잭 브라이머
Jack Brymer존 알렉산더 브라이머 OBE(John Alexander Brymer OBE, 1915년 1월 27일 ~ 2003년 9월 15일)는 영국의 클라리넷 연주자였다. 타임즈는 그를 "아마도 세기의 클라리넷 연주자"라고 불렀다.[1] 그는 주로 선수로서 독학으로 활동했으며, 1947년 토마스 비첨 경의 초청을 받아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 입단하기 전까지 아마추어로서 공연을 했다. 그는 비첨이 죽은 지 2년 후인 1963년까지 이 오케스트라에 남아 있었다.
브라이머는 이후 BBC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에서 연주했다. 그는 또한 여러 실내악 앙상블들과도 인연을 맺었으며, 재즈 연주에서 평생의 즐거움을 유지했다. 그는 1950년부터 1993년까지 대부분의 기간 동안 교수직을 역임했으며, 처음에는 왕립 음악원에서, 다음에는 왕립 군사 음악 학교에서, 그리고 마지막으로 길드홀 음악 학교에서 교수직을 맡았다. 그는 선수로서나 발표자로서, 자주 방송하는 사람이었으며, 솔로 작품과 오케스트라, 작은 앙상블을 가지고 녹음했다. 그는 두 권의 회고록과 클라리넷에 관한 책을 출판했다.
전기
초년
브라이머는 영국 북동부의 더럼주 사우스 쉴즈에서 건설업자 존 알렉산더 브라이머와 그의 아내 메리 네 딕슨의 아들로 태어났다.[2] 브라이머 선배가 클라리넷을 연주했고, 그의 아들은 4살 때 이 악기를 연주하려고 시도하기 시작했다.[3] 그는 클라리넷 연주자로서 공식적인 가르침은 없었지만, 음악을 발견하고 스스로 기악기법을 고안해 냈다. 가디언은 그에 대해 "부적절한 악기(학교 목공예실에서 좀 잘린 날카로운 피치 A 클라리넷)로 몸부림치며, 자신보다 훨씬 나이가 많은 사람들과 함께 지역 밴드나 아마추어 오케스트라에서 연주하면서 가장 실용적인 방법으로 자신의 기술을 배웠다"[4]고 썼다. 그가 여전히 소년일 때, 그는 재즈와 가벼운 음악에서부터 브라스 밴드, 서커스까지 다양한 음악 스타일을 접하고, 감사했다.[5] 그는 나중에 이 모든 장르가 전문적으로 그에게 큰 가치가 있었다고 주장했다.[5]
브라이머는 사우스 쉴즈의 웨스토 중등학교에서 럭비 축구에 뛰어난 교육을 받았다.[6] 그는 음악적 경력을 쌓고 난 뒤 얼버무렸지만, 그라모폰의 프로필에 따르면, "소리가 극장에 들어왔을 때 관현악 직업의 사실상 붕괴가 있었고, 음악가들이 백 명에 의해 직장에서 쫓겨났을 때, 그의 생각은 다른 곳으로 돌렸다"[7]고 했다. 1933년부터 브라이머는 런던대학교 골드스미스 칼리지에서 일반 교사로서 훈련했다.[2] 그는 히스 클라크 학교 크로이돈의 교직원에 합류했고 여가 시간에는 아마추어 음악 앙상블에서 연주했다.[6] 대학 동기생들, 그리고 후에 아마추어 그룹의 동료들 중에는 현악기 선수인 조안 리처드슨도 있었다. 그들은 둘 다 24살 때인 1939년에 결혼했다. 그 결혼에는 아들이 한 명 있었다.[2]
비록 클라리넷 연주자로서 공식적인 등록금은 없었지만, 브라이머는 아무도 완전히 독학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나는 내가 놀이를 들은 모든 사람들로부터 배웠다. 프레데릭 서스턴과 레지날드 켈은 자신도 모르게 그들의 방법을 나에게 배신했지만, 나는 또한 그들이 결코 하지 않았던 특정한 방식으로 플레이하고 싶다고 결정했다. 클라리넷을 연주하는 능력은 악기의 결함을 극복하는 능력이다. 완벽한 클라리넷이란 건 없어, 그런 적도, 앞으로도 없을 거야."[6] 브라이머가 기술을 관찰하고 배운 다른 클라리넷주의자들은 찰스 드레이퍼와 하이든 드레이퍼였다.