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리 퍼넬 주니어

James Lee Purnell Jr.

제임스 리 퍼넬 주니어(James Lee Purnell Jr. 1937년 7월 26일생 - 2021년 12월 27일생)는 은퇴한 미국의 정치인 및 사회 활동가다.그는 메릴랜드 우스터 카운티에서 공직에 선출된 최초의 흑인 대통령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그가 당선되기 전 그는 미국시민자유연합(ACLU), 미국유색인종진보협회(NAACP)와 함께 대규모 투표를 끝내고 메릴랜드주 우스터 카운티에 다수 '소수' 투표구를 만들자는 의결권 소송에서 주요 원고 중 한 명이었다.당시 푸르넬은 NAACP 우스터 카운티 지부장이었다.

조기생활과 교육

푸르넬은 1937년 7월 26일, 브리델타운으로 알려진 마을의 검은 편에 있는 메릴랜드 베를린에서, 헐다 맥크레이 푸르넬(1911-2000)과 제분공이자 낙농가인 제임스 리 푸르넬 시니어(1908-1994) 사이에서 태어났다.그는 부모 결혼에서 8명의 자녀 중 가장 나이가 많고, 에드워드 L. 푸르넬, 패트리샤 E.가 그 뒤를 잇고 있다.푸르넬 힝글턴, 제럴드 W. 푸르넬 시니어, 벤자민 H. 푸르넬 시니어, 길버트 C.퍼넬, 헤니 M.푸르넬 체이스와 버사 C.퍼넬.그는 또한 그의 부모님의 이전 관계에서 나온 세 명의 형제가 있다: 조슈아 W. 맥크레이, 오시 헨리, 버지니아 푸르넬.[1]그는 미국 대학 농구 코치 올리버 퍼넬과 명예 제럴드 5세의 사촌이다.메릴랜드 동부 해안에 있는 최초의 흑인 판사 푸르넬.

초등학교까지 1마일을 걷기 전, 그의 일과는 가족의 17마리의 젖소에게 우유를 짜주고 아버지와 함께 신선한 우유를 배달하는 것을 포함했다.그가 다녔던 올블랙스쿨에서 학생들은 백인학교의 중고서적만 접할 수 있었다.그 책들에는 종종 마크가 붙고, 찢어지고, 없어진 페이지가 있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퍼넬의 성적은 7학년까지 좋았다.성적이 떨어지자 교장과 교사 3명이 학부모 집에 찾아와 상의했다.[1]

베를린은 미국 113년의 반대편에 사는 백인과 흑인이 사는 분리형 마을이었다.쇼핑하러 상가에 간 흑인들은 지정된 주차 공간을 가지고 있었고 더러운 욕실 한 곳에만 접근할 수 있었다.2년 연속으로, 그와 그의 친구들은 마을에 있는 할로윈 퍼레이드를 보러 갔고, 벽돌을 휘두르는 백인 소년들에 의해 고속도로를 가로질러 다시 쫓겼다.인도에서 어슬렁거리는 것은 금지되었다.1947년경, 그와 그의 여동생 패트리샤는 메인과 윌리엄 스트리트 모퉁이 근처에 서서 어머니가 신발 가게에서 구매를 완료하기를 기다리고 있었다.베를린 경찰 노아 허드슨은 그들에게 "N____, 길에서 떨어져!"라고 소리쳤고, 그리고는 그의 여동생의 배를 블랙잭으로 때렸다.그 당시 그의 여동생은 7살이었다.허드슨은 그들의 아버지가 그에게 맞섰을 때 사과했지만 제임스 리 푸르넬 시니어가 허드슨의 상관들과 마을 관리들과 함께 이 사건을 추구하면서 여전히 직장을 잃었다.제임스 주니어는 끈기와 선을 위한 싸움에 대한 귀중한 교훈을 배웠다.[1]

다른 사람들의 낙담에도 불구하고, 퍼넬은 1953년 도시의 하얀 면에 있는 선샤인 세탁소에 지원했다.그들은 그 자리에서 그를 고용했고, 그는 1955년 우스터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그곳에서 추출기로 일했다.[1]

젊은 성인 시절 퍼넬은 장거리 트럭 운전사가 되었다.[1]그는 1961년 크리스마스에 클레메스 하디와 결혼했다.[2]1971년 메릴랜드 오션시티의 휴양도시 콘도미니엄 붐이 일던 중 아내와 함께 성공적인 휘장 설치 사업을 시작했다.[3]1976년에는 우스터 카운티 공립학교의 버스 계약직도 되어 하나로 계속 활동하고 있다.[2]

사회활동주의

1981년 푸르넬 등은 베를린과 우스터 카운티 NAACP의 흑인 공동체에 속해 있는 다른 사람들은 그의 부모님의 집 뒤편과 브리지델타운 중심에 있는 쓰레기 매립지의 폐쇄를 요청하기 위해 카운티 위원회 앞에 갔다.한때 일시적이었던 것으로 여겨졌던, 발굴되고 처리되지 않은 쓰레기 매립지는 도시의 검은 면에 악취를 일으켰다.위원들은 거절했지만, 메릴랜드 보건국이 개입된 후 거의 4년 후에 그 쓰레기 매립지는 폐쇄되었다.이 매립지는 그들의 우물 물 공급원을 오염시키고 있었기 때문에, 흑인 거주자들에게도 카운티의 수도 시스템에 대한 접근권이 주어졌다.[1]

1986년 우스터 카운티 NAACP 총재가 된 후 조직과 흑인 카운티 주민들이 오션 시티 보드워크를 따라 행진하도록 이끌었다.1986년 7월 5일 행진은 흑인들을 위한 비메니얼 리조트 일자리의 부족과 관광 광고에 흑인 가족의 이미지가 결여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기 위한 것이었다.[4]

