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작 볼레슬라프스키

Isaac Boleslavsky
아이작 볼레슬라프스키
IsaacBoleslavsky 1960.jpg
풀네임아이작 예프레모비치 볼레슬라프스키
나라소비에트 연방
태어난(1919-06-09)1919년 6월 9일
졸로토노샤, 우크라이나 SSR, USSR
죽은1977년 2월 15일 (1977-02-15) (57세)
민스크, 벨라루스 SSR, USSR
제목그랜드마스터(1950년)
피크 등급2560년(1971년 7월)

Isaac Yefremovich Boleslavsky (Ukrainian: Ісаак Єфремович Болеславський, Russian: Исаак Ефремович Болеславский; June 9, 1919 – February 15, 1977) was a Soviet Ukrainian chess player and writer.

초기 경력

졸로토노샤에서 유대인 부모에게서 태어난 볼레슬라프스키는 9살에 스스로 체스를 배웠다.[1] 1933년에 그는 드니프로페트로프스크의 소년 챔피언이 되었다. 3년 후, 그는 레닌그라드에서 열린 1936년 USSR 올 유니언 주니어 챔피언십에서 3등을 했다.

1938년, 19살에 볼레슬라프스키는 우크라이나 챔피언십에서 우승했고, 이듬해에는 우크라이나 SSR 챔피언십에서 우승했고, 20살에 USSR 체스 챔피언십에서 뛸 자격을 얻었으며, 국가 체스 마스터 타이틀을 획득했다. 그는 스베르들롭스크 대학에서 언어학 학위를 취득했다.

1940년 볼레슬라프스키는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12회 USSR 챔피언십 결승전에 출전했다. 마지막 10경기 중 8승을 거두며 미하일 보트비닉과 공동 5-6위까지 올랐지만 개인적인 만남에서 패했다. 그 후 그는 복수를 시도했다. 나중에 27세의 야심찬 거장으로서 볼레슬라프스키는 자신이 부화한 계획을 떠올렸다.

나는 나 자신에 대한 체계적인 노력으로 이길 수 있다고 결심했다. "악마는 그림처럼 그렇게 끔찍하지 않다." 1941년의 한 경기 대회와 4년 후 XIV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두 경기 모두 보트비니크에게 진 것은 나를 깨우지 않았다. 보트비닉의 경기를 이해하고 그 장단점을 본 것 같았다. 나는 그와 만날 준비를 하기 시작했다. 물론 그 시절 내 스타일과는 전혀 다른 스타일의 선수라는 것을 이해했다. 하지만 승산이 있다고 생각했다.

1940년 말에 그는 우크라이나 챔피언십에서 3년 연속 우승했다. 1941년 3월, 구소련의 절대 챔피언 타이틀을 위한 경기 투어에 참가하여 6명의 참가자 중 4위를 차지했다. 매치투어 전날, 그는 대학에서 시험을 통과해야 했고, 체스 종목에 대한 준비도 미흡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1945년 제14회 USSR 선수권대회에서 미하일 보트비니크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9승 6무 2패. 그는 소련에서 그랜드마스터 타이틀을 받았다. 그는 구소련-미국 라디오 경기 세 번째 보드로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 그는 르우벤 파인과의 첫 경기를 비겼고,[2] 두 번째 경기에서 그를 격파하며 이 경기 최고의 경기에서 상을 받았다. 볼레슬라프스키는 우월적 전당구조에 힘입어 오프닝에서 확실한 우위를 확보했고 파인만의 대타작도 허용하지 않고 승리를 거뒀다. 소련은 2차 세계대전 전 당시 국제적으로 성과를 거둔 파인을 미국 선수 중 가장 강력한 선수로 여겼다.

1946년에 그의 딸 타티아나가 태어났다. 그녀는 나중에 데이비드 브론스타인과 결혼했다. 볼레슬라프스키와 브론슈타인은 1930년대 후반에 친구가 되었고, 평생 그렇게 지냈다. 1946년 볼레슬라프스키는 그루닝겐에서 처음으로 국제대회에 출전해 공동 6위(7위)에 올랐다.

1950년 볼레슬라프스키는 FIDE로부터 국제 그랜드마스터 타이틀을 받은 최초의 수상자 중 한 명이었다.

