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작 J.위스타

Isaac J.
아이작 존스 위스타
I J Wistar BGEN UA ACW.JPG
아이작 존스 위스타
태어난(1827-11-14)1827년 11월 14일
필라델피아, 펜실베이니아, 미국
죽은1905년 9월 18일(1905-09-18)(77)
클레이몬트, 델라웨어, 미국
매장지
펜실베니아 필라델피아 위스타 연구소, 펜실베니아
얼리전스미국
유니언
서비스/브런치미국 육군
유니온 육군
근속 연수1861–1864
순위Union Army brigadier general rank insignia.svg 준장
전투/전투남북 전쟁
기타 작업작가, 필학자

아이작 존스 위스타[pronunciation?](Isaac Jones Wistar, 1827년 11월 14일 ~ 1905년 9월 18일)는 미국의 변호사, 광부, 농부, 군인, 작가이다.그는 남북전쟁 중 두 번 부상을 입은 북군에서 복무했고, 1864년 버뮤다 백병전 당시 그의 비판적인 활약으로 유명했다.분쟁 이후 위스타는 저명한 음경학자이자 작가가 되었다.

초기 생활과 경력

초기 위스타

아이작 J.위스타는 1827년 펜실베니아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났다.그는 일찍부터 웨스트타운 프렌즈 스쿨에서 교육을 받았고, 그 후 헤이버포드 대학에 다녔다.위스타는 후에 펜실베니아 [1]대학에서 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위스타는 필라델피아에서 변호사로 개업하기 시작했다.1849년, 그는 골드 [2]러시에 광부로 참여하기 위해 캘리포니아로 이사했다.그때부터 1861년 남북전쟁이 발발할 때까지 위스타는 다양한 직업을 가졌다.그들 중에는 동물 사냥꾼, 산악인, 인디언 전투기, 농부, 변호사 [3]등이 있었다.

남북 전쟁 복무

1861년 남북전쟁이 시작되었을 때, 위스타는 그의 고향과 연방정부의 명분을 따르기로 선택했다.그는 중대를 양성하여 대장으로 선출되었다.위스타의 중대는 원래 캘리포니아 [2]연대로 알려진 71 펜실베니아 보병 연대에 추가되었다. 연대는 뉴욕[4]포트 슈일러에서 조직되었다.6월 28일, 위스타는 [3]중령으로 진급했고, 7월 1일 71사단은 버지니아 반도먼로 요새로 떠났다.7월 22일, 위스타와 71사단은 워싱턴 D.C.로 보내져 그해 [4]가을까지 수도 방어의 일부가 되었다.위스타는 10월 21일 볼스 블러프 전투에서 크게 알려진 유니언의 패배에 참가했다.그 싸움에서 그는 일시적으로 연대를 이끌었고 오른쪽 팔꿈치, 턱,[3] 허벅지를 맞고 중상을 입었다.

북군 대령 위스타

대령의 죽음에 이어.에드워드 D. 볼스 블러프의 베이커 위스타는 71 펜실베니아 연대장이 되었고 1861년 11월 11일 대령으로 진급했다.71연대는 위스타가 실제로 존재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1862년 반도 작전에 참가했다; 7파인스 전투 (5월 31일과 6월 1일)에서는 소령이, 7일 전투 (6월 30일과 7월 1일)에서는 [2]중령이 지휘했다.

위스타는 1862년 9월 17일 안티탐 전투에서 싸웠고 왼팔에 부상을 입었다.그의 지휘관, 올리버 O. 하워드는 위스타의 새로운 부상에 대해 "... 오른팔이 이전 부상으로 거의 쓸모없는 상태"라며 이전 볼의 블러프 [2]상처에 대해 언급했다.11월 29일 위스타는 준장으로 진급했고 1863년 [5]5월 16일부터 7군단의 여단장으로 배치되었다.

1863년 7월 18일부터 위스타는 버지니아 요크타운 특별구를 지휘했고, 그 해 8월에는 버지니아주와 노스캐롤라이나주하부 구역으로 재지정되었다.1864년 4월,[6] 그는 제임스 군대에서 18군단사단장을 잠시 받았다.5월 7일, 위스타는 여단의 지휘를 재개하고 버뮤다 백인 작전에 참가했지만, 11일 후에 직위해제되고 대령으로 교체되었다.그리펜 [7]스테드먼입니다군사사학자 Ezra J. Warner는 위스타가 이 캠페인 기간 동안 저조한 성적을 거뒀다고 추측한다.

