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섬 존스

Isham Jones
이섬 존스
Isham Jones, 1922
아이샴 존스, 1922년
배경 정보
생년월일이섬 에드거 존스
태어난(1894-01-31) 1894년 1월 31일
미국 오하이오 주, 콜튼
기원.미국 미시간 주, Saginaw
죽은1956년 10월 19일(1956년 10월 19일)(62세)
할리우드, 플로리다, 미국
장르댄스 밴드
직업
  • 음악가
  • 밴드 리더
  • 작곡가
기기
  • 피아노
  • 색소폰
액티브 년수1911–1938
라벨

이섬 에드가 존스(Isham Edgar Jones, 1894년 1월 31일 [1]~ 1956년 10월 19일)는 미국의 밴드 리더, 색소폰 연주자, 베이시스트, [2]작곡가이다.

직업

존스는 [1]미국 오하이오주 콜튼의 음악 및 광산 가정에서 태어났다.그의 아버지 리처드 아이샴 존스(1865-1945)[3][4]는 바이올리니스트였다.가족은 미시간 주 새기노로 이사했고, 그곳에서 존스는 자랐고 교회 [5]콘서트를 위한 첫 앙상블을 시작했다.1911년에 존스의 초기 작품 중 하나인 "On the Alamo"가 텔 테일러사에 의해 출판되었다. (테일러는 그의 노래 "Down by the Old Mill Stream"이 히트하기 전 해에 출판사를 설립했다.)[6]

1915년 존스는 일리노이주 시카고로 이사했다.그는 Green Mill Gardens에서 공연을 한 후 Fred Mann의 Rainbo [7]Gardens에서 연주를 시작했습니다.시카고는 그가 뉴욕에 정착한 1932년까지 그의 고향으로 남아있었다.그는 [8]또한 1925년에 그의 오케스트라와 함께 영국을 순회했다.

1922년 이섬 존스

1917년 그는 미국이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을 때 "We're In The Army Now" ("You're In the Army Now"로도 알려져 있음)라는 곡을 작곡했다.이 곡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인기가 있었고 미군 [9]밴드가 연주하고 있다.

Isham Jones 밴드는 1920년대 내내 Brunswick에서 인기 있는 축음기 레코드를 만들었습니다.레인보 가든에서 만들어진 그의 첫 26개의 악단은 "이섬 존스의 레인보 오케스트라"[10]의 공로를 인정받았다.1920년 말, 그 이름은 간단히 "이섬 존스의 오케스트라"[11]였다.

그는 1920년대와 1930년대에 [1]가장 인기 있는 댄스 밴드 중 하나를 이끌었다.데이브 링글과 프레드 메인켄이 쓴 그의 첫 번째 성공적인 녹음인 "와바시 블루스"는 1921년에 녹음되었다.이 밀리언셀러는 12주 동안 미국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고,[12] 6주 동안 1위를 차지했다.그것[13]RIAA로부터 골드 디스크를 받았다.존스의 밴드에서 연주한 유명한 음악가들은 루이스 패니코, 베니 굿맨, 우디 허먼, 월트 요더, 로이 바지포함했다.리드의 거장갈로도로는 1933년 10월 [14]3일 기록적인 날짜에 존스와 함께 잠깐 모습을 드러냈다.

처음부터 그의 브런즈윅 레코드는 인기가 있었다.1927년 10월부터 1929년 6월까지 존스가 해체 및 [citation needed]재편성으로 기록되지 않은 공백이 있었다.

1929년부터 1932년까지, 그의 브런즈윅 레코딩은 고든 젠킨스와 다른 사람들에 의한 엇박자 편곡으로 훨씬 더 정교해졌다; 존스는 일찍부터 그 자신의 편곡자였지만,[1] 다른 사람들을 키웠다.이 기간 동안, 존스는 바이올리니스트 에디 스톤을 그의 단골 보컬 중 한 명으로 부르기 시작했다.스톤은 그의 목소리에 특이하고 거의 유머러스한 어조를 가지고 있었다.그의 다른 성악가로는 프랭크 실바노, 빌리 스콧, 아서 자렛이 있었다.1932년 그는 이 밴드의 또 다른 바이올린 연주자 중 한 명인 조 마틴을 단골 성악가로 추가했다.그 해 4월, 어린크로스비는 존스의 그룹과 "Sweet Georgia Brown"을 포함한 두 번의 세션을 녹음했다.이 시점에서 크로스비는 여전히 재즈 관용어로 노래를 부르며 더 잘 알려진 "crooner"[citation needed] 스타일로 전환했다.

