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gvild Kjerkol

Ingvild Kjerkol
Ingvild Kjerkol
2011년 11월 Kjerkol
보건의료부 장관
가임직
2021년 10월 14일
수상요나스 가어 슈퇴레
앞에벤트 회이
스토팅의 멤버
가임직
2013년 10월 1일
부관메이 브릿 라젠
선거구Nord-Trøndelag
노르드트롱델라크 군의회 의장
재직중
2011년 10월 18일 ~ 2013년 6월 13일
앞에알프 다니엘 모엔
성공자안네 마리트 메바스빅
스토팅 부위원
재직중
2005년 10월 1일 ~ 2013년 9월 30일
선거구Nord-Trøndelag
인적사항
태어난 (1975-05-18) 1975년 5월 18일 (48세)
노르웨이 북트뢴델라그 주, 슈트뢰르달
정당노동
배우자.룬외옌
아이들.3
모교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교
쇠르트롱델라그 대학교
직종.정치인

잉빌트 예르콜(, 1975년 5월 18일 ~ )은 노르웨이의 정치인이다. 2013년 노르웨이 국회의원으로 처음 선출되었으며, 2017년과 2021년에 재선에 성공했습니다. 그녀는 교통 통신 상임 위원회보건 의료 서비스 상임 위원회의 위원을 역임했습니다. 2021년부터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하고 있습니다. 2024년 그녀는 석사 논문의 일부를 표절하고 조작한 혐의로 기소되어 사임 요구가 이어졌습니다.[1][2]

개인생활

1975년 5월 18일 [3]슈테예르달에서 심리학자 올레 마이어 케르콜과 간호사 보딜 요한네 케르콜의 딸로 태어났다.[4] 그녀는 노르웨이 과학 기술 대학교와 쇠르-트뢴델라그 대학에서 심리학과 정보학을 공부했습니다.[4] 그녀는 룬 외얀과 결혼하여 3명의 자녀를 두고 있습니다.[5][6]

정치경력

지방정치

예르콜은 1995년부터 2011년까지 슈테예르달의 시의회 의원이었습니다. 그녀는 2003년부터 2013년까지 노르트 트뢴델라그 카운티 지방 자치제의 일원이었고,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카운티 내각의 의장을 맡았습니다.[4]

2020년 8월, 그녀는 트뢴델라그 노동당 당수로 선출되었고, 아문드 헬레스와 에바 크리스틴 한센이 부당수로 선출되었습니다.[7]

의회.

2005~2009년, 2009~2013년에는 노동당 소속으로 노르트른델라크 선거구의 스토팅 부대표를 지냈습니다. 그녀는 2013년 스토팅의 일반 대표로 선출되어 2013년부터 2015년까지 교통통신 상임위원회, 2015년부터 2017년까지 보건의료서비스 상임위원회 위원을 맡았습니다. 그녀는 또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선거 위원회의 위원이었고, 2017년에는 예비 자격 위원회의 위원이었습니다. 2016년부터 2017년까지 그녀는 유엔 총회의 대표였습니다.[4]

그녀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스토팅에 재선출되었으며, 전체 기간 동안 보건의료서비스 상임위원회 위원, 선거위원회 및 자격위원회 위원을 역임했습니다. 그녀는 2021-2025 시즌에 스토팅에 다시 선출되었습니다.[4]

보건의료부 장관

2021년 10월 14일 슈테레 내각에서 보건의료부 장관으로 임명되었습니다.[8]

2021

콩스버그에서의 공격 이후, 크저콜은 위험할 수도 있는 아픈 사람들을 감당하기에 보건 서비스가 충분하지 않다고 표현했습니다. 그녀는 또한 경찰과 보건 서비스의 협력이 어떤지에 대해 법무부 장관과 이야기를 나눴다고 언급했습니다.[9]

섭식장애 문제에 대해, Kjerkol은 그러한 문제를 가진 사람들을 돕는 계획과 더 나아가 정신 건강이 필요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그녀는 또한 섭식 장애와 관련하여 특별 보건 서비스와 지방 자치 단체의 서비스를 늘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10]