구체적인 기록은 없지만 5월 16일 아침 안개 낀 위스타의 여단 처리는 [8]아쉬움을 남겼다는 결론은 다소 피할 수 없다.

1864년 [7]9월 15일 미 육군성은 위스타의 사임을 받아들였다.

종말 이후의 경력

위스타는 필라델피아에서 변호사 활동을 재개했고 유명한 음유학자이기도 [3]했다.는 펜실베니아 철도 회사의 부사장을 역임하며 석탄과 운하 부품을 이끌었습니다.위스타는 1892년 펜실베니아 대학에서 위스타 해부학생물학 연구소를 설립했으며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펜실베니아 주립 교도소의 감찰관을 역임하기도 했다.그는 또한 펜실베니아 주 자선 위원회, 미국 철학 협회, 필라델피아 [1]자연 과학 아카데미의 회장을 역임했습니다.

위스타는 자서전과 전쟁과 [3]음경에 관한 글을 포함한 여러 작품을 저술했다.그는 1903년에 은퇴했고 2년 후 [1]델라웨어 뉴캐슬 카운티의 클레이몬트에 있는 여름 별장에서 사망했다.그린란드위스타 산은 로버트 피어리가 1898년부터 1902년까지 탐험하면서 그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선정된 작품
  • 펜실베이니아 교도소 시스템(1900년)[9]
  • 아이작 존스 위스타의 자서전, 1827년-1905년(1905년)[3]
  • 전쟁과 평화의 반세기(1914년,[3] 사후)

개인적인

위스타는 1863년 사라 톨랜드와 결혼했지만 아이가 없었다.[10]그는 인생의 마지막 10년 동안 홀아비였고 1905년 [11]그의 재산 대부분을 위스타 연구소에 유산으로 남겼다.그의 뉴욕 타임즈 부고 기고문은 가 죽기 전에 설립한 기부금이 연간 3만 [1]달러의 수익을 창출했다고 언급했다.위스타는 로렐 힐 묘지에 있는 의 아내 옆에 묻히는 대신 연구소에 묻혔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1. ^ a b c d "New York Times obituary" (PDF). nytimes.com. September 19, 1905. Retrieved 2009-02-13.
  2. ^ a b c d 워너, 568호
  3. ^ a b c d e f g 아이허, 페이지 577
  4. ^ a b "California State Military Museum site record of the 71st Pennsylvania Infantry". militarymuseum.org. Retrieved 2009-02-13.
  5. ^ 아이허, 페이지 577예비군단, VII 군단, 1863년 5월 13일~6월; 위스타스 B, VII 군단, 6월~1863년 7월 18일
  6. ^ 아이허, 페이지 577. 18군단 2차 D, 1864년 4월 22일-5월 7일
  7. ^ a b 워너, 569호
  8. ^ 워너, 671호
  9. ^ 아이작 존스 위스타, "펜실베이니아 교도소 시스템"은 56대 의회에서 문서 566, 미국 교도소 시스템 (워싱턴: 정부 인쇄국, 1900), 112-118페이지.
  10. ^ 리처드 위스타 데이비스, 위스타 가족: 1717년 이민자 캐스퍼 위스타의 후손 계보 (필라델피아: 저자에 의한 1896년), 13페이지.
  11. ^ Wistarabilia: 125년간의 연구 성과와 인간의 건강 증진(위스타 해부생물연구소, 2017).

레퍼런스

추가 정보

  • 도날드슨, 프란시스 A.와 애켄, J.G. 포토맥 군대: 프란시스 애덤스 도널슨 선장의 남북전쟁 경험, 스택폴 북스, 1998, ISBN 0-8117-0901-9.
  • Sears, Stephen W., 논쟁과 지휘관: 포토맥의 군대로부터의 파견, Houton Mifflin Harcourt, 2000, ISBN 0-618-05706-4.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