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 밀키치
Ivan Mrkić이반 밀키치 | |
---|---|
![]() | |
세르비아 외무부 장관 | |
재직중 2012년 7월 27일 – 2014년 4월 27일 | |
대통령 | 토미슬라프 니콜리치 |
수상 | 이비차 다치치 |
선행자 | 부크 예레미치 |
성공자 | 이비차 다치치 |
주일 대사 | |
재직중 2006–2011 | |
선행자 | 프레드라그 필리포프 |
성공자 | 보자나 아다모비치 드라고비치 |
개인내역 | |
태어난 |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 | 1953년 5월 30일
국적 | 세르비아어 |
배우자 | 이보나 밀키치 |
아이들. | 2 |
거주지 |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
모교 | 베오그라드 대학교 법학부 |
웹사이트 | 공식 전기 |
이반 밀키치(세르비안 키릴어: иаан рнћ,, [ʋʋan mrkitkitɕ], 1953년 5월 30일 출생)는 세르비아 외교관이자 전 외무장관이다.
조기생활과 교육
Mrkichi는 유고슬라비아의 베오그라드에서 태어났고, 그곳에서 초, 중등 교육을 마쳤다.그는 1977년에 베오그라드 법학부를 졸업했다.[1]그는 영어와 프랑스어도 할 줄 안다.[citation needed]
직업 경력
Mrkichi는 졸업 직후 유고슬라비아 연방 외무부에 취직하여 외교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2]
1979년과 1982년 사이에, Mrkichi는 연방 외교부의 국제 관계 행정부에서 서기로 일했다.그는 제네바, 빈, 뉴욕, 보스턴에서 열린 유엔군축협회에 참석했다.그는 상담자 역할을 계속했고, 그 당시 다자간 활동 부차장이었다.그는 또한 2012년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제9차 비동맹 운동 총회의 대표단뿐만 아니라 유엔 총회 세션에도 참가했었다.[citation needed]
Mr kichi는 브뤼셀에서 외교 업무를 계속했고, 그는 1990년부터 1992년 사이에 유고슬라비아의 유럽 지역 사절단의 장관 고문을 지냈다.그 기간 동안 헤이그와 브뤼셀에서 열린 구 유고슬라비아 콘퍼런스 작업에 참여하였다.
1992년부터 1993년까지, Mrkichi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인 Dobrica Choosichi 밑에서 내각 책임자로 일했다.[3]
1993년, 키치씨는 키프로스에 있는 유고슬라비아 대사관의 차르게르 드 대사관에 임명되었고, 그 후 키프로스의 니코시아에 있는 유고슬라비아 대사가 되어 1999년까지 남아 있었다.[4]그는 베오그라드에서 외교부로 대사직으로 전환했고, 2000년 양국 차관보가 되었다.2001년에 그는 양국 관계 수장과 연방 외무부 장관의 보좌관으로 임명되었다.2004년부터 키치는 당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외무부의 특별 및 임시직 대사 그룹에 가입했다.[citation needed]
2005년에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각료회의가 임명한 화학무기협약 이행 국가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2006년 이반 밀키치는 일본 도쿄 주재 세르비아 공화국 대사로 임명되어 2011년까지 외교관으로 재직했다.[5]그는 '세르보-일 관계의 역사를 통한 작은 안내서'(2011)를 공동 집필했다.
2011년 일본 근무를 마친 뒤 전임 부크 예레미치(Vuk Jeremyich) 휘하의 세르비아[6] 외무부 국무장관에 임명돼 외교부 장관 임명 때까지 머물렀다.[7]
외무부 장관

2012년 7월 27일, Mrkichi는 이비카 다치치 총리 내각에서 세르비아 외무부 장관에 임명되었다.[8]직업외교관과 무소속 후보로 임명돼 어느 정당과도 연정되지 않았지만 세르비아진보당의 지지를 받았다.[9][10]
임명 직후, Mrkichi는 세르비아의 외교 정책에 변화가 없을 것임을 인정했다.그는 영토 보전과 주권을 보존하는 외교정책의 토대가 남아있을 것이며 우선은 유럽연합(EU)의 완전한 가입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11]
그는 "우리는 우리의 기반과 우선순위가 무엇인지 알고 있으며 EU 회원국으로 가는 길을 지적하고 있으며 이는 이전 기간과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Mrkichi는 세르비아 방송인 B92와의 인터뷰에서 이 말을 인용했다.그는 모스크바와 워싱턴과의 향후 관계를 묻는 질문에 세르비아는 러시아와 유달리 좋은 관계를 맺고 있지만 미국과 기존의 굳건한 파트너십을 심화·개선하고 싶다고 말했다.앞으로 주변국 동료들과 수많은 만남에서 만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12]
세르비아 정부로부터 두 차례(2017년과 2020년) 러시아 연방 및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국가협력조정위원회 위원 후보로 지명된 바 있다.
그는 현재 쥬고슬로벤스코 레치노 브로다르스트보 AD(유고슬라브 강 화물 운송) 감독위원이다.
미스터키치는 2021년 세르비아 올림픽위원회 국제스포츠협력위원회 위원장으로 재선임됐다.
2020년 이후, Mr.kichi는 국제문제 편집국장으로서 Napredak 잡지 편집위원(Progress)의 직무를 맡았다.
그는 중국 베이징의 완리 싱크탱크에 의해 국제관계부장에 임명되었다.
국내외 대학과 기관에서 활발히 강의한다.
사생활
이반 Mrkiche와 그의 아내 Ivona는 두 아이를 가지고 있다.[citation needed]
명예
욱일승천장 대코돈: 2018
참조
- ^ 세르비아 외무부 공식 전기, 2012년 7월 30일 회수
- ^ 고제 이반 밀키치 칸디다트 자 셰파 스르프스케 외교장관 테레그라프
- ^ 비브시 시프 카비네타 도브리체 치오시차: 칸디다트 자 스르비잔스케 외교관 이반 엠키치, 24sata.info; 2015년 8월 21일에 접속했다.
- ^ 외무부 장관직을 맡은 이반 밀키치는 2015년 8월 21일에 베타-press.coml에 접속했다.
- ^ "코페레 파쿠제 10 암바사도라" novosti.rs; 2015년 8월 21일에 접속. (세르비아어로)
- ^ 세르비아 rcc.int(지역협력위원회, 2012년 뉴스레터 21 - 우리의 남동유럽) 외무부 장관 이반 밀키치의 기사는 2015년 8월 21일에 게재되었다.
- ^ 뉴 FM은 2015년 8월 21일에 접속한 웨이백머신(b92.net)에 보관된 예레미치로부터 2012-07-30으로 취임했다.
- ^ 세르비아 새 정부는 이반 밀키치 외무장관을 선출한다. 발칸 오픈 리포트
- ^ Ivan Mrkichi – Na Chelu MIP, Politika.rs; 2015년 8월 23일에 접속.
- ^ Mrkichi - 오랜 경력을[permanent dead link] 가진 외교관, Tanjug.rs; 2015년 8월 23일에 접속.
- ^ Mrkiche: 물론, EU의 주요[permanent dead link] 목표인 Tanjug.rs; 2015년 8월 23일에 접속했다.
- ^ FM: 2015년 8월 23일에 접속한 세르비아의 외교 정책에는 변화가 없다.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스는 이반 밀키치와 관련된 미디어를 보유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