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컨테이너 터미널 서비스

International Container Terminal Services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 서비스, Inc.
유형공기업(PSE:ICT)
산업포트 오퍼레이터
설립됨1987년 12월 24일
창시자엔리케 라존
본부필리핀 마닐라 항구
위치수
19개국 32개 터미널
주요인
엔리케 K. 라존 주니어(회장 및 사장)
크리스티안 R. 곤잘레스(부사장)
서비스컨테이너 포트 설정
포트 관리
카고 핸들링
철도 운임
수익13억 8천 6백만 달러(미화)Increase 11.4%)(YoY)(2018년)
24억 9천만 달러(미화)Increase 20.3% (YoY) (2018년)
직원수
7000+(2018년 기준)

국제컨테이너 터미널 서비스 주식회사(ICTSI)(PSE:ICT)는 필리핀 마닐라에 본사를 둔 글로벌 항만 관리 회사다. 1987년 12월 24일 설립된 ICTSI는 필리핀 최대의 다국적 및 초국가 기업으로 아시아 태평양, 미주 및 유럽, 중동, 아프리카 등 선진 및 신흥 시장경제국에서 모두 영업을 전개하고 있다. 동사는 TEU 지분율에서 8번째로 큰 컨테이너 터미널 사업자로 선정되었다.[1]

역사

ICTSI는 필리핀에서 3대째 항만을 경영해 온 스페인계 필리핀인 사업가 엔리케 K. 라존 주니어가 마닐라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MICT) 민영화를 위한 입찰과 관련해 설립했다. 포브스는 2020년 라존을 필리핀 부자 3위, 개인 재산 51억 달러로 세계 565위 개인으로 선정했다.[2]

1988년 5월, 필리핀 항만청은 ICTSI에 MICT 계약을 수여하였고, 1988년 6월 12일 MICT의 운영을 시작하였다.[3] 1992년 3월 ICTSI의 주식 공모에 이어 마닐라·마카티 증권거래소(현 필리핀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1992년 9월, ICTSI는 홍콩 잡지 아시아 머니 파이낸스가 실시한 국제 설문 조사 결과, 필리핀에서 가장 잘 관리되고 있는 기업 중 하나로 산미구엘, PLDT와 나란히 순위에 올랐다.[4]

ICTSI는 글로벌 컨테이너 운송업계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통 사용자 컨테이너 터미널의 국제 사업자다. 연간 총 처리량이 5만~300만 teu(TEU)에 이르는 설비를 중심으로 한 컨테이너 터미널의 인수·개발·운영·관리 사업이다. 또한 부서진 벌크 화물을 처리하고 보관, 컨테이너 포장 및 포장 풀기, 검사, 계량, 냉장 용기 또는 암초 서비스 등의 다양한 보조 서비스를 제공한다.[5]

ICTSI는 해운회선 활동에 기득권이 없는 독립적 항만 사업자다. 그러므로, 그것은 모든 운송회선 고객들에게 동등한 서비스 표준을 제공할 수 있는 중립적인 운영자로 간주된다. ICTSI 관리는 정치 및 경제 환경의 개발과 발전 모두에서 고효율적이고 운영적으로 효과적인 컨테이너 터미널과 항만의 개발과 관리로 전 세계에 알려져 있다.[6]

아시아 태평양

마닐라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 필리핀 마닐라

1988년, ICTSI의 주력 사업인 마닐라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MICT)의 관리, 운영, 개발을 위한 25년 이상의 국제 입찰에서 ICTSI가 낙찰되었다. ICTSI의 책무는 항만 관리, 운영 및 관리, 항만 계획 및 모든 장비의 프로그래밍 공급을 포함한 항만 개발 및 건설, 투자 리스크 등이다.

MICT는 필리핀 항구 시스템의 핵심인 마닐라 항에 있는 3개 터미널 중 하나이다. MICT는 북하르보르와 남하르보르 사이에 위치하며, 도시의 주요 수로인 파시그 강 하구의 마닐라 만으로 서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용 컨테이너 터미널인 MICT는 주로 국제 컨테이너 화물을 취급한다. ICTSI는 또한 MICT 유역 고정장치에서 벌크 화물을 취급한다.

