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콥 드 배커

Jacob de Backer
최후의 심판, 1583년

제이콥 드 백커(Jacob de Backer, 1555년 – 1591년)는 약 1571년에서 1585년 사이에 앤트워프에서 활동한 플랑드르 매너리즘 화가드로츠만이었다. 서른 살에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지만, 화가는 매우 다작했고 폭넓은 작품성이 그의 덕택으로 여겨져 왔다. 미술사학자들은 이 작품들 중 사인이나 워크숍의 산물 중 몇 점이냐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 작가나 그의 작업장에 귀속된 작품들은 이탈리아 모델들에 의해 분명히 영향을 받은 후기 매너리즘 스타일로 실행된다.

인생

이 예술가에 대해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그의 생년월일은 알 수 없다 학자들은 그의 수명도, 그의 작품의 확정적인 범위에도 동의하지 않는다.[1] 그는 앤트워프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1591–1600년 사망했다고 여겨진다.[2]

헬렌의 침실에 입원한 파리

초기 플랑드르 전기 작가 카렐맨더는 그의 빌더보크 (1604)에서 데 베커는 어린 시절 화가인 아버지로부터 버림받았다고 보고했다. 그는 곧 있을 법원 재판 때문에 앤트워프로부터 도망쳐야 했다. 그 후 그는 이탈리아 출신 화가와 사진상들의 작업실에서 몇 년 동안 일했지만, 안토니오 판 팔레르모(Antonio van Palermo, 1589년 이전 1503/13년)로 알려진 개신교 고백에서 일했다. 그는 후에 헨드릭 스텐위크장로(1550-1603)의 작업장에 들어갔다. 판 맨더는 팔레르모가 자신을 너무 열심히 일해서 어린 드 베커는 서른 살에 주인 딸의 품에 안겨 죽었다고 주장했다.[3] 판 맨더가 그런 일이 오래 전에 일어났다고 지적했듯이 그것은 판 스텐바이크가 1586년 앤트워프를 떠나기 전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1586년 이전에 데 베커의 죽음의 시간을 두고 있다.[4]

그 화가의 훈련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가 성 앤트워프 길드에서 명인이 되었다는 기록은 없다. 루크. 그의 작품은 로마와 피렌체의 매너리즘, 특히 조르지오 바사리의 높은 매너리즘 스타일에 강한 영향을 미치지만, 데 베커는 그의 현대 플랑드르 화가들 중 다수가 그랬던 것처럼 이탈리아로 공부 여행을 갔다는 증거는 없다.

그의 많은 작품들은 복잡한 우화적 주제를 다룬다. 이는 예술가가 인문학적 교육을 즐겼고 그의 후원자들은 앤트워프의 교육받은 계층 출신이었다는 증거로 해석되어 왔다.[5]

비록 그 화가가 겨우 30년 정도 살았지만, 많은 작품들이 그나 그의 작업장에 기인되었다. 그는 16세기 말 네덜란드 미술사에서 여전히 문제가 많은 인물로 남아 있다. 킬더-보크에서 카렐 판 맨더가 언급한 그의 그림들 중 어느 것도 확실하게 식별되지 않았고 그에게 귀속된 그림이나 그림도 증명할 수 있는 서명을 지니고 있지 않다.[1]

아폴로와 팬의 대결

알려진 그림 3점만이 데 백커 시대의 증명 수단으로 추적될 수 있으며, "기타, 미필화"의 귀속 근거가 된다. 이 작품들 중 두 작품은 마지막 심판의 변형판이다. 하나는 동료 앤트워프 화가 피터 괴트킨 1세의 장례 기념비를 위해 그리고 다른 하나는 유명한 앤트워프 프린터와 출판사 크리스토프 플랜틴의 장례 기념비를 위해 그려졌다. 현재 앤트워프 대성당 (c. 1589년)에 있는 버전은 플랜틴 기념비에서 나왔다.[6] 이제 이 그림의 옆날개는 다른 화가의 작품이었다고 여겨진다.[4] 괴카인드 기념비를 위해 만들어진 버전은 2015년 1월 28일 크리스티 경매에서 107호로 경매된 마지막 심판일 가능성이 있다. 마지막 심판의 주제에 대한 이러한 두 가지 변형 해석은 많은 알려진 복사본이 만들어진 후에 나온 원본으로 여겨진다.[6] 1594년 알레산드로 파르네세스의 비서 코시모 마시가 앤트워프에서 사들인 7대 죄악 시리즈가 이탈리아로 끌려갔다.[4] 이 그림들은 현재 나폴리카포디몬테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성 요한과 함께한 마돈나와 아이

화가의 양식에 대한 명확한 증명과 정의가 어려웠기 때문에 미술품 거래는 드 백커에게 많은 그림과 그림을 귀속시키는 것을 막지 못했다. 여기에는 우화적, 신화적, 종교적 주제를 다룬 작품들이 포함된다. 이것들은 1570년에서 1600년 사이에 남네덜란드에서 생산되었고 이탈리아 말기의 마니에즘의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지식에 근거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근거에서 Jacob de Backer로 귀속된 작품들은 예술적 질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개별적인 서브 스타일의 다원성을 나타낸다. 그에게 귀속된 작품들 중 상당수도 복수 버전으로 등장한다. 일부 학자들은 제이콥 드 백커를 명인이라기 보다는 워크숍의 책임자로 대우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사실, 데 베커는 앤트워프 길드에서 명인으로 거론된 적이 없었다.

미술사학자 Eckhard Leuschner는 Jacob de Backer라고 불리는 뚜렷한 성격에 의해 창조된 원본 사진들을 분리하려는 시도를 중단하고, 오히려 스타일과 아이콘그래피에 밀접하게 관련된 작품들의 말뭉치를 "De Backer 그룹"이라고 이름 붙여지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낫다고 제안했다. 그 집단이 식별되고 체계적으로 연구된 후에야 그 집단의 다양한 작품에서 개개인의 손을 구별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단일 구성의 다양한 버전에 관해서, 르우슈너는 특정한 예술적 수단을 위한 선택이 어떻게 현대의 작업실습과 그 시대의 후원자와 미술 수집가의 예술적 선호와 연결되었는지 연구할 것을 추가로 제안했다.[1]

메모들

  1. ^ a b c Eckhard Leuschner, "De Backer Group"의 그리사유 오일 스케치와 16세기 앤트워프의 작업장 실습: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저널, 43 (2008), 페이지 99-110
  2. ^ 네덜란드 미술사연구소 제이콥백커(네덜란드어)
  3. ^ "Karel van Mander, Het schilder-boeck · dbnl". Dbnl.org. Retrieved 30 March 2013. (네덜란드어로)
  4. ^ a b c Carl van de Velde: "Backer, Jacob de [Jacques]" Grove Art Online.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16년 7월 16일 접속
  5. ^ 스핑크스 미술에서 모세발견, 제이콥백커에게 기인
  6. ^ a b Jacob de Backer (앤트워프 c. 1555-1585), 크리스티의 최후의 심판

외부 링크

  • 위키미디어 커먼스의 Jacob de Backer 관련 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