1932년 8월, 존스는 빅터와 계약했고, 이 음반들은 대공황 시대의 가장 잘 편곡되고 공연된 상업적인 댄스 밴드 음반 중 하나로 여겨진다.빅터의 녹음 기술은 존스의 밴드에 적합했다.1932년 10월, 그는 CBS 라디오에서 막 출발한 뉴욕의 Three X Sisters와 팀을 이루었다.그들은 RCA 빅터를 위해 실험적인 노래를 녹음했고, 이 곡에서 존스는 재즈와 초기 스윙 음악을 융합하기 시작했다.그들은 "어디?"와 "너에게 무슨 일이 생기면 나는 어떻게 될까?"를 녹음했다.그의 빅터 앨범들은 종종 튜바를 강하게 사용한 거의 심포닉 사운드를 가지고 있었다.빅터 기간 동안, 그는 빅터의 33/3RPM 시리즈의 일부로서 두 번의 긴 재생 "Program Transcription" 기록을 기록했습니다.그는 1934년 7월까지 빅터와 함께 있다가 데카와 계약했다.이 기간 동안 존스의 녹음은 [citation needed]화이트맨, 워링의 펜실베니아인, 레오 레이스먼, 그리고 그 시대의 가장 인기 있는 댄스 음악의 예로서 다른 댄스 오케스트라와 맞먹었다.

존스의 데카 레코딩은 종종 그의 빅터 레코딩과 비교가 되지 않는데, 데카의 레코딩 기술, 데카는 존스가 그의 빅터 레코딩의 많은 부분을 재녹음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그의 오케스트라의 외관상 작은 크기 때문이다.1936년 그가 데카를 떠난 후, 그는 다시 은퇴했고 그의 오케스트라는 밴드 멤버인 우디 [1]허먼에 의해 인수되었다.Jones는 1937-38년에 새로운 밴드를 시작하여 ARC 레이블로 소수의 세션을 녹음했습니다.멜로톤, 퍼펙트,[citation needed] 배너

1940년대에 존스는 콜로라도에 있는 자신의 양계장에 살았고, 가끔 픽업 밴드와 함께 짧은 투어를 떠났다.그는 후에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했다.1955년 플로리다주 할리우드이주해 1956년 [15]암으로 사망했다.[citation needed]

그의 증손자는 지금은 세상을 떠난 재즈 드러머 러스티 [citation needed]존스다.

구성

Isham Jones는 두 개의 세계 대전 사이의 20세기 전반기에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댄스 밴드의 리더였다.1922년에서 1925년 사이에 작사가 거스 칸과, 그리고 후에 찰스 뉴먼과 함께 그의 주목할 만한 일련의 차트 1위 작곡은 전업 밴드 리더의 비길 데 없는 작품인 8개의 넘버 1 레코드를 포함했다.Joel Whitburn의 Pop [16]Memories 1890-1954에 따르면, 다음의 각 선곡은 상위 10위 안에 정점을 찍었다.

Jones가 작곡한 곡은 다음과 같습니다.

  • "Broken Hearted Melody" 1922; 작사, 거스[17][18]
  • 1930년 'Feeling That Way'
  • "I Can Believe It's True" 1932; 작사, 찰스 뉴먼 & [19] 버니
  • 1932년 작사 찰스[20] 뉴먼
  • "I'l See You in My Dreams"; 작사, 거스 칸;[17] 7주 동안 1위, 1925년 2위 싱글
  • 1925년 '너 빼고 모든 게 지겨워'
  • "It Had to Be You"; 작사, 거스 칸;[17] 5주 동안 1위, 1924년 4위 싱글
  • 1926년 '스페인에 있는 나의 성'
  • "Never Again" 1924; 작사, 거스[17]
  • "On the Alamo"; 가사, 거스 칸;[17] 4주 동안 1위, 1922년 7위 싱글
  • "사랑하는 사람(Belongs to Somebody Else)" 1924; 가사, 거스[1][21]
  • "Some Other Day, Some Other Girl", 작사: 거스 칸,[17] 1924년 10월 10일(1924-10년) 시카고 밀턴 웨일 뮤직사에서 발행.
  • "Spain" 1930; 가사, 거스 칸;[17] 2주 동안 1위, 1924년[1]
  • "Swingin' Down the Lane"; 작사, 거스[17] 칸 – #1 6주, #2 1923년 싱글
  • Al Jolson w Isham Jones 오케스트라 - "The One I Love (Belongs to Somebody Else)" 1924년[22]
  • "더 큰 사랑은 없다" 1936; 작사, 마티[17] 시메스
  • "What's the Use?" 1930; 작사, 찰스[17] 뉴먼
  • 왜 이 밤은 영원할 수 없는가? (또 다른 주제곡) 1932; 작사, 찰스[23] 뉴먼
  • "We're In The Army Now" 1917년 8월 27일 (1917-08-27) 작사 Tell Taylor & Ole[24] Olsen
  • "You're Just a Dream Come True" (그의 주제곡) 1931; 작사, 찰스[25] 뉴먼
  • "You'b Got[26] Me Crying Again

기타 차트 1위 기록

이 그룹은 히트곡이었지만 다른 작곡가에 의해 작곡되었습니다.

