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아치

Inverted arch

역아치 또는 역아치(역아치)는 일반적인 아치교량에 비해 역아치 형태의 토목구조물이다.

비행 아치처럼 역 아치는 교량처럼 하중을 지탱하는 데 사용되지 않고, 오히려 옆으로, 안쪽으로 하중을 견디는 데 사용된다. 기존의 아치는 아치의 중앙에서 수직 하중을 아래쪽으로 지지하며, 이를 아치의 밑부분에서 아래쪽으로 그리고 바깥쪽으로 모두 힘으로써 해석한다.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횡력은 성가신 일이며, 튼튼한 기초나 더 나아가 '궁합' 거더에 의해 저항되어야 하며, 이는 묶인 아치형 교량의 형태로 되어 있다.

반전 아치는 측면의 힘을 억제해야 하고, 구조 아래 공간을 가장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곳에 사용된다. 그것들은 종종 철로 절단 작업에 적용되었지만, 아마도 가장 뚜렷하게 부두의 기지로 사용되며, 특히 벽의 부설물에 저항할 수 있는 물이 비었을 때에도 지지되어야 하는 건조 부두자물쇠가 사용된다. 일부 운하 터널뉴볼드-온-아본 터널과 같이 구간에 타원형으로 건설되었고, 하부는 힘을 얻기 위해 역경을 형성한다.[1]

반전 아치를 추가로 사용하는 것은 교량이나 고가도로와 같은 다른 아치에서 오는 길이로의 힘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종종 지반 하중을 줄이기 위해 열악한 지반에서 수행되며, 따라서 광범위한 기초가 필요하다. 가장 간단한 경우, 아치는 단순히 viador closs의 하중을 더 넓은 지면, 정확히 역아치교로 분산시킨다. 그러한 아치는 로버트 스티븐슨의 조언에 따라 하네스비아덕트 아래에서 사용되었다. 기존 교량에도 역아치가 추가돼 제방이 안으로 미끄러지기 시작한 뒤 보강했다. 이러한 수리는 1970년대에 철교에 적용되었다.

역아치는 옹벽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아치는 벽의 기초를 제공하며 벽에 가해지는 측면의 힘에 저항할 수 있다. 또한 옹벽은 아치가 필요로 하는 수직 하중을 제공한다.

참고 항목

참조

  1. ^ Burton, Anthony; Platt, Derek (2001). The Anatomy of Canals. Vol. 1: The Early Years. History Press. p. 65. ISBN 0752421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