MICT는 오늘날 필리핀에서 가장 큰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로, 마닐라 항에서 약 65%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citation needed]

마닐라 노스포트, 필리핀 마닐라

ICTSI는 2017년 9월 페트론사와 MNHPI(Manila North Harbour Port, Inc.)의 발행·우수주식 총수의 34.83%를 인수하는 주식매수계약(SPA)을 체결했다.[7] 2019년에는 HCPTI(Harban Center Port Terminal Inc.)로부터 MNHPI의 15.17%를 추가로 인수하여 ICTSI의 지분을 50%로 [8]증가시켰다. MNHPI는 필리핀 국내 최초의 항구인 마닐라 북항의 개발, 관리, 운영 및 유지보수를 위해 필리핀 항만청(PPA)과 25년 양허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수빅베이 국제선 터미널, 올롱가포, 수빅베이 프리포트

2007년 서브익 항만 개발 프로젝트에 따라 서브익 베이 메트로폴리탄 Authority(SBMA)는 ICTSI 자회사인 서브익 베이 국제 터미널(Subic Bay International Terminal Corp., SBITC)에게 2008년부터 상업적 운영을 개시하며, NCT(New Container Terminal) 1에 대한 양허가를 수여했다. 2011년 Subic Port Project의 2단계에 따라 SBMA는 ICTSI Subic, Inc.에게 NCT 2의 운영권을 부여했다. Subic Bay Freeport에서 볼륨이 증가함에 따라 ICTSI는 NCT 1과 2의 운영을 효율화하고 연계할 수 있었다. 합병된 사업들은 메트로 마닐라의 박스 시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지속적인 지원과 함께 중앙과 북부 루손 지역의 지역 경제 개선에 기여할 준비가 되어 있다.[citation needed]

라구나 게이트웨이 내륙 컨테이너 터미널, 필리핀 칼람바

ICTSI는 2015년 3월 라구나시 칼람바시에 위치한 원스톱 내륙컨테이너터미널인 라구나 게이트웨이 내륙컨테이너터미널을 조성했다. LGICT는 회사의 전유 자회사인 IW 카고 핸들러사가 60%를 소유하고 있으며, 일본 컨테이너 터미널이 40%를 소유하고 있다. 초국가적 다양화 주식회사와 뉴욕 필-재팬 해운 주식회사. 국내 최초의 건조항인 LGICT는 주로 마닐라 국제컨테이너터미널(MICT) 항만운영의 연장선상으로 운영되며, 라구나, 바탕가스, 퀘존 경제권역의 수출입업자의 영업을 지원하는 지역 물류거점으로서의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9]

Cavite 게이트웨이 터미널, 필리핀 탄자

ICTSI는 2018년 필리핀 교통부와 손잡고 카바이트주 탄자에 국내 최초이자 유일한 컨테이너 바지선 터미널인 카바이트 관문터미널을 출범시켰다.[10] CGT는 마닐라 항과 카바이트 항 사이의 컨테이너와 카바이트 지역의 서비스 산업 로케이터의 도로 밖 해상 운송을 촉진할 것이다.

바우안 국제 항구 필리핀 바탕가스

ICTSI는 바탄가스의 바탄가스 만 보호 해역을 따라 위치한 20헥타르 다목적 다목적 다사용자 20헥타르 터미널을 개발하기 위해 완전 소유 자회사 바우안 인터내셔널 포트사를 설립했다. 바우안 국제 항구는 주로 로로, 프로젝트, 컨테이너 화물을 처리한다. 브레이크 벌크 등 일반 화물도 터미널에서 처리한다.[citation needed]