  • '키스멧' 이섬 존스 레인보 오케스트라 1920년 3월 17일(1920-03-17) 작곡가 허셜 헨레르
  • "Make Believe" 이섬 존스 오케스트라 1920w.베니 데이비스 m.잭 실크렛
  • "Wabash Blues" 작곡가 Fred Meinken - 6주 동안 1위, 1921년 2위 싱글
  • 1922년 허먼 루비 조셉 마이어
  • 1922년 레이먼드 로버츠 작곡 '세계는 해돋이를 기다리고 있다. 어니스트[27] 세이츠)의 작사, 진 록하트
  • "Who's Sorry Now?" 1923 - 테드 스나이더 작곡, 버트 칼마 작사, 해리 루비.
  • 1923년 어빙 베를린 "Someone Older Walked In"
  • Al Jolson w Isham Jones 오케스트라 - "Steppin' Out" 존 S.하워드 콘래드
  • Al Jolson w Isham Jones 오케스트라 - "캘리포니아 Here I Come" Al Jolson, Bud DeSylva, Joseph Meyer 6주 1위, 1924년 2위 싱글
  • 1924년 2월 4일(1924-02-04Jack Mills, Inc., New York.음악, 빌리 마이어스 & 엘머 쇼벨, 작사, 거스 칸 & 어니 에르드만[28]
  • Al Jolson w Isham Jones 오케스트라 - "I'm Going' South" 애브너 실버, 해리 M.산림
  • 1925년 월터 도널드슨
  • 리버보트 셔플 1925 딕 보이노우-호지 카마이클-어빙 밀스
  • '스위트 조지아 브라운' 1925년 벤 버니-마 CEO 핑커드-케네스 케이시
  • 1925년 어빙 베를린 1위 '리멤버'
  • '오리지널 찰스턴'(1925년) 세실 맥 제임스 P.존슨
  • 1926년 어빙 베를린
  • 1926년 월터 도널드슨
  • '몬터레이에서 내 심장을 잃었어(당신을 발견했을 때)' 1926 레이먼드 이건 버디 로즈리처드 휘팅
  • 이삼 존스 오케스트라와 켈러 자매 1928 어빙 베를린
  • '스타더스트'(1930년) 호지 카마이클 - 베스트셀러 버전 중 하나.존스는 빅터 영에게 중간 템포 곡조의 발라드 악기를 작곡하도록 의뢰했고, 빅터 영의 바이올린 독주곡과 함께 이 편곡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미첼 패리시는 이 시기에 이 노래를 위해 가사를 썼다.
  • 1931년 알프레드 브라이언, 제임스 5세모나코
  • "어깨에 껴안고 (을 움츠리고)" 1932년 조 영, 카르멘 롬바르도
  • 1932년 에드워드 헤이먼과 다나 수세
  • 1932년 해리 루비, 버트 칼마
  • 1932년 구스 칸, 해리 우즈
  • 1933년 리처드 힘버, 프랭크 워샤우어, 실베스터 스프리가토
  • "스웨니의 그림자" 1933 조니 버크, 해롤드 스피나, 조 영
  • "Over Somebody Else's Shoulder" 1934년 알 셔먼, 알 루이스
  • '네이버스' 1934 찰스 오플린, 제임스 카바노, 프랭크 웰던
  • "For All We Know" 1934 샘 M. 루이스, J. 프레드 쿠츠

음반 목록

  • 해피: 1920 레인보 오케스트라 사이드(Archeophone, 2014)[29]
  • Song of the Blues (1923년-1932년) (리버몬트 레코드, 2008년)
  • 스와니의 그림자 (1932-1934년) (리버몬트 레코드, 2013년)

명예

  • 1989년 – 빅 밴드와 재즈 명예의 전당, 작곡가 명예의 전당
  • 2007년 - 그래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It Had to Be You"