[2] 브라이머는 전임자들에 대해 "돈 한 푼의 변화도 없이 그들이 가르쳐 준 것에 놀라워했을 것"이라고 썼다.[5]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브라이머는 영국 공군에서 복무했다. 기본 훈련을 마친 후 그는 상병으로 진급하여 영국 서해 북부의 모레캄베에 체력 훈련 교관으로 파견되었다.[5] RAF 근무를 하지 않을 때 그는 상병의 유니폼을 입고 모레캠베 센트럴 피어 댄스 밴드에서 자주 연주했다.[2] 공군에서 만난 이들 중에는 뿔피리 선수 데니스 브레인(Dennis Brain)이 있었는데, 그는 브라이머의 경기에 감탄했고, 후에 그의 경력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2]
로열 필하모닉
1946년에 토마스 비첨 경은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설립했다. 그의 주요 선수들 중에는 켈과 브레인도 있었다. 이듬해 켈은 곧 사임할 것이라고 발표했고, 브레인은 비첨에게 브라이머가 적절한 대체자가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2] 브라이머는 RAF에서 탈퇴한 후 교직에 복귀했고, 비첨으로부터 그를 오디션에 초대하는 전화를 받은 것에 대해 믿지 못했다. 브라이머의 첫 반응은 그의 음악적 친구 중 한 명이 비참의 친숙한 영주 드로잉 흉내를 내는 등, 그것이 짓궂은 장난이라고 생각하는 것이었다.[3] 브라이머는 정말 비첨이라는 것을 알고 오디션 초대에 응했다. 그가 연주하는 것을 들은 비첨은 그를 켈의 후임으로 임명했다.[4] 그가 이 오케스트라에 처음 출연한 것은 EMI의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리차드 스트라우스의 아인 헬덴레벤을 녹음한 것이었다. 브라이머는 "생전 마지막 해에 자신의 헬덴레벤-리처드 스트라우스 부분을 표시하기 위해 내 어깨 위로 기댄 레인코트를 입은 노인"을 회상했다.[5] 수년 후 브라이머는 지휘자 노먼 델 마르와 슈트라우스를 해석하기 위해 칼을 교차시켰다.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한 역사학자는 "돈키호테를 리허설하면서 델마르는 '기억만, 잭, 기억만'이라는 구절을 너무 크게 연주한 브라이머를 성급하게 훈계했다"고 썼다. "왜 메조포테로 하는 거야?" "스트라우스가 그렇게 하라고 해서." 브라이머가 쏘아붙였다. '그리고 네가 기억하지 못한다니 놀랍구나, 노먼. 그때 넌 두번째 경적을 울리고 있었으니까.'"[8]
타임즈는 이 시기에 브라이언에 대해 "1947년 RPO에 임명된 후, 그의 대담하고 상냥한 브라이머는 확실히 영국의 뛰어난 클라리넷 연주자였으며, 그의 부드러운 연주 스타일과 침착하지 않은 플랫폼 태도는 심지어 평소 클래식 음악에 불성실한 이들까지 매료시켰다"[6]고 말했다. RPO에서 브라이머는 비참의 화려한 바람둥이 테렌스 맥도나(오보에), 제럴드 잭슨(플리트), 귀디온 브룩(바순)에 합류해 동료와 관객들에게 '왕실 가족'[4]으로 알려지게 됐다. 후대의 클라리넷 연주자인 앨런 해커는 브라이머와 그의 동료들이 만들어내는 소리는 "단 한 번의 솔로 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탁월하고 즉각적으로 알아볼 수 있다"[4]고 썼다. 비컴과 RPO로 브라이언은 1958년 모차르트의 클라리넷 협주곡 3곡 중 첫 번째 곡을 만들었다. 2001년 콤팩트 디스크로 녹음본이 재발행되었을 때 The American Record Guide는 이렇게 말했다.