민다나오 컨테이너 터미널, 필리핀 타골로안

2008년 4월 피비덱 산업청은 미사미 오리엔탈 주 타골로안 피비덱 산업단지에 위치한 민다나오 컨테이너 터미널(MCT)의 운영 및 관리에 대한 ICTSI의 양허를 수여했다. MCT는 인프라, 장비 및 지원 시설을 위한 24헥타르 터미널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컨테이너화물과 비 컨테이너화물을 취급한다.[citation needed]

사사 워프, 필리핀 다바오 시

2006년 4월 ICTSI는 아보이티즈운송시스템(Aboitiz Transport System Corporation)으로부터 다바오 통합항만 및 스테베도링 서비스(DIPSSCOR)의 과반수 지분을 인수하였다. DIPSSCOR는 필리핀 다바오 시에 있는 사사 국제 항구의 화물 취급자로 컨테이너화, 부피화, 팔레트화 및 비 팔레트화, 무거운 리프트 및 롤링 화물을 취급한다.[citation needed]

Hijo International Port, 필리핀 타금시

ICTSI는 2012년 11월, 다바오 델 노르트 타금시에 있는 하이조 국제 항구를 개발·관리하기 위해 하이조 자원공사와 합작법인을 체결했다. 하이조 항은 현재 브레이크 벌크 화물을 취급하는 민간 상업항이다.[citation needed]

마카르 와프, 필리핀 산토스 제너럴 시티

1999년 8월, ICTSI는 필리핀 제너럴 산토스 시티의 마카르 부두에서 조타 및 화물 운송 서비스 업체인 South Cotabato Integrated Port Services, Inc.의 주식을 취득했다. 2008년 7월 ICTSI는 지분을 추가로 매입하여 현재 SCIPSI의 51%를 소유하고 있다. 마카르 부두(Makar Warf)는 국내 여객 수송뿐만 아니라 국내외 컨테이너 화물, 일반 화물, 로로 화물 등을 취급하는 범용 터미널이다.[citation needed]

마카사르 컨테이너 터미널,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남부

ICTSI는 2006년 5월 마카사르 항을 운영하는 인도네시아 정부기관인 PT 펠라부한 인도네시아 4세(펠린도 4세)에 장비를 공급·운영하는 마카사르 터미널 서비스(MTS)의 지분 95%를 매입했다. 전용 컨테이너 터미널인 마카사르 컨테이너 터미널이 인도네시아 동부의 화물 이동에 맞춘 국제 무역 관문으로 개발되고 있다.[citation needed]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탄중 프룩 바스 300-303

2012년 7월 ICTSI는 간접 다수소유 자회사 JASA를 통해 OJA 지분 100%를 취득했다. OJA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탄중프리옥항에서 일반 상품과 컨테이너의 하역 작업을 하는 인도네시아 유한 책임 회사다.[citation needed]

옌타이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 중국 산둥성

2014년 7월 ICTSI와 옌타이항, DP월드 PLC사이의 중외 합작 벤처 항만 기업 옌타이 국제컨테이너 터미널(옛 DP월드 옌타이 Ltd.)[11]의 운영 및 관리를 ICTSI가 인수했다. YICT는 산둥 성을 연결하는 우수한 도로와 철도망을 갖추고 중화인민공화국 옌타이 항에서 외국 화물을 취급하는 선석을 운영하고 있다.

빅토리아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2014년 5월, ICTSI는 멜버른 항 Webb Dock East에서 터미널 및 빈 컨테이너 공원(ECP)의 설계, 시공 및 운영에 관한 26년 계약을 체결했다. 완전 자동화된 컨테이너 터미널인 빅트는 새롭고, 안전하고, 효율적인 컨테이너 처리능력의 필요성에 부응하고, 현재 이스트 코스트 오스트레일리아 컨테이너 해운 무역로에 배치되고 있는 대형 선박을 수용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고안되었다.[12]

남태평양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 라에, 파푸아 뉴기니

ICTSI는 2017년 9월 파푸아뉴기니에서 라에 항만을 위한 국영 PNG포트 코퍼레이션과 25년 터미널 운영 협약을 체결했다. SPICT의 계약은 남태평양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의 항만 운영과 시설을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다.[13][14]