그들의 대통령인 푸넬과 NAACP는 카운티의 불법 투표 관행에 도전하기 시작했다.이에 앞서 우스터 카운티에 있는 커미셔너 사무실에 출마한 흑인은 3명에 불과했지만 모두 낙찰됐다.[5]푸넬은 ACLU와 함께 대규모 투표가 흑인을 차별한다는 1992년 소송에서 원고였다.[6]

우스터 카운티 위원회에서 여러 차례 상고하고 대법원이 이 사건을 심리하지 않자, 제4회 미국 순회상소법원은 1995년 6월 16일 우스터 카운티에게 대규모 투표를 폐지하고 동부 해안에 유일한 다수결인 '소수' 투표구를 만들도록 명령했으며, (당시) Novo에서 선거를 실시하도록 명령했다.이 소송과 항소로 인해 1994년 카운티 여론조사는 마감되었다.[6][7]5명의 공화당 위원들은 낡은 투표 제도를 유지하려는 시도로 80만 달러의 소송비를 벌었다.우스터 카운티도 원고측 법률팀인 ACLU로 인해 40만 달러의 소송비용을 부담해야 했다.[5]

7월 3일 후보 등록 마감일이 다가옴에 따라, 새로운 소수민족 3지구에 출마하기 위해 다른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나서지 않았다.푸르넬은 NAACP 총재직을 사임하고 1995년 6월 23일 군청장 출마를 선언했다.[7]

1995년 선거

우스터 카운티의 5인 위원회 선거는 1995년 11월 7일에 열렸다.퍼넬은 공화당 현직 플로이드 바셋을 근소한 차이로 이겼다.그의 우승으로 그는 우스터 카운티 253년 역사상 처음으로 공직에 선출된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되었다.[8]퍼넬은 아버지가 살아서 목격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날은 그의 삶에서 가장 "자랑스럽고 슬픈 날"고 말했다.그는 1995년 12월 3일 취임 선서를 했다.

군청장

퍼넬은 2014년 은퇴할 때까지 5번의 임기를 통해 카운티 위원직을 유지했다.그의 재임 기간 동안, 그의 동료 위원회 위원들은 1995년부터 2005년까지 그리고 2010년부터 2012년까지 그를 부통령으로 선출했다.그는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위원회의 회장을 역임했다.[9]

퍼넬은 재임 중 카운티 채용 관행을 개선하고 카운티 직원들 간의 다양성을 촉진하기 위해 노력했다.우스터 카운티 학교 이사회가 그의 연간 예산 지원을 요청했을 때, 그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교사 부족을 시정하는데 동의할 때까지 거절했다.그 결과, 그 첫 해 동안 17명이 채용되었다.[4]

조직 구성원 자격

  • 회원, 우스터 카운티, 메릴랜드 카운티 위원회 위원(1995-2014, 부통령 1995–2005, 부통령 2005–2008, 부통령 2010–2012)
  • 회원, 메릴랜드 주 우스터 카운티의 NAACP (대통령 1986–1995, 부통령)
  • 회원, 메릴랜드 주의 NAACP (부회장 1992-1995)
  • 회원, 우스터 카운티 보건국 (1994-2014)
  • 동부 저지대 트리 카운티 협의회(2006-2014)
  • 회원, 성 바울 유나이티드 감리교, MD (1957–현재)
  • 32도 프린스프리메이슨 동별 기사단원
  • 창립자,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연례 연회(1985년)

수상

  • 동부 저지[10] 3군 평의회 시민상(2015년)
  • 메릴랜드 노인 명예의[11] 전당 입성자(2016년)

참조

  1. ^ a b c d e f 오설리반, 숀.1995년 12월 5일, 데일리 타임즈, 솔즈베리 "역사 메이커의 역사"
  2. ^ a b Morse, Joseph E. "Outstanding Achiever James L Purnell Jr.", Maryland African American Pride Magazine, Salisbury, 2007년 1월/2월.
  3. ^ 모스, 조셉 E. 1995년 8월, 솔즈베리 쇼어 리빙 매거진, "워스터 카운티 시빅 리더 제임스 L 푸르넬"
  4. ^ a b 칸포라, 수잔.2006년 5월 3일 오션파인스 인디펜던트 오션파인스에서 "퍼넬은 공동체에서의 역할에 영광을 안았다."
  5. ^ a b 마이어, 유진 L. 워싱턴 포스트, 1995년 11월 4일 "May Mayay Be New Day For Blacks In Md. County"2017년 9월 1일에 회수됨.
  6. ^ a b 1995년 8월, Salisbury의 쇼어 리빙 매거진, Morse, Joseph E. "워스터 카운티 투표 사건 심판의 블랙 구역 규정"
  7. ^ a b 1995년 6월 28일 오션 시티의 메릴랜드 타임즈 프레스, 피셔, 팀 "퍼넬 파일즈 for 커미셔"
  8. ^ 셰퍼, 조슈아1995년 11월 8일, 데일리 타임즈, 솔즈베리 "퍼넬의 첫 흑인 당선 축하의 승리"
  9. ^ 메릴랜드 주립문서보관소.2015년 9월 29일 아나폴리스 주 메릴랜드 매뉴얼 온라인 "워스터 카운티, 메릴랜드 카운티 위원회 이전 위원들"2017년 9월 1일에 회수됨.
  10. ^ 발송 관리자.2016년 5월 26일 오션 시티 메릴랜드 코스트 디스패치 "퍼넬 시민권 수여"2017년 9월 1일에 회수됨.
  11. ^ 메릴랜드 노인 명예의 전당.메릴랜드 시니어 명예의 전당, 2016년 "메릴랜드 시니어 명예의 전당 영예"2017년 9월 1일에 회수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