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라델솔

Isla del Sol
섬의 경치

이슬라델솔(Isla del Sol, 태양의 섬)은 티티카카 호수 남쪽에 있는 섬이다. 그것은 볼리비아의 일부분이고, 특히 라파즈 부서의 일부분이다. 지리적으로 지형은 험하다; 그곳은 많은 유칼립투스 나무가 있는 바위투성이의 구릉지대의 섬이다. 그 섬에는 자동차나 포장 도로가 없다. 이 섬에서 약 800가구의 주요 경제활동은 농업이며, 어업과 관광업은 생계형 경제를 증가시킨다. 여러 마을 중 유마니와 챌라팜파가 가장 크다.[1]

그 섬에는 80개가 넘는 유적이 있다. 이 중 대부분은 잉카 시기로 기원후 15세기경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고고학자들은 사람들이 기원전 3천년 전까지만 해도 그 섬에 살았다는 증거를 발견했다. 섬의 많은 언덕에는 가파르고 바위투성이의 지형을 농업에 적응시키는 농업용 테라스가 있다. 섬의 유적 중에는 티티칼라(Aymara titi Andienehane mountain cat; , 납, 납빛, 콸라 [2]돌, "산 고양이 돌" 또는 "납석"이라고도 표기된 티티칼라)가 있는데, 이것은 칭카나, 콰타, 그리고 필쿠카이나라고 불리는 미로 된 미로 같은 건물이다. 잉카족의 종교에서는 태양신이 여기서 태어났다고 믿어졌다.

어원

이슬라델솔에 템플로델솔의 그리기.

섬의 아이마라 이름은 티티카카다. 이 단어의 본뜻은 알 수 없다. 몇몇 언어학자들과 고고학자들은 이 이름이 티티(안데스산 고양이; 납, 납색)와 콸라(바위)의 부패라고 믿는다. 1612년 루도비코 베르토니오의 아이마라-스페인어 사전에서 타흐시칼라는 "피에드라 근본" 또는 "창조의 돌"로 나열되어 있는데, 아마도 잉카의 유래 스토리를 암시하여 해와 달이 호수에서 태어났을 것이다.[3]

역사

이스라델솔 유마니의 잉카계단

만성적인 베르나베 코보는 이 섬의 북쪽에서 일어난 잉카 기원 신화의 두 가지 버전을 기록했다.[4] 최초의 잉카 만코 카팍은 티티 칼라로 알려진 큰 사암괴석의 눈에 띄는 크랙에서 나왔다고 한다. 만코 카팍은 안데스 신 인티의 아들이다. 신화의 한 버전에서 지방의 고대인들은 여러 날 동안 하늘에 빛이 없었고 어둠을 두려워하게 되었다. 마침내 사람들은 크랙에서 태양이 나오는 것을 보고 그곳이 태양의 거주지라고 믿었다. 코보가 관련시킨 또 다른 버전에서는 크래그가 대홍수 때 크래그 밑에 숨어 있었기 때문에 태양을 위해 바친 것이라고 믿는 사람들도 있었다. 이슬라델솔은 홍수가 물러가고 태양이 티티콸라에서 나와 다시 한번 하늘을 비춘 뒤 처음 나타난 땅이었다. 이 바위에는 사원이 세워졌고, 후에 제10대 잉카 투팍 잉카 유판퀴에 의해 확장되었다. 그는 마마코나(초센 여성)를 위한 수녀원과 순례자들을 방문하는 탐보(inn)를 만들었다.

고고학

이스라델솔 유마니의 잉카분수

챌라만 상공의 작은 봉우리에 위치한 추수쿨루 유적지에서 발굴된 결과 기원전 2200년경까지 방사상탄으로 추정되는 고대 프리세라믹 유적이 수습되었다.[5] 이러한 맥락에서 8개의 흑요석 조각이 복구되었으며, 이 중 3개의 흑요석 중 중성자 활성화 분석 결과 모두 아레키파성 콜카 캐년(Colca Canyon)에 위치한 치베이 흑요석 출처에서 나온 것으로 밝혀졌다. 치베이 오비디안의 존재는 섬 주민들이 더 넓은 교류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었다는 명백한 증거다.

치베이 오비디안은 페루 영토에 위치한 인근 고고학 유적지 지스크아 이루 무쿠에서도 사용되었다. 이는 동일한 세라믹 이전 시간대에 이 두 사이트 간의 문화적 연속성을 나타낸다.