월드 챔피언십 후보

1951년 세계선수권 사이클에서 볼레슬라프스키는 1948년 솔츠예바덴에서 열린 인터존셔널에서 2년 후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후보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미하일 보트비닉세계 체스 챔피언십 경기를 치르게 될 후보 대회에서 그는 유일한 무패자였고, 대부분의 토너먼트에서 선두를 달렸지만, 마지막 라운드에서 브론스타인에게 붙잡혔고, 브론슈타인은 같은 해 말 모스크바에서 열린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했다(+3-2=9

이것은 볼레슬라프스키가 세계 챔피언에 도전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임이 밝혀졌다. 1953년 주리히에서 열린 후보 대회에 참가했지만 10~11위로 마감했고, 이후 세계선수권 사이클에는 한 번도 출전하지 못했다.

후기 경력

1951년 볼레슬라프스키는 보트비니크와의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브론스타인의 두 번째 출전으로 24경기 만에 비겼다. 1952년 헬싱키 올림피아드에서 8점 만점에 7점을 받아 소련팀의 금메달 획득을 도왔다. 이 대회는 그가 선수 생활에서 뛸 유일한 올림피아드였지만, 그는 소련팀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다른 여러 곳에 참석했다.

1951년 볼레슬라프스키는 민스크로 이적했고 같은 해 이 도시의 챔피언이 되었다(1953/54년 그의 승리를 반복했다).[3] 1952년(공동)과 1964년 벨라루스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1961년, 그는 그의 마지막 USSR 챔피언십 결승전에 출전했다. 그는 데브레센에서 열린 국제 대회에서 1등을 했다. 그는 1963년부터 1969년까지 세계 챔피언 티그란 페트로시안(Tigran Petrosian)의 조수였다.

1968년 그는 Ybbs에서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한 구소련 학생팀의 주장을 맡았다. 그의 마지막 대회 출전은 1971년 52세의 민스크에서 있었다. 볼레슬라프스키는 1960년대에 USSR 체스 연맹의 수석 트레이너였으며, 그는 죽을 때까지 매우 존경받는 분석가이자 체스 작가로서, 특히 개회 이론에 있어서 그랬다.

그는 1977년 2월 15일 57세의 나이로 민스크에서 얼음판 보도 위에 떨어져 엉덩이가 골절되고 병원에 입원하는 동안 치명적인 감염에 걸린 후 사망했다.

레거시

볼레슬라프스키가 개론 이론에 기여한 주요 요소 중 하나는 시칠리아 디펜스 (1.e4 c5 2)의 볼레슬라프스키 변주곡이다.Nf3 d6 3.d4 cxd4 4.Nxd4 Nf6 5.NC3 Nc6 6.Be2 e5). 볼레슬라프스키 구멍이라고 불리는 이 줄의 전당 구조의 특징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

볼레슬라프스키는 1930년대 후반부터 동료 우크라이나인 브론스타인, 에핌 겔러, 알렉산더 콘스탄티노폴스키와 함께 킹스 인도방위를 용의자 변종에서 오늘날 가장 인기 있는 방어수단으로 바꾸었다. 한스 크모치는 자신의 책 체스에서 '볼 파워 인 체스(Pole Power in Chess)'에서 c6와 d6(특히 d-pawn이 세미 오픈 파일에 있는 경우)에 있는 킹스 인디언의 검은 폰 구성을 '볼레슬라프스키 장벽'이라고 부른다.

레프 폴루가예프스키는 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는 어떤 선수라도, 심지어 가장 강한 선수라도, 그의 게임에서 배울 수 있고 배워야 한다고 확신한다. 시칠리아 방위군의 신비에 대한 그의 깊이와 관련하여, 게다가 양쪽 모두에게 볼레슬라프스키와 비교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지 의심스럽다. 그는 오프닝의 역동성에 대한 거장적 감각을 가지고 있었고, 본질적으로 그는 내가 어깨를 주무르는 기쁨을 누린 가장 겸손한 대부인 한 명이었지만, 언제나 복잡하고 양날의 투쟁을 목표로 삼았다.[5]

그의 친구이자 제자 중 한 명인 알렉세이 수틴 대장은 구소련체스지에 다음과 같이 썼다.

볼레슬라프스키는 뛰어난 겸손함과 훌륭한 문화를 가진 사람이었다. 체스 없이 볼레슬라프스키를 상상하기 어렵다면 책 없이 그를 상상하는 것은 그야말로 불가능하다. 그는 역사, 고전 문학, 시... 시칠리아와 킹스 인디언의 놀라운 시스템 데뷔에 의해 증명된, 진정으로 혁신적인 남자, 그의 연구는 다른 많은 현재의 개방을 풍부하게 했다. 책 속 깊이 있는 그의 체스 정기 간행물에서의 재치 있는 분석은 오랫동안 아이작 볼레슬라프스키를 세계 최고의 이론가 중 한 명으로 만들었다.

