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커루

Jackaroo
뉴사우스웨일스 북부의 한 가축 사육장에서, 그곳에서 재커루 한 마리가 일하고 있습니다.

재커루는 주인, 감독자, 관리자 [1][2][3]등이 되기 위해 필요한 기술에 대한 실무 경험을 얻기 위해 양이나 사육장에서 일하는 젊은 남성(여성에 상당하는 질라루)입니다.이 단어는 19세기에 호주 퀸즐랜드에서 유래되었고 21세기에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습니다.그것의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비록 그것은 호주 영어, 호주 문화, 그리고 호주 증권업자들의 전통에 확고하게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어원

재커루

jackaroo라는 단어는 이전에 jackeroo로 쓰이기도 했는데, 적어도 19세기 중반부터 호주에서 사용되었고 뉴질랜드에서 일반적인 사용법으로 전해졌습니다.두 나라에서 그것의 사용은 21세기까지 계속됩니다.이 단어의 기원은 불분명하고 아마도 알려지지 않았을 것이지만, 그것의 최초의 문서화된 사용은 퀸즐랜드에서였습니다.몇 가지 가능성이 제시되었습니다.

  • 잦은 직업상의 사용으로 인해 일반적인 명사가 된 디버벌 명사입니다. 캥거루를 침으로 굽는 관습에서 유래되었습니다."잭"이란 침이나 로티세리에 고기를 돌리는 사람을 말합니다."jack a roo"는 캥거루를 침으로 돌리는 것이었는데, 식민지 시대부터 호주의 외딴 지역의 시골 노동자들 사이에서 매우 흔한 관행이었습니다.
  • 때때로 '버커루'라고 불리던 미국 카우보이들을 일컫는 호주의 변형된 용어입니다.'버커루'라는 용어는 스페인어 '바케로'[4]에서 유래되었습니다.
  • 방랑하는 백인'을 뜻하는 토착어 용어에서 유래했습니다.
  • 또 다른 제안 (1895)[5]은 백인 정착민들의 이상한 소리를 내는 언어가 그들에게 상기시켜준 피리 부는 쿠라웅, 수다스러운 새를 뜻하는 원주민 단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Meston은 1919년 [6]신문에서 자신의 입장을 설명했습니다.
  • 1906년까지, 호주로 이주한 사람들은 종종 Johnny Raws라고 불렸습니다.그로부터 재키 [7]로우가 되었습니다.
  • 1925년까지 jackeroo라는 용어는 "최초의 [...] 중 하나가 'Jack Carew'[8]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는 사실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 호주의 모든 무역의 잭( + 캥거루)은 많은 대중적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퀸즐랜드브리즈번 쿠리어 신문은 1929년 7월 5일 16페이지에 투웡의 독자 'POMMY'의 질문에 대한 답변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jackaroo (때로는 철자 jackeroo)는 목축지에서 배우는 젊은이의 경험입니다. (2) 영어에서 'Jack'은 많은 단어로 복합적으로 사용되며, 초기 목축지에서는 경험이 부족한 역 [9]생도들이 목적 없이 뛰어다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캥거루의 'roo'와 복합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 1968년 호주 백과사전은 "아마도 잭키 [10]로우라는 이름을 바탕으로 한 호주어로 들리는 신조어일 것"이라고 언급했는데, 잭키+로우(Jacky+Raw)는 종종 영국이나 호주의 도시 배경에서 온 젊은이들이었고, 이는 'raw'의 경멸적인 사용을 설명할 것입니다.
  • 논란의 여지 없이 2010년에 가장 권위 있는 목소리는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에 호주 사전에 대한 편집 전문 지식을 제공하는 호주 국립 대학 인문학 연구소의 호주 국립 사전 센터의 목소리였습니다.그들은 최종 [11]판단을 내리지 않은 이유를 설명했고, 또 다른 가능성을 제기했는데, 'jackeroo'는 '까마귀 울음소리'가 아니라 '낯선 사람'을 뜻하는 원주민 단어에서 유래했습니다.
  • 철자 jackaroo와 jackeroo는 둘 다 약 1880년부터 적어도 1981년까지 사용되었습니다.2010년에,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 철자는 'jackaroo'였습니다.하지만, 1970년과 1981년 사이에, 호주 신문의 샘플은 'jackeroo'를 18번, 'jackaroo'[12][13][failed verification]를 29번 언급했습니다.