클라리넷 협주곡은 이보다 더 잘 녹음된 적이 없다. 잭 브라이머는 당신이 클라리넷에서 듣게 될 가장 순수하고 아름다운 음색을 가지고 있다 – 결코 상자처럼 화려하고, 거칠고, 나무처럼. 구절마다 당신은 그의 연주와 그의 소리에 경탄할 것이다. 그와 토마스 경은 [제2악장]을 위해 멋진 여유로운 템포를 설정했다. 그래서 그것은 한 번에 한 줄씩 펼쳐질 뿐이다. 그들은 지금까지 쓰여진 가장 아름다운 음악들 중 몇 가지를 풍성하게 연주하고 있다; 그들은 그것을 운전하기를 거부한다.[9]
BBC, LSO, 실내악과 재즈
1961년 비캄이 사망한 후 브라이머와 맥도나를 포함한 RPO의 다른 회원들은 RPO의 관리에 대해 불만스러워했다.[10] BBC의 음악 통제관인 윌리엄 글록은 브라이머와 맥도나를 BBC 심포니 오케스트라로 초대했다.[4] 브라이머는 1963년부터 1971년까지 이 오케스트라의 공동 교장인 클라리넷 연주자였다. 그는 또한 실내악에서도 더 자주 연주하기 시작했다.[6] 1971년 피에르 불레즈가 BBC SO의 수석 지휘자가 되었을 때, 그가 그의 선수들에게서 "아방 가르드, 더 가혹하게, 더 날카롭게" 구했던 소리는 브라이머에게 어필하지 않았다.[5] 그는 게르바세 드 페이어와 함께 공동 교장으로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에 가입하라는 초대에 응했다.[2] LSO 시절 브라이머의 소리의 예는 1972년 안드레 프레빈이 지휘한 라흐마니노프의 교향곡 2번 녹음에서 들을 수 있다. 그라모폰에서 에드워드 그린필드는 브라이머의 느린 동작에 대해 "간명하게 세련된 톤 컬러…숨막히게 표현"이라고 썼다.[11]
고전 실내 레퍼토리에서는 브라이머가 여러 그룹과 연관되어 있었다.[12] 그의 경력에 있어서 여러 시기에 그는 위그모어 앙상블, 프로메테우스 앙상블, 런던 바로크 앙상블의 창립자였다.[4] 그는 런던 윈드 솔리스트의 감독이었고, 터크웰 바람 4중주단과 로블스 앙상블의 멤버였다.[4] 브라이머는 커리어 내내 주류 재즈에 관심을 가졌다.[12] 그는 전후 수십 년간의 영국과 미국의 주요 재즈 연주자들과 함께 솔로 연주자로 활동했다.[12] RPO가 미국 투어를 위해 뉴올리언스에 있을 때, 브라이머는 알퐁스 피코를 포함한 현지 재즈 스타들과 즉흥 연주를 했다.[3]
강의, 녹음, 방송 및 말년
브라이머는 교사로서 로열아카데미(1950~58), 크넬러홀의 로열 군악학교(1969–73) 교수, 길드홀 음악학교(1981–93) 교수였다.[12] 로열 아카데미의 그의 제자들 중에는 브라이머가 개발한 풍부한 소리에 브라이머가 덜 매료된 후 세대의 많은 플레이어를 좋아하는 알란 해커가 있었다. 대신 브루노 바르톨로찌가 뒷받침하는 좀 더 급진적인 테크닉을 선호했고, 이전보다 덜 감미로운 플레이 스타일로 되돌아가는 플레이 스타일을 선호했다.[6]

브라이머는 그의 경력 동안 풍력 독주와 앙상블을 위한 모차르트의 모든 작품의 축음기를 녹음했다. 그를 위해 세실 암스트롱 깁스의 세공과 클라리넷 5중주곡, 앨런 리처드슨의 라운델레이, 가이 울펜덴의 클라리넷 협주곡 등 여러 작품이 집필됐다.[4] 브라이머는 유명한 방송인이기도 했다. 그의 전기 작가인 레이먼드 홀든은 "마이크 이전의 그의 손쉬운 태도는 'At Home'과 같은 그가 BBC를 위해 내놓은 라디오 프로그램들이 인기 있는 인기 프로그램이었다는 것을 의미했다"고 쓰고 있다.[2]
LSO는 Brymer에게 그의 70번째 생일을 기념하기 위해 특별한 콘서트를 여는 것과 75번째 생일을 기념하기 위해 Brymer에게 특별한 찬사를 보냈다.[2] 후자가 되자 그는 전임 관현악 연주에서 물러났지만, 연주를 계속했고, 영국 챔버 오케스트라가 그의 80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준 연주회에서 연주하였는데, 이 연주회에서 모차르트의 클라리넷 협주곡과 클라리넷 5중주곡, 웨버의 클라리넷 협주곡 1번을 연주하였다.[2]