12월 18일, Kjerkol과 Ola Borten Moe 고등교육부 장관은 2022년 가을까지 간호사들을 위한 500개의 새로운 공부 장소를 열겠다는 정부의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Kjerkol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우리는 지방 자치 단체와 병원 모두에 간호사가 상당히 부족합니다. 그리고 전문 간호사가 부족합니다. 여기 우리는 우리가 근무하고 싶은 수천 명의 간호사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 조치는 보수당과 진보당 모두에게 특히 찬사를 받았습니다.[11]

2022

지난 4월, Kjerkol은 남성에 비해 여성의 산부인과 진료에 있어서 보건 서비스에 차별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배제하지 않았습니다. 그녀는 또한 여성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기들과 남성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기들이 다르게 취급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설립된 위원회를 언급했습니다.[12]

지난 5월, 키에르콜은 낙태법에 대한 가장 큰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설정된 낙태 문제 위원회에 대한 의견을 요청했습니다. 문제의 입력은 주로 낙태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경험이 있는 위원회에 누가 앉아야 하는지에 대한 것이었습니다.[13]

정신 질환을 앓고 있는 어린이들이 아동 복지 서비스에서 필요한 보살핌과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Aftenposten의 폭로 이후, Kjerkol은 어린이들을 우선시하고 동등한 치료 권리를 가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또한 지역이 어린이와 청소년을 우선시하고 의료 서비스가 기관을 포함한 어린이에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촉구했습니다.[14]

지난 8월 슈퇴르가 개인 의사를 봤다는 폭로가 나오자 크예르콜은 논평을 거부했습니다. 홍당무는 이에 반대하며, 총리 자신이 민간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 정부가 공공 의료 서비스에 집중하겠다고 공언한 것이 문제라고 말했습니다.[15]

9월에 그녀는 자살에 기운 젊은이들을 돕기 위해 핫라인과 보건 서비스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또한 금기와 낙인에 대한 "구축"과 자살에 치우친 사람들에 대한 개방을 요구했습니다. Kjerkol은 "더 많은 사람들이 감히 어려운 것에 대해 열린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오명과 금기에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남자 역할 위원회는 눈에 띄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자신이 되기 위해 추가적인 부담을 경험하는 퀴어들의 상황에 대해서도 남자 아이들이 어떻게 자라는지 살펴볼 것입니다."[16]

지난 2022년 7월, 우크라이나는 노르웨이에 부상당한 군인들을 데려오라고 요청했습니다. 그 과정은 느리고 관료적인 것으로 묘사되었고, 9월에야 그 요청이 받아들여졌습니다. 하지만 요청서 심사 과정에서 부상병 입영 절차가 일시 중단됐습니다. 10월 11일, Kjerkol은 보건복지부가 우크라이나의 요구를 고려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녀는 또한 미래에 요청을 더 빨리 처리하기 위해 부처의 루틴을 검토할 것이라고 확신했습니다.[17]

Kjerkol은 자신의 당이자 정부 파트너인 중앙당으로부터 노인들과 발달 장애인들을 위한 새로운 요양원을 건설하기 위해 투자 보조금을 삭감하겠다는 정부의 제안에 대한 비판에 직면했습니다. Kjerkol은 건설로 멈추지 않고 정부가 2023년 예산에서 일반의(GP), 병원 및 정신 건강을 우선시했다고 강조했습니다.[18]

12월 1일, Kjerkol은 노르웨이 적십자에 의해 제기된 소년들의 의식적인 할례가 인권을 침해하는지 여부를 더 조사하는 것을 배제했습니다.[19]

2023

2023년 1월, Kjerkol은 환자를 위한 패널이 설립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다른 성별과 연령 인구 통계를 가진 9명의 구성원으로 구성됩니다. 그녀에 따르면, 그 패널은 환자들이 부처의 업무에 참여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20]