질라루

질라루라는 단어는 2차 세계대전에서[14] 만들어졌고 21세기까지 지속되었습니다.전쟁 기간 동안 전통적으로 남성들만이 따르는 모든 직업을 여성들이 맡는 것이 필요했습니다.질라로스는 재커루와 동등한 암컷이었습니다.과 질은 그 당시 널리 알려진 동요였고, 질라루가 잭커루에서 파생되었다고 제안합니다.

역사

사용, 관행 및 사회적 조건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했습니다.

19세기

1800년과 [15]1899년 사이에 출판된 Tibb의 인기 있는 노래책에서 캥거루에 대한 초기 언급을 찾을 수 있습니다.이 책은[16] 스스로를 다음과 같이 묘사하면서 시작합니다: "바쁜 인 타운, 호주의 자동차 운전자, 중국인과 연맹, 스쿼터즈의 패배, 호주의 행복한 땅, 더 잭커루, &c.,"

1867년 템플 바 잡지는 "퀸즐랜드에서의 부시 생활의 회상"이라는 에세이를 실었는데, 익명의 저자는 그의 경험이 부족해서 스스로를 "재커루"라고 부릅니다. (이야기는 [17]1863년에 일어납니다).

1878년 '아이언바크'는 "숲에서 '식민지 경험'을 하는 젊은 신사들을 [18][19]역무원들은 '재커루'라고 부릅니다.이 용어는 [20]내부의 원격 '백 블록'을 제외하고는 거의 들리지 않습니다."

식민지 경험은 19세기와 20세기 초에 영국의 젊은 신사들이 호주에서 기술과 경험을 습득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로, 대형 상업 시설의 점원과 같이 승진 가능성이 있는 직위에 지원할 때 영국에서 다시 우대받을 것을 기대하여 사용됩니다.그 재커루의 고용은 그의 아버지와 부유한 무단투기꾼 사이의 합의에 의해 이루어졌을 것이고, 그 아들은 그의 숙식을 위해 다양한 역할로 1년 동안 일했습니다.이것은 종종 최소한의 [21]비용으로 지적이고 복종적인 노동자를 얻은 무단거주자에게 큰 이점으로 여겨졌습니다.

20세기 초

1933년, A. J. 코튼은 "오늘날 중재 재판소(Commonwealth Court of Concilation and Arbitration)[22]는 자케루는 주당 25/- [실링]을 지불해야 한다고 말합니다.보통의 재커루가 처음 12개월 동안 일주일에 25실링을 방송국에 지불했다면, 그는 그가 아무리 기꺼이 할 수 있더라도 (경험 부족으로 인한) 피해에 대해 그들에게 보상하지 않을 것입니다.그것은 그저 그런 식으로 일어나고, 호주의 저주인 모든 중재 재판소는 [23]그것을 바꾸지 않을 것입니다."

코튼은 자수성가한 사람이자 (히든 베일에 있는) 지주였으며, 선원이 되기 위해 14살에 집을 떠났습니다.후에 그는 퀸즐랜드 클럽의 회원이 되었고, 자신의[24] 자서전 소개서에 퀸즐랜드 주지사굿윈의 감사 편지를 포함시켰습니다.