지질학

목욕재계 모델에 따르면,[6] 해안 가장자리와 태양의 섬 사이에는 호수 바닥이 200m(660ft) 이상의 깊이에 도달하는 지역을 지나가지 않는 길이 없다. 고생물 연구는 기원전 3100년경 티티카카 호수의 수위가 현대적 조건보다 무려 85m(279ft)나 낮았을 것이지만, 기원전 2000년경에는 거의 현대적 수준에 이르렀다는 것을 보여준다.[7][8][9] 따라서 기원전 2200년 호수의 수위는 아마도 현재보다는 낮았지만 섬이 본토로부터 물에 의해 분리될 만큼 충분히 높았다. 따라서 추수쿨루의 데이터는 호숫가 문화가 아쿠아 시대 동안 잘 발달된 수공예 기술을 사용했음을 보여준다.[5]

직업사

그 섬은 적어도 기원전 2200년부터 현재까지 계속 점령되었다. 유의미한 초기 형태 형성 직업(BC 1800-1100), 중간 형태 형성(BC 1100-500), 상위 형태 형성(BC 500 - AD 500)이 있다.

이 섬에서 가장 일찍 기록된 도자기는 기원전 1426년에서 1316년 사이에 만들어진 것이다.[5]

가장 중요한 것은 이 섬에 주요한 티와나쿠(티아와나코) 정착지가 있다는 점이다. 추카리푸파타의 터는 잉카족이 유명하게 만든 티티칼라 위에 위치한 주요 티와나쿠 제례지였다.

이 모든 유적지는 섬의 서쪽에 위치해 있다.

잉카족에게 신성시되는 섬 위치 티티

추카리푸파타는 티티콸라에서 불과 수백 미터 떨어져 있으며, 바로 그 위에 무로카타라고 알려진 암석 돌출부가 있다. 따라서 무로카타는 티와나쿠 문화의 '신성한 바위'였을 가능성이 있다.[10]

고고학적 증거는 무로카타나 티티 콸라 모두 후기 중기에 사용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c 1000-1450). 잉카에 의한 남부 티티카카 지역의 정복으로 티티칼라 지역은 리마 남쪽 해안의 파차카마크에 있는 유명한 신탁과 대등하게 잉카 주에서 가장 중요한 순례지 중 하나로 전환되었다.

1989년부터 92년까지 태양의 섬 앞바다에서 행해진 수중 고고학 조사는 잉카와 티아후아나코 유물을 모두 발견하게 했다. 이것들은 현재 챌린지팜파의 한 현장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11] 오늘날 이 섬의 경제는 주로 관광 수입에 의해 움직이지만, 자급 농업과 어업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기후

Isla de Sol(유마니에 위치), 고도: 3,976m(13,045ft), 1981–2010 정상, 극한값 1978–현재
2월 3월 4월 5월 줄리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도
높은 °C(°F) 기록 21.0
(69.8)
21.0
(69.8)
20.0
(68.0)
21.0
(69.8)
20.0
(68.0)
19.8
(67.6)
19.2
(66.6)
20.4
(68.7)
20.9
(69.6)
23.0
(73.4)
24.6
(76.3)
21.0
(69.8)
23.5
(74.3)
평균 높은 °C(°F) 14.4
(57.9)
14.4
(57.9)
14.6
(58.3)
14.4
(57.9)
14.3
(57.7)
13.7
(56.7)
13.4
(56.1)
13.9
(57.0)
14.5
(58.1)
15.0
(59.0)
15.2
(59.4)
15.1
(59.2)
14.3
(57.7)
일평균 °C(°F) 9.4
(48.9)
9.5
(49.1)
9.5
(49.1)
9.4
(48.9)
9.0
(48.2)
8.2
(46.8)
7.9
(46.2)
8.4
(47.1)
9.0
(48.2)
9.6
(49.3)
9.7
(49.5)
9.8
(49.6)
9.1
(48.4)
평균 낮은 °C(°F) 4.4
(39.9)
4.5
(40.1)
4.5
(40.1)
4.4
(39.9)
3.6
(38.5)
2.7
(36.9)
2.5
(36.5)
3.0
(37.4)
3.5
(38.3)
4.1
(39.4)
4.4
(39.9)
4.5
(40.1)
3.9
(39.0)
낮은 °C(°F) 기록 −4.0
(24.8)
−2.0
(28.4)
−2.3
(27.9)
−3.0
(26.6)
−4.0
(24.8)
−3.0
(26.6)
−4.5
(23.9)
−6.0
(21.2)
−2.0
(28.4)
−2.0
(28.4)
−2.4
(27.7)
−2.0
(28.4)
−4.5
(23.9)
평균 강수량 mm(인치) 164.1
(6.46)
117.4
(4.62)
97.1
(3.82)
44.5
(1.75)
11.5
(0.45)
11.2
(0.44)
5.5
(0.22)
24.0
(0.94)
28.4
(1.12)
38.2
(1.50)
51.7
(2.04)
96.6
(3.80)
641.2
(25.24)
평균강수일 15.9 13.6 11.5 6.4 2.7 2.9 1.6 3.8 4.9 6.7 7.6 12.2 87.1
평균 눈 오는 날 0.0 0.0 0.0 0.0 0.0 0.0 0.04 0.08 0.0 0.0 0.0 0.0 0.15
월평균 일조시간 167.5 154.7 170.0 190.6 238.8 190.2 219.7 266.4 219.1 229.5 236.8 190.8 2,474.1
평균 일조 시간 6.9 6.3 6.9 7.5 8.4 7.0 8.6 9.0 8.5 8.0 9.0 6.8 7.7
출처: Servicio Nacional de Metalologiaa e Hidditoria de Voli비아[12]


