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슐름 (강)

Ishëm (river)
이슐름
Kepi i Rodonit.jpg
이쉬엄의 입.
위치
나라알바니아
물리적 특성
출처
• 위치코더-투마네, 알바니아
• 좌표41°30′26″n 19°41′32″e/41.50722°N 19.69222°E/ 41.50722; 19.69222
• 위치
아드리아 해
• 좌표
41°34′40″N 19°333327′E/41.5778°N 19.55750°E/ 41.57778; 19.55750좌표: 41°34′40″N 19°33′27″E / 41.5778°N 19.55750°E / 41.57778; 19.55750750
알바니아 강의 배수 분지와 지도:이슐럼은 지도 중앙에 있다.

이쉬엠(또는 이슈미, 알바니아어:루미 이시미트)는 알바니아 서부의 강으로 알바니아 수도 티라나 북쪽 지역에 물을 끌어온다.물코스의 일부(티란에르-그줄-이슈엠)를 구성하지만, 물코스의 하위 3분의 1만 이슈엠으로 알려져 있다.이셔름 강 유역은 푸슈-크루예에서 북서쪽으로 몇 km 떨어진 겔레 강과 제제 강이 합류할 때 형성된다.그것은 이슐름 마을 근처의 아드리아 해로 흘러 들어간다.이 물길이의 길이는 74km에서 79km 사이의 다른 원천으로 기록된다.[1][2][3]

어원

이 강의 이름은 비비우스 세케스터(AD 4세기 또는 5세기)가 이삼누스(Isamnus)로 처음 기록하였다.알바니아어 이슐렘은 알바니아어 음성 변화를 통한 고대 이름에서 유래하지만,[4][5][6] <아이샘누스>에서 발견되는 액센트럴 패턴은 아드리아어 '일리아어' 중개자를 전제로 한다는 점에 주목해 왔다.[7][8]

지류

이쉬엄은 크루이저 산맥 너머의 스칸데르베그 산맥의 티라나 북동쪽에 있는 여러 강에서 형성된다.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다음과 같다.

  • 티라노에(확실알바니아어 형식:티라나, 알바니아어:다즈트 산의 북동쪽에 근원을 두고 있는 루미 티라노에스)는 이쉬엄의 주요 지류다.[2]샤칼라 투자니트라는 좁은 성문을 통해 다즈트 산 북쪽 산맥을 가로지른다.그리고 나서 티라나 평원을 가로질러 서쪽으로 쭉 흐른다.티라나 시는 넓은 범람원의 남쪽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 있다.평원의 서쪽 가장자리에서 강은 가장 중요한 지류인 라너와 만나는데, 라너는 다즈트 산의 서쪽 경사면에 솟아 티라나 시의 중심부를 지나 티라노 강 남쪽을 만날 때까지 서쪽 방향으로 흐른다.이후에도 강물은 북쪽 방향으로 계속된다.
  • 테르쿠제(확실알바니아어 형식:테르쿠자, 알바니아어:루미 테르쿠제스)는 티라노를 조금 더 북쪽으로 만난다.또한 산줄기의 동쪽에 근원을 두고 있으며, 그 근원을 슈칼레 이 보빌레라고 불리는 협곡을 통해 건너는데, 이 협곡은 1998년 12월부터 지표면적이 800만 m가량인 보빌라 저수지를 조성하기 위해 댐을 설치하여 티라나 시에 식수를 공급해 왔다.테르쿠자는 티라나 공항을 지나 티라나 강을 만나기 전에 북서쪽 방향으로 티라나 평원을 가로지른다.이 두 강이 일단 합류하면 그 강을 조라고 한다.
  • 제자(확실알바니아어 형식: 제자, 알바니아어 형식:루미 제제스, 점등. '검은 강') 크루제 동쪽에서 발생한다.또한 Shkalla e Krymadhers라고 불리는 협곡을 통과하여 흐른 다음, 북향으로 평원을 가로지르며 푸슈-크루주를 지나간다.테르쿠자 호를 몇 킬로미터 지나서 그줄 호와 만난다.

리버 코스

제제가 조에 합류하는 지점부터 이 강은 이슐레 강으로 알려져 있다.티라나 평원의 가장자리에 이를 때까지 서쪽 방향으로 흐른 뒤 북서쪽으로 방향을 바꿔 아드리아 해협으로 향한다.여행의 이 부분에서 그것은 같은 이름의 마을을 통과한다.강 하구 바로 전에 크루제 북동쪽 산에서 발생하는 개울인 드로자 강과 합류한다.이쉬엄족은 로돈 만에서 라스의 남서쪽으로 아드리아 해협으로 방류하는데, 로돈곶에 의해 서쪽 가장자리에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드린 만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티라노에 강과 제자는 항상 이슐렘의 지류가 아니라 에르젠으로 흘러들어가곤 했을 가능성이 있다.일찍이 그들은 티라나 평원을 남향으로 건너가 지금은 두 개의 계곡이 있는 평원의 서쪽 가장자리에서 언덕의 사슬을 뚫고(보러와 이즈베리슈트) 에르젠 강 계곡으로 들어갔다는 설이 제기되었다.이 강들은 티라나 평야에 침하한 결과로 현재의 북쪽 코스를 채택했을 것이다.[9]

이슐렘의 배수 분지는 총 673km의2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하구의 평균 방류량은 20.9m³/s이다.가장 높은 연간 배출량은 연간 최저치의 6배가 넘는다.[2]

나중에 스테파니아카라고 불리는 벤덴시스 시는 이슐렘의 어귀에 위치해 있었다.벤다 교구의 자리였다.

오염

이쉬엄과 그 지류인 라너와 티라노는 심각하게 오염되어 있다.산업과 티라나 시의 폐수는 처리되지 않고 강으로 흘러 들어간다.암모니아, 이산화질소, 부유물질의 양은 몇 가지 다른 조치에서 EU의 법적 한계를 초과한다.[1]입구에서 강물 냄새가 매우 심하고 티라나의 폐수, 플라스틱, 기타 쓰레기 때문에 만이 오염되어 중요한 바다거북 번식지를 위협하고 있다.[10]

참조

  1. ^ a b 알키비아드 쿨라즈, 아짐 하스코, 알레코 미호, 페르디난드 샨즈, 헬무트 브란들, 라인하르트 바코펜:알바니아 자연수의 질과 인적 영향: 환경 국제 31 (2005)
  2. ^ a b c Niko Pano (2008), Pasuritë ujore të Shqipërisë (in German), Tirana: Akademia e Shkencave e Shqipërisë, ISBN 978-99956-10-23-4
  3. ^ 말노르 콜라네치:알바니아의 홍수위험, 세계은행 2000년
  4. ^ 카티치치 1976, 페이지 186 (
  5. ^ 데미라지 2006년 페이지 150.
  6. ^ Ismajli 2015, 페이지 263.
  7. ^ 헐드 1986, 페이지 250.
  8. ^ 매칭거 2009, 페이지 25-26.
  9. ^ 헤르베르트 루이스, 알바니안. Eine Landeskunde vornemlrich auf Grund eigener Reisen, Stuttgart 1927
  10. ^ Mediterranean Association to Save the Sea Turtles (MEDASSET) (December 2009). "Monitoring and Conservation of Important Sea Turtle Feeding Grounds in the Patok Area of Albania: Annual Report 2009" (PDF). Seaturtle.org. Retrieved 2015-12-29.

참고 문헌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