브라이머의 마지막 공개 콘서트는 1997년 7월 18일 런던의 위그모어 홀에서 모차르트의 클라리넷 5중주를 가브리엘리 4중주단과 함께 공연한 것이었다. 브라이머는 공연에 앞서 관객들에게 퀸텟이 자신에게 특별한 중요성을 부여했으며, 이 음악이 콘서트 플랫폼과의 작별을 기념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브라이머는 88세의 나이로 서리 레드힐에서 사망했다.[2] 그의 유골은 베컴의 무덤에 가까운 렘스필드 성 베드로 교회 묘지에 조금 떨어진 곳에 매장되었다.[13]
출판물
책들
- Clarinet (Yehudi Menuhin Music Guides). London: Macdonald and Jane's. 1976. ISBN 0-356-08414-0. (프랑스어 및 독일어 판에도 출판됨)
- From Where I Sit. London: Cassell. 1979. ISBN 0-304-30313-5.
- In the Orchestra. London: Hutchinson. 1987. ISBN 0-09-168450-1.
비디오
메모들
- ^ 굿윈, 노엘 "잭 B 민첩, 잭 B 빠른" 1995년 1월 27일자 더 타임즈 페이지 32.
- ^ a b c d e f g h i j k l 홀든, 레이먼드. "브리머, 존 알렉산더 [잭] (1915–2003)," 옥스퍼드 국립 전기 옥스퍼드 사전,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07년 1월; 온라인 판 2011년 1월, 2012년 2월 12일에 접속(가입 필요)
- ^ a b c "잭 브라이머의 증언: 베컴의 가르침에서 끌려나와 바로크처럼 재즈에 만족한 클라리넷 연주자의 도옌" 더 데일리 텔레그래프, 2003년 9월 17일
- ^ a b c d e f g h 에머슨, 준. 2003년 9월 18일 가디언 잭 브라이머
- ^ a b c d e f 불라모어, 팀. 2003년 9월 20일 The Independent, The Independent, The Royal Philhilham 오케스트라 "Jack Brymer – 수석 클라리넷 연주자"
- ^ a b c d e f 2003년 9월 17일 더 타임즈 "잭 브라이머 – 부고"
- ^ 윔부시, 로저. 1968년 5월 33일 "여기 저기", 그라모폰
- ^ 모리슨, 페이지 117
- ^ Vroon, Donald R. "Review", 미국 레코드 가이드, 65권, 1월호, 2002년 1월
- ^ "리브 리멤버", The Times, 2003년 10월 2일 페이지 41
- ^ 그린필드, 에드워드 "라흐마니노프. 교향곡 2번 E단조", The Gramophone, 1973년 4월, 페이지 121
- ^ a b c d "Brymer, Jack", Who who who, A&C Black, 1920–2008; 온라인판,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07년 12월, 2012년 2월 12일 액세스 가능] (가입 필요)
- ^ 성 베드로 교회 묘지, 림프필드 네트, 2006년 3월 4일
참조
- Morrison, Richard (2004). Orchestra – The LSO: A Century of Triumph and Turbulence. London: Faber and Faber. ISBN 0-571-21584-X.
외부 링크
- 1992년에 녹음된 잭 브라이머와의 인터뷰 - 대영 도서관 사운드 녹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