갤러리

메모들

  1. ^ p209 2008년 신발끈 의 외로운 행성 남아메리카
  2. ^ Radio San Gabriel, "Instituto Radiofonico de Promoción Aymara" (IRPA) 1993, Republicado por Instituto de las Lenguas y Literaturas Andinas-Amazónicas (ILLLA-A) 2011, Transcripción del Vocabulario de la Lengua Aymara, P. Ludovico Bertonio 1612 (Spanish-Aymara-Aymara-Spanish dictionary)
  3. ^ 스타니쉬, 찰스 2003 고대 티티카카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4. ^ 코보, 베르나베 1990[1653] 잉카 제국의 역사 텍사스 주립대 오스틴.
  5. ^ a b c Stanish, Charles; Burger, Richard L.; Cipolla, Lisa M.; Glascock, Michael D.; Quelima, Esteban (December 2002). "Evidence for Early Long-Distance Obsidian Exchange and Watercraft Use from the Southern Lake Titicaca Basin of Bolivia and Peru". Latin American Antiquity. 13 (4): 444–54. doi:10.2307/972225. JSTOR 972225.
  6. ^ Ybert, Jean-Pierre (2012). "Ancient lake environments as deduced from pollen analysis". In Dejoux, C. (ed.). Lake Titicaca: A Synthesis of Limnological Knowledge. pp. 49–62. ISBN 978-94-011-2406-5.
  7. ^ Cross, Scott L.; Baker, Paul A.; Seltzer, Geoffrey O.; Fritz, Sherilyn C.; Dunbar, Robert B. (2001). "Late Quaternary Climate and Hydrology of Tropical South America Inferred from an Isotopic and Chemical Model of Lake Titicaca, Bolivia and Peru". Quaternary Research. 56 (1): 1–9. Bibcode:2001QuRes..56....1C. doi:10.1006/qres.2001.2244.
  8. ^ Baker, Paul A.; Rigsby, Catherine A.; Seltzer, Geoffrey O.; Fritz, Sherilyn C.; Lowenstein, Tim K.; Bacher, Niklas P.; Veliz, Carlos (2001). "Tropical climate changes at millennial and orbital timescales on the Bolivian Altiplano". Nature. 409 (6821): 698–701. doi:10.1038/35055524. PMID 11217855.
  9. ^ Baker, P. A.; Seltzer, Geoffrey O.; Fritz, Sherilyn C.; Dunbar, Robert B.; Grove, Matthew J.; Tapia, Pedro M.; Cross, Scott L.; Rowe, Harold D.; Broda, James P. (2001). "The History of South American Tropical Precipitation for the Past 25,000 Years". Science. 291 (5504): 640–3. Bibcode:2001Sci...291..640B. doi:10.1126/science.291.5504.640. PMID 11158674.
  10. ^ 바우어, 브라이언, 찰스 스타니쉬 2001 텍사스 주립대 언론사 오스틴[page needed]
  11. ^ 고대 아메리카의 라인하르트, 요한 "볼리비아 티티카카 호수의 수중 고고학 연구": 1992년 신대륙 고고학에 대한 공헌. N. Sunders (ed.), 옥스퍼드: 옥소보우북스, 117-143쪽
  12. ^ "Base de datos Sistema Meteorológico–SISMET" (in Spanish). Servicio Nacional de Meteorología e Hidrología de Boliv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September 2019. Retrieved 21 September 2019.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즈 볼리비아 이슬라 델 솔 관련 매체

좌표: 16°01′14″s 69°10′35″w / 16.02056°S 69.17639°W / -16.02056; -69.17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