NRK는 지난 1월, 얼마나 많은 노인들이 정기적으로 집에서 제대로 된 대우를 받지 못했는지, 나아가 요양원의 요양보호사들이 직원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근무시간을 초과해야 했는지를 밝혔습니다.[21][22] 이에 대응하여, Kjerkol은 사람들이 자신의 노화 과정을[23] 더 잘 돌보고 지방 자치 단체들이 노인 돌봄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요구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이 문제에 대해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은 것으로 대중의 비판에 직면했고, 야당과 리세 펠드스타드와 같은 유명인사들로부터도 직면했습니다.[24][25] 전 당 관리인 스베인 젤하임은 케르콜에게 사임을 요구했고, 그로 발라스 전 오슬로 시 집행위원의 지지를 받았습니다.[26][27]

6월에 그녀는 노르웨이 보건국과 함께 헌혈 규칙이 동성애 커플들도 헌혈을 할 수 있도록 변경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변경 사항은 2024년 1월 1일부터 적용됩니다.[28]

TV2는 지난 8월 2998명이 24시간 요양원은 물론 요양원에서도 단기·장기 체류를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요양원과 24시간 요양원의 거부 건수는 불과 3년 만에 34%나 증가했습니다. 진보당실비 리스트하우그는 지난 10월 질의시간에 이 문제에 대해 키에르콜에게 물었습니다. Kjerkol은 정부가 2024년 주 예산에 할당된 대로 1500개의 새로운 요양 시설을 건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확신합니다.[29]

11월, Kjerkol이 그 전해에 세운 병원과 응급실에 대한 평가는 로포텐에 있는 응급 병원을 폐쇄할 것을 특별히 권고했고, 이는 지역 사회의 분노를 불러일으켰습니다. Kjerkol은 노르웨이 북부의 보건 부문 상황이 심각하다고 언급하고 2024년 4월까지 노르웨이 지역 보건 당국이 그녀에게 보낼 최종 초안에 대한 대중의 의견을 요구했습니다.[30]

2024

지난 1월, 로포텐나르비크 주변의 응급실과 병원을 폐쇄할 가능성에 대한 대중의 분노가 장기화되자, 키에르콜은 해당 지역의 서비스가 인기를 끌 것이며 평가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31]

연구고등교육부 장관 산드라 보르흐의 표절 사건을 계기로 2021년부터 Kjerkol의 석사 논문에서 텍스트의 상당 부분이 이전 논문의 텍스트와 동일하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32]

노르웨이의 코로나19 범유행

2021년 10월 28일, Kjerkol은 코로나19에 대한 국가적인 제한이 시행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당분간 지역적인 제한과 지침이 충분하다고 말했습니다.[33] 그날 오후, 카밀라 스톨텐베르그에스펜 로스트럽 낙스타드와 함께 한 기자회견에서, 키에르콜은 상황이 악화된다면, 정부는 필요한 모든 도구를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또한 정부가 입원과 의료 서비스에 대한 압박을 신중하게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Kjerkol은 또한 계속될 주목할 만한 제한은 수입 감염을 제한하기 위한 여행 제한과 현재의 TISK(검사, 격리, 감염 추적 및 검역) 계획이라고 언급했습니다. 그녀는 지역 보건 당국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우려할 만한 이유가 있다면 제한 조치를 시작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34]

11월 4일, Kjerkol은 코로나19가 지역적으로 발생할 경우 지자체가 신속하게 조치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그녀는 또한 환자들과 긴밀히 협력하는 간호사들에게 세 번째 백신 투여량을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Kjerkol은 전선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결정을 내렸다고 말했습니다. 동부 노르웨이에서 북부 노르웨이로 보건 개인을 일시적으로 이전하는 것과 관련하여, Kjerkol은 이것이 다른 보건 개인 그룹을 포함하도록 확장될 수 있지만, 그것은 지역 상황이나 각 분야에 대한 지식 증가에 보류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35]