레퍼런스

  1. ^ a b c d e f g Colin Larkin, ed. (1992). The Guinness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First ed.). Guinness Publishing. p. 1313. ISBN 0-85112-939-0.
  2. ^ Schneider, Wayne (2003). "Jones, Isham (1894 - 1956), bandleader, composer, pianist : Grove Music Online - oi". Oxfordindex.oup.com. doi:10.1093/gmo/9781561592630.article.j236000. Retrieved 25 October 2017.
  3. ^ "Dayton Daily News from Dayton, Ohio on May 15, 1932 · 28". Newspapers.com. Retrieved 2020-04-14.
  4. ^ Jones (1945). "Michigan Death Certificates, 1921-1952". FamilySearch.
  5. ^ "Dayton Daily News from Dayton, Ohio on May 10, 1935 · 18". Newspapers.com. Retrieved 2020-04-14.
  6. ^ "Isham Jones - Biography & History - AllMusic". AllMusic. Retrieved 25 October 2017.
  7. ^ CD 라이너 노트:해피: 1920 레인보 오케스트라 사이드, 2014년 아케오폰 레코드
  8. ^ "Isham Jones". Shellac.org. Retrieved 25 October 2017.
  9. ^ Library of Congress. Copyright Office. (1917). Catalog of Copyright Entries, 1917 Music New Series Vol 12 Part 3. United States Copyright Office. U.S. Govt. Print. Off.
  10. ^ "Isham Jones and his Rainbo Orchestra". Red Hot Jazz Archive. Retrieved 16 November 2020.
  11. ^ "Isham Jones and his Orchestra". Red Hot Jazz Archive. Retrieved 16 November 2020.
  12. ^ CD 라이너 노트:차트 톱 오브 20s, 1998 ASV Ltd.
  13. ^ Murrells, Joseph (1978). The Book of Golden Discs (2nd ed.). London: Barrie and Jenkins Ltd. p. 12. ISBN 0-214-20512-6.
  14. ^ "Isham Jones Biography". Jazzbiographies.com. Retrieved 25 October 2017.
  15. ^ "Songwriters Hall of Fame - Alan Jay Lerner Biography". Songwritershalloffame.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rch 2016. Retrieved 25 October 2017.
  16. ^ Whitburn, Joel (1986). Joel Whitburn's Pop Memories 1890-1954. Wisconsin, USA: Record Research Inc. p. 135. ISBN 0-89820-083-0.
  17. ^ a b c d e f g h i j "Isham Jones and his Orchestra". Red Hot Jazz Archive. Retrieved February 10, 2022.
  18. ^ "Brunswick matrix 9142-9144. Broken hearted melody / Isham Jones Orchestra - Discography of American Historical Recordings". adp.library.ucsb.edu. Retrieved 2022-03-24.
  19. ^ "Victor matrix BSHQ-73172. I Can't Believe It's True / Bert Lown Orchestra". Retrieved February 10, 2022.
  20. ^ "I'll Never Have to Dream Again". SecondHandSongs. Retrieved February 10, 2022.
  21. ^ "Brunswick matrix 12160-12164. The one I love belongs to somebody else / Isham Jones Orchestra - Discography of American Historical Recordings". adp.library.ucsb.edu. Retrieved 2022-03-24.
  22. ^ "Brunswick matrix 28Ch-29Ch. The one I love belongs to somebody else / Isham Jones Orchestra ; Al Jolson - Discography of American Historical Recordings". adp.library.ucsb.edu. Retrieved 2022-03-24.
  23. ^ "Victor matrix BS-74703. Why can't this night go on forever / Frank Hazzard ; Isham Jones Orchestra". Discography of American Historical Recordings. Retrieved February 10, 2022.
  24. ^ "You're in the Army Now". SecondHandSongs. Retrieved February 10, 2022.
  25. ^ Library of Congress, Copyright Office (1959). Catalog of Copyright Entries, Third series. Library of Congress. p. 763.
  26. ^ "You've Got Me Crying Again". SecondHandSongs. Retrieved February 10, 2022.
  27. ^ "Lockhart, Gene - Discography of American Historical Recordings". adp.library.ucsb.edu. Retrieved 2021-09-20.
  28. ^ "Nobody's Sweetheart". SecondHandSongs. Retrieved February 10, 2022.
  29. ^ hennessey. "Isham Jones Rainbo Orchestra, Happy: The 1920 Rainbo Orchestra Sides". Archeophone Records. Retrieved 2021-09-27.

참고 문헌

  • 1900~1950년 대중음악과 재즈 백과사전.로저 D.Kinkle: 알링턴 하우스 퍼블리셔, 1974년, ISBN 978-087000229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