Bill Harney[25] 외부 캠프에서 계급 구분이 없었다고 말합니다. "모두 같은 불 주위에서 먹고 야외에서 잤습니다.하지만 헤드 스테이션에서 이 모든 것에 변화가 왔습니다.위에서 아래로 읽는 역 생활의 사회적 계층은 상사, 캥거루, 남성, 흑인이었습니다.이것은 엄격한 카스트 제도가 이 [26]땅을 지배하던 초기의 유물이었습니다."

이것은 분리된 식사 준비에서 가장 분명하게 드러났습니다. "보스와 캥거루는 '큰' 집이나 '정부' 집에서 식사를 했습니다. [...] 남자들, 즉 가축 사육사, 팀스터, 대장장이 등은 부엌에서 터커를 먹고 오두막에서 잠을 잤습니다.반면에 원주민들은 부엌 문에서 유인물을 받아서 장작더미[화목]에서 그것을 먹었습니다."

"그리고 이상하게도, 카스트의 이 구분은 우리를 식사에 불러들이는 카스트 종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정부의 집을 위한 딸랑딸랑 울리는 종, 부엌일을 하는 사람들을 위한 말 종, 그리고 나무 더미 위에 있는 흑인들을 위한 삼각형." ... "이 시스템과 일치하여,부시 타운은 상류층을 위한 커피숍과 노동자들을 위한 식당의 사회적 전통을 유지했습니다."

1936년까지[27] 비가르스는 "재커루는 사무 업무, 경계 승마, 양과 소 사육, 울타리 수리 등 모든 종류의 일을 해야 할 것이며, 일반적으로 그곳에 있는 모든 일은 그에게 공정한 교육뿐만 아니라 지능과 적응력이 필요할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Vigars는 계속해서 "재커루는 목가적 직업을 위해 훈련을 받고 있는 청년을 나타내는 칭호이며, 상선 해병대의 견습생인 군함 또는 상업용 주택의 견습생인 변호사 사무실기사 사무원 등에 해당합니다."[28]라고 말합니다.

20세기 후반

실제 직업을 위해 젊은이들을 훈련시키는 전통적인 방법은 견습이었고, 이것은 정규 학교 교육 프로그램으로 대체되기 시작했습니다.견습생의 한 형태로, 재커루는 유행을 따랐습니다.

오스트레일리아 농업 사회의 변화

[1975] – 마이클 손턴은 "호주 전통의 죽어가는 길이 될 수 있는 것에 대한 기억에" 기여하기를 바라며 작은[29] 책을 썼습니다.

기존 관행에 대한 불만이 표출되기 시작했습니다.

[1978] – "자카로스는 땀을 흘리거나 땀을 흘리는 노동입니다.그 전설은 그들이 역주들과 사회적으로 동등하고, 사실상 가족의 소유물로 취급된다는 것입니다.이 때문에 그들은 역무원의 절반 정도만 받고,[30] 언제든지 의무를 져야 합니다."

대부분의 질라루들은 1939-45년 전쟁이 끝난 후 도시로 돌아왔습니다.하지만 70년대 동안, 페미니스트적 사고의 결과로, 질라루의 새로운 원천이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페미니스트 페미니스트 페미니스트영국 여성인 수잔 [31]코탐은 1966년 3월 3일부터 1968년 3월 3일까지 퀸즐랜드 서부에서의 경험을 일기의 형태로 묘사했습니다.

21세기

더보킴벌리 기술추가 교육(TAFE) 센터는 시골 지역에서 캥거루 또는 질라루로 일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자격증 과정을 제공합니다.이 과정은 입문 단계에서 [32][33]농사일의 실질적인 측면을 다룹니다.