11월 10일, Kjerkol은 COVID-19 여권, 검사 증가 및 여행 입국 조치와 같은 조치가 고려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또한 보건 당국이 상황이 진행되는 동안 다른 조치들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36]

11월 29일, Kjerkol과 정부는 SARS-CoV-2 오미크론 변종에 대한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이러한 조치에는 격리 기간을 7일로 연장하고, 가구원 및 밀접 접촉자에 대한 10일 격리가 포함되었습니다. Kjerkol은 또한 이 변종이 더 높은 백신 접종률을 야기했으며 백신 접종이 우선시되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37]

12월 7일, 정부가 새로운 COVID-19 조치를 제시하면서, 키에르콜은 "도입된 조치는 오미크론의 확산을 둔화시킬 것입니다. 오미크론 변종이 입학을 더 늘릴지는 지금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번 조치는 오미크론 변종의 감염성과 심각성에 대해 더 많은 지식을 얻고 더 많은 백신을 접종할 수 있는 시간을 줄 것입니다."[38]

12월 13일, 요나스 가흐르 슈퇴레톤제 브레나와 함께 한 기자회견에서, 크예르콜은 노르웨이 육군이 백신 접종을 필요로 하는 지방자치단체에 백신 접종을 지원해 줄 것을 요청받았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녀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65세 이상의 모든 사람들과 심각한 질병의 위험이 높은 사람들은 정해진 예방 접종 간격 내에 가능한 한 빨리 더 신선한 용량으로 예방 접종을 받는 것이 특히 중요합니다. 또한 이전에 백신을 완전히 접종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최대한 많이 도달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오늘 2회 투여량과 리프레셔 투여량 사이의 간격이 리프레셔 투여량을 권장하는 모든 사람에게 4.5개월로 변경되었습니다." 그녀는 또한 지자체와 병원이 더 높은 비율로 자체 인력에게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39]

12월 21일 기자 회견에서 Kjerkol은 크리스마스 이후 언젠가 COVID-19 인증서를 다시 도입할 수 있지만 더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그녀는 또한 이에 대한 법안이 1월에 협의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40]

2022년 1월 초, 진보당의 보건 정책 대변인인 Brdrd Hoksrud는 지방 자치 단체가 수의사, 약국 및 기타 민간 사업자가 백신 접종을 도울 수 있도록 허용하지 않는다고 정부를 비판했습니다. Kjerkol은 정부가 노르웨이 육군의 보건 병력 외에 약국의 백신 접종을 허용했다고 답변했습니다. 하지만 그녀는 수의사들이 사람에게 백신을 넣을 수 있는 자격증이 없다는 것을 지적했습니다.[41]

1월 13일, 정부는 기존 조치들에 대해 몇 가지 조정을 하는 동시에 몇 가지를 해제했습니다. Kjerkol은 지금 추적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만약 한 명이 양성 반응을 보인다면 가까운 접촉자들은 서로에게 알려야 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녀는 또한 그들이 의료 서비스를 보호하고 전염병을 통제할 것이라고 맹세했습니다. 지방 자치 단체가 학교의 조치 수준을 결정하도록 허용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묻는 질문에 키에르콜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우리는 국가적으로 규제된 서빙 시간을 통해 성인 간의 제한된 이동과 접촉을 만들고 싶습니다. 이는 감염 관리를 기반으로 하며, 전체적으로 이동성과 접촉성이 떨어지는 일련의 조치 중 일부입니다."[42]

11월 18일, Kjerkol은 18세에서 64세 사이의 사람들에게 더 신선한 백신을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43]

2023년 11월 보건복지부는 코로나19를 감염병 사망자로 국민에게 제거하는 동의안을 통과시켰습니다. Kjerkol 자신은 그 결정을 칭찬하고 정부의 전략과 준비 계획에 따라 그것이 정상화를 위한 단계라고 환영했습니다.[44]

표절사안

2024년 그녀는 석사 논문의 일부를 표절하고 조작한 혐의로 기소되어 사임 요구가 이어졌습니다.[1][2]