모투케아 국제선 터미널, 포트모르즈비, 파푸아뉴기니

2017년 9월 ICTSI는 PNG 국유 PNG 항만공사와 25년 터미널 운영 협약을 체결했다. 모투케아 항에 대한 제한(PNGPCL). MITL의 계약은 모투케아 국제선 터미널의 항만 운영과 시설을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다.[13][14]

아메리카 대륙

콘테콘 만자니요 멕시코 콜리마

2010년 6월, ICTSI는 멕시코 만자니요 항에서 제2차 전문 컨테이너 터미널(TEC-III)의 개발과 운영을 위한 34년 양허를 체결했다.[citation needed]

턱스판 해상 터미널, 베라크루즈, 멕시코

In May 2015, ICTSI purchased Terminal Maritima de Tuxpan S.A. de C.V., holding the extendable 20-year concession for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s of what is projected as a 38-hectare maritime container terminal in the Port of Tuxpan from Grupo TMM, S.A.B. and Inmobilaria TMM, S.A. de C.V. 턱스판 항은 완전 가동되면 만자니요에 있는 기존 사업을 보완해 두 터미널의 운영을 통합하고 태평양과 멕시코 만을 통해 수출입 서비스를 확대한다.[citation needed]

푸에르토 코르테스, 코르테스, 온두라스

2013년 2월 ICTSI는 완전소유 자회사 Operadora Portuaria Centroamericana(OPC)를 통해 온두라스 공화국의 전문 컨테이너 및 화물 터미널의 설계, 자금 조달, 건설, 유지보수, 운영 및 탐사에 대한 국제 입찰에서 낙찰되었다. 중앙아메리카의 중요한 항구인 OPC는 과테말라,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 등으로 구성된 CA-4 지역에서 유일한 항구로, 온두라스 항구에서 적재된 컨테이너가 이미 사전 검사된 미국 항구에 도착하도록 허용하고 있다.[citation needed]

콘테콘 과야킬, 에콰도르 과야스

2007년 3월, ICTSI는 에콰도르 과야퀼(Autoridad Portuario de Guayaquil)의 컨테이너 및 다목적 터미널에 대한 20년 운영허가를 받았다. 이후 2019년에는 ICTSI의 계약이 2046년 12월 31일까지 약 19년 6개월 연장되었다.[15] 수출지역과 근접해 있는 CGSA는 컨테이너형, 일반형, 벌크형 화물을 취급하는 세계 최대 바나나 수출항 내 최대 다목적 터미널이다.

콜롬비아 부에나벤투라 푸에르토 아구아둘체

2007년 7월, ICTSI는 콜롬비아 부에나벤투라 항에서 새로운 다중 사용자 컨테이너 터미널의 건설과 개발을 시작하는 협약을 체결했다. 2013년 9월, ICTSI는 PSA International Pte Ltd.와 컨테이너 터미널 및 부속 설비를 공동 개발·운영하기로 협약을 체결했다.[16] 푸에르토 아구아둘체는 운영에서 높은 생산성과 안전성을 달성한 마지막 세대 컨테이너 터미널이다.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테크플라타

2008년 10월 테크플라타 S.A.는 2038년 만료되는 콘소르시오 푸에르토 플라타 항으로부터 아르헨티나 라플라타 항에 다목적 항만 터미널을 건설·운영할 수 있는 30년의 양허를 받았다. 4억5000만 달러를 투자해 건설된 테크플라타는 초기 용량 45만 TEU(teu)로 2단계에서 90만 TEU까지 확장할 수 있는 아르헨티나의 가장 현대적인 컨테이너 터미널이다.[citation needed]

