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D.허튼

James D.
제임스 D의 사진을 따라 새겨진 '아라파호 부족의 교장'허튼 1860년

제임스 뎀프시 허튼(James Dempsey Hutton, 1828년–1868년)은 남북전쟁 이전 몇 년 동안 몬태나, 와이오밍, 사우스다코타, 노스다코타에서 활동한 예술가, 측량가, 지도 제작자, 초기 사진작가였습니다.그는 그 분쟁에서 남부 연합군의 공병으로 복무했고,[1] 1868년 멕시코에서 망명 중에 사망했다.

초기 생활과 캘리포니아

허튼은 워싱턴 D.C.의 제임스 허튼 (d. 1843년)과 그의 아내 살로메 리치, 서지학자 오바디아 리치, 식물학자이자 탐험가 윌리엄 리치 사이의 중간 아들로 태어났다.그의 형제들은 예술가이자 토목 기술자인 윌리엄 리치 허튼과 건축가이자 엔지니어인 나타니엘 헨리 허튼이었다.제임스 허튼과 그의 형 윌리엄은 1847년 삼촌 윌리엄 리치와 함께 캘리포니아로 여행을 갔다. 윌리엄 리치는 멕시코-미국 전쟁에서 미국 지원군의 소령으로 임명되었다.제임스는 1847년 7월 캘리포니아 산호세를 조사하기 위해 고용되었지만, 이듬해 1월에 정직당했다.그는 1840년대 후반에 그의 형과 삼촌과 함께 캘리포니아를 여행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의 많은 스케치는 이 시기부터 남아 있습니다.그는 1850년부터 [2][3][4]1852년까지 그의 형 윌리엄이 측량사로 일했던루이스 오비스포 카운티에서 군 서기로 일했다.

레이놀즈 탐험대

1859년 4월 22일, 제임스 허튼은 윌리엄 F 선장이 이끄는 레이놀즈 탐험대에서 한 달에 120달러의 월급을 받고 지형학자로 임명되었습니다. 다코타 준주가 될 포트 피에르에서 옐로스톤 강 상류까지 북부 로키 산맥을 탐험하기 위해 지형 공학 군단레이놀즈.그의 헌장은 그가 발견한 기후, 천연 자원,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에 대해 보고하는 것이었다.그는 또한 포트 라라미에서 포트 유니언과 포트 벤튼으로, 그리고 오리건 트레일의 옐로스톤 강에서 사우스 패스로 그리고 미주리 윈드 강 사이의 왜건 도로를 지도화하도록 지시받았습니다.허튼은 이번 탐험에서 보조 예술가이자 사진작가로 활동하면서 와이오밍의 빅혼과 윈드리버 산맥과 몬태나주의 옐로스톤과 미주리강 계곡을 펜으로 스케치하고 사진을 찍었다.그는 크로우족, 수족, 샤이엔족,[1][5][6] 아라파호족 회원들의 민족 사진을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1862년, 퍼디난드 5세에 의해 "미주리 밸리 인디언 부족의 민족학과 언어학에 대한 기여"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Volume 12)에 허튼의 미국 원주민 사진 이후 7개의 판화가 출판되었다.헤이든, 탐험대의 지질학자.[7][8]1859년 7월, 레이놀즈 탐험대에 있는 동안, 허튼과 탐험대의 수 통역관 제피르 레콘트르는 1857년 이전 탐험대에 의해 멀리 떨어진 곳에서 목격된 고립된 암석 지형을 찾기 위해 부업을 했다.허튼과 레콘트레는 나중에 데빌스 타워로 알려진 암석 지형에 도달한 최초의 백인이 되었다. 레이놀즈는 [9][10]이 사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지 않고 지나가는 말로만 언급했다.

남북전쟁과 망명

남북전쟁이 발발했을 때, 허튼은 다시 워싱턴 D.C.에 거주하며 지도 [11]제작자로 일했다.허튼은 전쟁 초기에 연방에 가입하여 버지니아 알렉산드리아를 방어하기 위한 연방 계획을 남부에 [8]전달했다.는 헨리 A 장군 밑에서 기술자로 일했다. 현명하고 스털털 가격.1864년 9월 27일 조종사 노브 전투의 스케치는 현재까지도 남아 있다.전쟁이 끝나자, 그는 멕시코로 이민을 갔고, 그곳에서 [8]1868년에 죽었다.

헌팅턴 도서관과 미술관의 필사본 부서에는 제임스 D의 16권이 소장되어 있다.허튼의 [12]그림이요

메모들

  1. ^ a b 팜퀴스트와 케일본 2000, 316-317페이지
  2. ^ 팜퀴스트와 카일본 2000, 316페이지
  3. ^ Waters, Willard O., "Brief Recoriory", 허튼의 캘리포니아에서의 글랜스에서
  4. ^ 웰플릿과 비욘드
  5. ^ Sandweiss 2004, 페이지 132
  6. ^ 팜퀘스트와 케일본 2000, 페이지 25
  7. ^ Sandweiss 2004, 페이지 134
  8. ^ a b c 팜퀴스트와 카일본 2000, 317페이지
  9. ^ Mattison, Ray H. (1955). "The First Fifty Years – Early Exploration". History and Culture. National Park Service. Retrieved June 15, 2014.
  10. ^ Raynolds (June 15, 2012). Merrill, Daniel D. and Marlene Deahl (ed.). Up the Winds and Over the Tetons: Journal Entries and Images from the 1860 Raynolds Expedition.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ISBN 978-0826350978. Retrieved July 13, 2014.
  11. ^ 볼티모어 건축 재단, "네이더니얼 헨리 허튼"
  12. ^ 헌팅턴 도서관, 원고과 제임스 D의 그림.허튼

레퍼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