참고 항목

레퍼런스

  1. ^ 호주 맥쿼리 사전
  2. ^ "Jackaroo Jillaroo Australia Jackaroo & Jillaroo School Australia Program". Go To Australia. Retrieved 3 June 2021.
  3. ^ "jackaroo". dictionary.cambridge.org. Retrieved 3 June 2021.
  4. ^ 카우보이#어원 및 용법
  5. ^ A. Meston, 퀸즐랜드 지리사, 1895
  6. ^ 1919 '우리의 재커루 까치들.', 브리즈번 쿠리어 (Qld. : 1864–1864), 11월 12일, 6페이지, 2010년 11월 17일 보기, http://nla.gov.au/nla.news-article20392717
  7. ^ (1906 Bulletin (Sydney) 6월 28일, 2010년 11월 17일, Australian National Dictionary에서 검색됨)
  8. ^ (1925 호주 (시드니) 4월 52/3)호주 국립 사전, 2010년 11월 17일
  9. ^ 1929 'ANSWERs.', 브리즈번 쿠리어 (Qld. : 1864–1964), 7월 5일, 16페이지, 2010년 11월 13일 보기, http://nla.gov.au/nla.news-article21423644
  10. ^ 1968년, 호주 백과사전, A.T.A.와 A.M.리어문, 프레더릭 워네 & Co.런던 및 뉴욕
  11. ^ "Australian National Dictionary Centre, Australian Words H-R". Retrieved 15 November 2010.
  12. ^ 디지털화된 출판물의 TROVE 데이터베이스, 호주 국립 도서관, 2011년 6월 12일 검색.
  13. ^ "Trove". trove.nla.gov.au.
  14. ^ 1968, 호주 백과사전, 리어문
  15. ^ Tibb의 인기가요집, 호주 인기가요와 시, 28페이지, 시드니: Batty & Chalcraft Printers
  16. ^ NSW 주립 도서관에서 개최됨
  17. ^ "Temple Bar". Ward and Lock. 29 July 1867 – via Google Books.
  18. ^ "What is a Jackaroo or a Jillaroo? Backpacker Job Board". Backpacker Job Board Blog. 8 January 2017. Retrieved 3 June 2021.
  19. ^ "Year13 - What It's Really Like To Live And Work As A Jackaroo / Jillaroo". year13.com.au. Retrieved 3 June 2021.
  20. ^ 1878, '아이언바크', Southerly Busters, 9
  21. ^ "Colonial Experience". The Sydney Mail and New South Wales Advertiser. Vol. XVI, no. 684. New South Wales, Australia. 9 August 1873. p. 171. Retrieved 20 April 2022 – via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22. ^ 엘포드, 로스 G. (2002년 12월 12일) "영연방 조정중재 법원 (1904-1956)"호주 노동조합 기록 보관소.2011년 5월 30일 검색.
  23. ^ 1933; A.J. 코튼; 호주의 큰 목동들과 함께; 왓슨, 퍼거슨 & Co. Ltd.;브리즈번; p67
  24. ^ 면, 1933, x페이지
  25. ^ 1990년; 록우드, 더글러스와 루스 (편); 빌 하니, 부시맨스의 삶, 자서전; 바이킹 오닐; 멜버른
  26. ^ 빌 하니, 1990, 22페이지
  27. ^ Vigars, Francis Ernest; 1936; Jackroues: 호주에서의 그들의 의무와 전망; William Brook & Co.제한됨, 시드니, p5
  28. ^ Vigars, 1936, p5
  29. ^ Michael Thornton; 1975; 그것은 Jackaroo의 삶이다; Michael Thornton Publications; Melbourne, South Yara, South Yara, (호주의 풀 재배업자이자 총리인 맬컴 프레이저의 전 직원)
  30. ^ 1978, Don Whitington, 공정해지기 위해 분투, 호주 국립 대학 출판부
  31. ^ 수잔의 코탐; 1990; 질라루; 멜버른의 바이킹 오닐
  32. ^ "Outback Magazine" (75). February–March 2011: 157. {{cite journal}}:저널 요구 사항 인용 journal=(도움말)
  33. ^ "Jillaroos, jackaroos and their pups undergo sheepdog training". www.abc.net.au. 22 February 2021. Retrieved 3 June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