브라질 페르남부코 테콘 수아페

2001년 4월, ICTSI는 브라질 페르남부코에 있는 수아페 컨테이너 터미널의 개발·건설·관리 입찰에서 30년의 양보를 얻어 낙찰되었다. ICTSI는 전적으로 소유하는 하위 다이어리 TSSA B.V를 운영한다. 페르남부코에서 가장 크고 현대적인 컨테이너 처리 시설인 이 터미널은 주요 도로망에 직접 접속하여 브라질 북부와 북동부의 농업 및 산업 부문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citation needed]

ICTSI Rio Brasil 1,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In 2019, ICTSI, through its wholly owned subsidiary ICTSI Americas B.V, signed a Share Purchase Agreement with Boreal Empreendimentos e Participações S.A. (Boreal) to fully acquire the shares of Libra Terminal Rio S.A. (Libra Rio), which holds the concession rights to operate, manage and develop the container terminal Terminal de Contêineres 1 in 브라질 연방 공화국 리우데자네이루 시의 [17]항구 ICTSI의 인수에 따라 리브라 터미널 리오가 ICTSI 리오 브라질 1로 브랜드가 변경되었다.

유럽, 중동, 아프리카

파키스탄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 파키스탄 카라치

2012년 10월, ICTSI는 카라치 항에 공통 사용자 컨테이너 터미널의 건설, 개발, 운영 및 관리에 대해 21년간 양보를 실시하고 있는 파키스탄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PICT)의 과반수 지분 인수를 완료하여 2002년을 개시했다.[citation needed]

아드리아 게이트 컨테이너 터미널, 크로아티아 리제카

2011년 3월 ICTSI는 완전소유 자회사 ICBV를 통해 크로아티아 기업인 루카 리제카 D.D.와 지분 51%를 인수하기 위해 크로아티아의 주 항구인 리제카에서 2041년까지 30년의 양허기간을 두고 주식매수계약을 체결하였다. 이 터미널은 중앙 유럽 중간의 목적지와 직접 도로와 철도를 연결하며,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고 있다.[citation needed]

발트 컨테이너 터미널, 폴란드 그디니아

2003년 5월, ICTSI는 폴란드 그디니아주 포메라니아에 있는 컨테이너 터미널을 개발, 운영, 관리하기 위해 그디니아 항만청으로부터 20년 양허를 받았다. ICTSI는 이 단말기에 대한 리스를 보유하고 있던 발티키 터미널 콘테노위 SP. z. o. (BCT)를 매입했다. 폴란드의 세계로의 창구인 BCT는 범유럽의 교통 회랑과 철도 노선 내에 전략적으로 위치하며, 내륙 유럽에 대한 트럭과 도크 레일 연결성이 뛰어나다.[citation needed]

바투미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 조지아 아자라

2007년 9월, ICTSI는 완전소유 자회사 BICTL을 통해, BPHL(Batumi Port Holdings Ltd.)로부터 48년간 양보를 얻어, 조지아주 바투미 항에 있는 페리 브리지와 건화물 터미널(Berth 6th)을 포함한 인접 설비를 운영·개발하였다. 중앙 지리적 위치와 천연 심해항은 BICT를 코카서스와 중앙아시아로 가는 컨테이너와 일반 화물의 관문으로 만든다.[citation needed]

바스라 게이트웨이 터미널, 이라크 움 카스르

ICTSI는 2014년 이라크 내 항만총괄회사와 계약을 맺고 이라크 북항 움카스르(Umm Qasr)의 터미널 시설을 관리·운영·재활하고, 새로운 인프라 개발을 통해 컨테이너 처리 능력을 개발·확대했다. 이라크의 가장 큰 항구이자 일차적인 [citation needed]관문

카메룬 크리비 다목적 터미널

ICTSI는 2020년 카메룬 대양 크리비 항에서 다목적 터미널의 개발·운영 및 유지보수를 위한 PAK(Port Autoonome de Krivi)와 양허계약을 체결했다. 그 양보는 25년 동안 계속될 것이다.

