년 11월 29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15.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2003%20SAE%20of%20poverty%20%28Full%20Report%29_1.pdf; 발행일: 2009년 3월 23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16.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2006%20and%202009%20City%20and%20Municipal%20Level%20Poverty%20Estimates_0_1.pdf; 발행일: 2012년 8월 3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17.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2012%20Municipal%20and%20City%20Level%20Poverty%20Estima7tes%20Publication%20%281%29.pdf; 발행일: 2016년 5월 31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18.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City%20and%20Municipal-level%20Small%20Area%20Poverty%20Estimates_%202009%2C%202012%20and%202015_0.xlsx; 발행일: 2019년 7월 10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