1990년에 출간된 그의 최고의 게임 책이 그해 영국에서 출판된 최고의 체스북으로 상을 받았다.

볼레슬라프스키 구멍

볼레슬라프스키 홀 포메이션
abcdefgh
8
Chessboard480.svg
a7 black pawn
b7 black pawn
f7 black pawn
g7 black pawn
h7 black pawn
d6 black pawn
e5 black pawn
e4 white pawn
a2 white pawn
b2 white pawn
c2 white pawn
f2 white pawn
g2 white pawn
h2 white pawn
8
77
66
55
44
33
22
11
abcdefgh

시칠리아에서는 볼레슬라프스키 구멍이라고 불리는 그의 이름을 따서 어떤 전당 구조가 명명된다.[4] 여기서 블랙은 ...e5가 d6에 뒤처진 졸을 남겨두고 d5-square에 '구멍'을 만들기로 선택하게 되는데, 이것은 게임의 어느 단계에서 백기사의 전초기지가 될 가능성이 있고, 따라서 블랙 측의 잠재적인 약점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종류의 형성은 Najdorf (고전적 의미의 "영어 공격")에서 잘 알려진 구조적인 특징이지만, 블랙이 e5 이동 대신 e6을 선택한 관련성이 있지만 다른 시칠리아인들과 대조될 수 있다; 이것은 d5에 '구멍'을 만드는 것을 피하고 대신 그 위치는 Schveningen의 설정 유형으로 바뀐다....e5가 조금 더 소심한 ...e6보다 더 약한 플레이 동작으로 간주되는 것은 아니지만, 덜 신중하고 더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의 정신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e5의 잠재적인 단점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d4에 있는 중앙집중화된 백기사를 원래 Nf3에 위치했던 Nb3나 (덜 흔하게) 보다 수동적인 위치로 다시 "kicking"하는 긍정적인 기능을 하고 있다; 그것은 또한 e2로 갈 수 있고 여기서 아담스의 공격에서 일어난다. 또한 d6의 후진 전당포는 대개 e7광장을 점령하고 있는 블랙의 다크 스퀘어 주교의 보호를 잘 받고 있기 때문에 흰 조각의 표적이 그리 쉽지 않다는 점도 언급할 가치가 있다. 한 동작으로 ...e5를 연주하는 또 다른 긍정적인 역할은 중앙 광장 중 하나에 클레임을 걸었다는 것이다. 분명히, ...e6를 연주하는 것은 쉬베닝겐 형태의 전당 구조에 도달하여 그 후에 ...e5를 연주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의미에서 하나의 템포의 상실을 통해 한 종류의 전당 구조에서 다른 종류의 전당 구조로 전환이 있을 수 있다. 앤드류 솔티스에 따르면, 볼레슬라프스키 홀이 만들어진 후, 이 아이디어는 졸을 d6에 거꾸로 묶어두지 않는 것이다; 만약 블랙이 ...d6–d5의 볼레슬라프스키 폰 선전을 허용한다면, 이것은 그의 어두운 정사각형 주교를 풀어주고 그의 게임을 자유롭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유명한 Bg5 Najdorf Sicilian에서는 백기사가 유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실질적인 좋은 기회와 함께 f5스퀘어에 껑충 뛸 수 있기 때문에 폰 어드밴스 e5가 상위 레벨에서 연주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6]

주목할 만한 게임

볼레슬라프스키는 미하일 탈(+2-0=3)과의 경기에서 플러스 기록을 세웠다. 1958년 리가에서 검은 조각으로 탈을 이기기도 했다.[7]

참고 항목

참조

  1. ^ Felix Berkovich가 만든 우표 위의 유대인 체스 마스터스
  2. ^ 아이작 볼레슬라프스키 vs. 르우벤 파인, 미국 대 소련 1945 Chessgames.com
  3. ^ [1]
  4. ^ Jump up to: a b Andrew Soltis, McKay 1995의 Ponel Structure Chess 138-53페이지.
  5. ^ 폴루가예프스키, 리예프 시칠리아 라비린스 제2권 (Pergamon Chess, 1991년) 페이지 61.
  6. ^ Geller, Yefvim; Gligoric, Svetozar; Kavalek, Lubosh; Spassky, Boris (1976). The Najdorf Variation. Albertson, Long Island, New York: RHM Press, a division of RHM Associates of Delaware, Inc. ISBN 0-89058-025-1.
  7. ^ 미하일 탈 vs. 아이작 볼레슬라프스키, 리가 1958년 Chessgames.com

참고 문헌 목록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