마다가스카르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 마다가스카르 토아마시나

2005년 6월, ICTSI는 마다가스카르 토아마시나 항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관리, 자금 조달, 회생 및 개발을 민관 협력 하에 소시에테 드 게스티온 뒤 포트 오토노메 드 토아마시나와 20년 양보를 체결했다. ICTSI 자회사 마다가스카르 국제컨테이너터미널서비스(MICTSL)가 핵심 장비에 대한 추가 투자 등 야드 면적 재편 및 고도화를 달성했다. 마다가스카르의 주요 국제 무역 관문인 MICTSL은 아프리카와 세계 시장을 연결하는 인도양 남서부의 핵심 항구다.[citation needed]

마타디 관문 터미널, 콩고 민주 공화국 킨샤사

ICTSI는 2014년 1월 콩고민주공화국 음벤구 마타디에서 콩고강 강둑에 컨테이너 및 일반 화물터미널 개발을 위한 라 소시에테 드 게스티온 리무빌리에르 렝고(SIMOBILE)와 공동 벤처협약을 체결했다. ICTSI와 SIMOBile은 합작 벤처기업인 마타디 게이트웨이 터미널을 설립해 시설을 운영·관리했다. 시모빌레는 콩고민주공화국 마타디 타운시 음벤구 구에 있는 콩고 강변의 한 택지의 양여업자로, 항구를 목적으로 한다. 대서양에서 약 150km 상류에 있는 킨샤사의 자연 관문으로서, 전략 MGT는 현대적인 인프라와 장비를 갖춘 DR 콩고에서 유일한 터미널이다.[citation needed]

참조

  1. ^ "Top 10 box port operators 2019". Lloyd's List.
  2. ^ "Enrique Razon, Jr". Forbes. Retrieved January 3, 2020.
  3. ^ Peters, Hans. "Private Sector Involvement in East and Southeast Asian Ports: An Overview of Contractual Arrangements" (PDF). World Bank.
  4. ^ "ICTSI one of 'best managed' in RP". Manila Standard. Kamahalan Publishing Corp. September 10, 1992. p. 13. Retrieved October 17, 2021.
  5. ^ "2018 SEC FORM 17-A" (PDF). International Container Terminal Services, Inc. Retrieved January 3, 2019.
  6. ^ "ICTSI Factbook" (PDF). International Container Terminal Services, Inc. Retrieved January 3, 2020.
  7. ^ Paz, Chrisee Dela. "ICTSI buys Petron's stake in Manila North Harbor". Rappler. Retrieved January 3, 2020.
  8. ^ News, ABS-CBN. "ICTSI raises stake in Manila North Harbor Philippines". ABS-CBN News. Retrieved January 3, 2020.
  9. ^ "ICTSI Laguna dry port also gears up for brisk business Hellenic Shipping News Worldwide". www.hellenicshippingnews.com. Retrieved January 3, 2020.
  10. ^ "ICTSI inaugurates first container barge terminal in Cavite". Manila Standard. Retrieved January 3, 2020.
  11. ^ Camus, Miguel R. "ICTSI to buy 51% stake in DP World Yantai of China". business.inquirer.net. Retrieved January 3, 2020.
  12. ^ "ICTSI Reveals All About Australia's Automated Terminal". Port Technology International. August 3, 2017. Retrieved January 3, 2020.
  13. ^ a b "Philippine port operator ICTSI sails into Papua New Guinea". Nikkei Asian Review. Retrieved January 3, 2020.
  14. ^ a b Paz, Chrisee Dela. "ICTSI makes move into Papua New Guinea". Rappler. Retrieved January 3, 2020.
  15. ^ "ICTSI concession for Ecuador port extended by 20 yrs". philstar.com. Retrieved January 3, 2020.
  16. ^ "ICTSI & PSA Open New Terminal in Buenaventura, Colombia World Maritime News". worldmaritimenews.com. Retrieved January 3, 2020.
  17. ^ Dumlao-Abadilla, Doris. "ICTSI takes over port concession in Brazil". business.inquirer.net. Retrieved January 3,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