참고문헌

  1. ^ a b "- Da er det data-fabrikkering". Dagbladet (in Norwegian). 21 January 2024. Retrieved 21 January 2024.
  2. ^ a b "Jusprofessor om Kjerkols masteroppgave: - Alt tyder på at det ikke bare er plagiering, men forskningsjuks". Adresseavisen (in Norwegian). Retrieved 21 January 2024.
  3. ^ Tvedt, Knut Are. "Ingvild Kjerkol". In Bolstad, Erik (ed.). Store norske leksikon (in Norwegian). Oslo: Norsk nettleksikon. Retrieved 6 October 2021.
  4. ^ a b c d e "Kjerkol, Ingvild ( 1975- )" (in Norwegian). Stortinget.no. 9 March 2008. Retrieved 2 November 2013.
  5. ^ "Ingvild går for nye år på Stortinget. Slik kobler hun av fra det hektiske livet" (in Norwegian). Bladet. 20 July 2020. Retrieved 7 December 2021.
  6. ^ "Dette er Ingvild Kjerkols fem viktigste prioriteringer" (in Norwegian). Dagens Medisin. 21 October 2021. Retrieved 9 June 2022.
  7. ^ "Ingvild Kjerkol valgt til ny leder i Trøndelag Ap" (in Norwegian). NRK. 29 August 2020. Retrieved 18 May 2023.
  8. ^ "Norge har fått ny regjering" (in Norwegian). NRK. 14 October 2021. Retrieved 14 October 2021.
  9. ^ "Kjerkol: Helsetjenesten ikke god nok til å fange opp syke som kan være farlige" (in Norwegian). ABC Nyheter. 15 October 2021. Retrieved 15 October 2021.
  10. ^ "Helseministeren reagerer etter Dagbladet-avsløringer: Vil styrke tilbudet" (in Norwegian). Dagbladet. 26 October 2021. Retrieved 27 October 2021.
  11. ^ "Etablerer fem hundre nye studieplasser for sykepleiere, mener behovet er svært stort" (in Norwegian). NRK. 18 December 2021. Retrieved 19 December 2021.
  12. ^ "Gynekologmangel: Mari hadde blødninger – ventetiden var på 4,5 måneder" (in Norwegian). NRK Vestfold og Telemark. 2 April 2022. Retrieved 2 April 2022.
  13. ^ "Kjerkol ber om innspill til abortutvalg" (in Norwegian). TV2. 16 May 2022. Retrieved 18 May 2022.
  14. ^ "Barneministeren krever gransking: Innrømmer at barnevernet gjør barna sykere" (in Norwegian). Aftenposten. 7 June 2022. Retrieved 9 June 2022.
  15. ^ "Helt taus" (in Norwegian). Dagbladet. 22 August 2022. Retrieved 23 August 2022.
  16. ^ "Helseministeren om Thomas (18) som tok sitt eget liv: − Det gjør sterkt inntrykk" (in Norwegian). Verdens Gang. 5 September 2022. Retrieved 5 September 2022.
  17. ^ "Regjeringen bekrefter: Stoppet henting av ukrainske soldater" (in Norwegian). Verdens Gang. 11 October 2022. Retrieved 11 October 2022.
  18. ^ "Refses for kutt mot utviklingshemmede: − Forstår frustrasjonen" (in Norwegian). Verdens Gang. 4 November 2022. Retrieved 4 November 2022.
  19. ^ "Helseministeren sier nei til å utrede omskjæring" (in Norwegian). ABC Nyheter. 1 December 2022. Retrieved 1 December 2022.
  20. ^ "Tar grep: Oppretter pasientpanel" (in Norwegian). Dagbladet. 16 January 2023. Retrieved 16 January 2023.
  21. ^ "Hjemme best?" (in Norwegian). NRK. 18 January 2023. Retrieved 26 January 2023.
  22. ^ "Ansatte på norske sykehjem varsler om uverdige forhold" (in Norwegian). NRK Dokumentar. 26 January 2023. Retrieved 26 January 2023.
  23. ^ "Helseministeren sier vi må ta større ansvar for egen alderdom" (in Norwegian). NRK. 24 January 2023. Retrieved 26 January 2023.
  24. ^ "Helseministeren sier kommunene må ta grep i eldreomsorgen" (in Norwegian). NRK. 26 January 2023. Retrieved 26 January 2023.
  25. ^ "Hamret løs etter nye NRK-avsløringer: – Kjerkol mangler innlevelse og fantasi" (in Norwegian). Nettavisen. 25 January 2023. Retrieved 26 January 2023.
  26. ^ "− Tiden er inne for å skifte helseminister" (in Norwegian). Dagsavisen. 26 January 2023. Retrieved 26 January 2023.
  27. ^ "Gryende eldreopprør blant tidligere Ap-topper: - Helseminister Ingvild Kjerkol må gå av" (in Norwegian). Vårt Land. 26 January 2023. Retrieved 26 January 2023.
  28. ^ "Homofile skal få gi blod som alle andre" (in Norwegian). NRK. 20 June 2023. Retrieved 21 June 2023.
  29. ^ "Stilte Kjerkol til veggs etter TV 2-avsløringer" (in Norwegian). TV2. 11 October 2023. Retrieved 13 October 2023.
  30. ^ "Kjerkol: -Helse Nord står i en alvorlig situasjon" (in Norwegian). ABC Nyheter. 16 November 2023. Retrieved 16 November 2023.
  31. ^ "Kjerkol freder akuttkirurgien og fødetilbudet i Lofoten og Narvik" (in Norwegian). NRK Nordland. 16 January 2024. Retrieved 16 January 2024.
  32. ^ "Flere tekstlikheter funnet i helseminister Kjerkol masteroppgave" (in Norwegian). NRK. 20 January 2024. Retrieved 21 January 2024.
  33. ^ "Helseministeren: − Ikke aktuelt med nasjonale tiltak nå" (in Norwegian). Verdens Gang. 28 October 2021. Retrieved 28 October 2021.
  34. ^ "Helseministeren: − Kommer til å ta i bruk verktøyene som trengs" (in Norwegian). Verdens Gang. 28 October 2021. Retrieved 28 October 2021.
  35. ^ "Disse får tredje coronavaksinedose" (in Norwegian). Dagbladet. 4 November 2021. Retrieved 4 November 2021.
  36. ^ "Kjerkol til Dagbladet: Vurderer coronapass i Norge" (in Norwegian). Dagbladet. 10 November 2021. Retrieved 10 November 2021.
  37. ^ "Regjeringen innfører nye koronatiltak" (in Norwegian). NRK. 29 November 2021. Retrieved 29 November 2021.
  38. ^ "Regjeringen gjeninnfører meteren" (in Norwegian). NRK. 7 December 2021. Retrieved 7 December 2021.
  39. ^ "Strengere nasjonale tiltak for å begrense smitten" (in Norwegian). government.no. 13 December 2021. Retrieved 13 December 2021.
  40. ^ "Åpner for å innføre koronasertifikat nasjonalt etter jul – lovforslag sendes til høring i januar" (in Norwegian). Nettavisen. 21 December 2021. Retrieved 22 December 2021.
  41. ^ "Hoksrud hamrer løs på regjeringen: − Må ta sin del av skylden" (in Norwegian). Verdens Gang. 3 January 2022. Retrieved 4 January 2022.
  42. ^ "Dette er de nye reglene" (in Norwegian). Dagbladet. 13 January 2022. Retrieved 13 January 2022.
  43. ^ "Alle mellom 18 og 64 år får tilbod om oppfriskingsdose" (in Norwegian). NRK. 18 November 2022. Retrieved 18 November 2022.
  44. ^ "Covid-19 fjernet fra liste: - En merkedag" (in Norwegian). Dagbladet. 20 November 2023. Retrieved 20 November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