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모메트 계열

Jamomet family
자모메트
크로아티아계 & 헝가리계 & 보스니아계 귀족 가문
Jamometović armor from Korjenić-Neorić Armorial.jpg
나라.
설립됨12세기
제목주판, 나이트, 보이보데
전통천주교
생도 분기
리스트
  • 안치치, 미할제비치, 부치치, 프리비셰비치, 클라이치코비치, 크리차니치, 노바코비치

자모메티(Jamometi), 자모메티치(Jamometich) 또는 자모메토비치(Jamometovich)라고도 알려진 자모메트(Jamometh) 가문은 파카 콘벤타(1102)에서 언급된 크로아티아 왕국12대 귀족 부족 중 하나였다.원래 달마티아 출신인데 14세기에는 자클루미아에서도 성이 언급되어 있어 크로아티아 부족의 한 분파일 가능성이 있지만, 그 관계는 여전히 불확실하다.[1]

어원

출처에 있는 가문은 지아모테리치, 지아모메토비치, 이아모메트, 잠모메티히, 자모메티치, 자모메티치, 야모메티, 야모메테, 자모테호룸이라고도 한다.[1][2][3]

국장

17세기 포즈니카 아모르미알에서 나온 자모메토비치의 국장.

야모메토비치로 서명한 코르제니치-네오리치 아모르미알 (1595)에서 그들의 팔에는 검은 의 방패가 달려 있었고, 양쪽에는 세 조각이 있는 황금빛 창백한 색의 파티가 있었다.각 부분에는 위로 솟은 은빛 초승달이 세 개씩 나란히 놓여 있었다.헬멧 위에는 왕관을 쓴 검은 트리톤이 있었는데, 그는 활을 들고 금빛 화살을 쏘고 있다.헬멧의 맨틀은 검은 황금색이다.[1]다시 포즈니카 아머리얼(17세기)에 포함되었지만, 투구는 트리톤 대신 한 쌍의 흰 날개가 있는데, 그 가운데가 황금 초승달이다.[4]사모메토예비치(Samometoevich)로 서명한 사라크 갑옷(1746년)[4]과 보즈니치(Bojnichi)의 시베무서: 데르 아델 폰 크로아티엔(Der Adel von Kroatien) und 슬라보니엔(1899년)은 코르제니치-네오리치 갑옷과 같은 형태의 갑옷 스타일을 가지고 있었다.[5]

크로아티아 가문

그들의 원래 토지는 아마도 루카 츄파니자의 북서부와 중앙부에 위치했을 것이며,[6] 특히 크르바크 러그, 크르네자, 마그라인, 포들루제, 로술제, 메니시치,[7] 오스트로비차 근처에 위치했을 것이다.[1]가장 먼저 알려진 속은 župan Ioannem de genere Jamomet(ith)orum으로, 헝가리의 왕인 Coloman과 교섭한 Pacta conventa(1102)에서 언급된 12명의 귀족 중 하나지만, 이 문서는 오히려 14세기 중반의 위작이라고 여겨진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가족은 아마도 12세기에 존재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1]확실히 알려진 첫 번째 멤버는 비오그라드나 모루 근처의 토지 소송과 관련하여 1240년도의 Pripico et Dobrano Jamometi이다.[1][7][8]1270년까지 미스티나는 농노가 있는 셀시(Selci)에서 약간의 땅을 얻었고, 아마도 보리슬라프(1303)와 같은 시민으로서 자다르(Zadar)에서 살았을 것이다.[1]중세 포들루제 교구는 12-13세기 로마네스크 성당에 봉헌되었다.조지[9]

13세기 말부터 일부 회원은 시에서 귀족의 지위를 갖고 영구히 살았다.1284년에는 흐란코의 아들 모히샤가 기록되어 있으며, 후자는 아마도 1292년 파그에 소금공장을 소유한 같은 이름의 시민이었을 것이다.[1]닌 시장(1284–1302)과 스플릿 시장(1304–1307)을 역임한 부체타가 이 가문의 당대 저명인사였다.브레비르의 반폴 1세 슈비치의 누이 젤레나(Jelena)와 결혼하였으며, 1293년부터는 나폴리 궁정에서 크로아티아 반지의 대표였다.그의 아들 미호빌은 기사 칭호를 가지고 있었고 슈비치를 섬겼으며, 아버지의 뒤를 이어 닌의 시장 자리에 올랐다(1306–1307년 언급), 브리비르의 믈라덴 2세 슈비치의 전쟁 중에 아마 사망했을 것이다.그의 아들 이반도 기사 칭호를 가지고 있었는데, 닌에 거주하면서 귀족의 지위를 가지고 있었고, 미할제비치 가문을 세웠다.[1][7]

믈라덴 2세가 몰락한 후, 그 가족은 명성을 잃었다.1322년 특정 하르본자 또는 헤르본자 부치치가 언급되었는데, 그의 상속자들은 자레네를 상륙시키기 10년 전에 크르바박 루그(현재의 라도빈의 일부) 근처에 크르니카 땅을 가지고 있었다.1351년 자르누크의 아들 라도슬라브(Radoslves)는 포리차니(Porichani)에 땅을 얻었다.1366년 닌의 니콜라 체르부이그는 프라훌제(Prahulje)에 땅을 몇 개 사들였고, 1373년에는 라파크와 라도슬라프 프리비셰비치가 기록되어 있다.[1]1383년 귀족 넬리팍 자모메트는 크르바박 러그와 스노자키에 접경한 사유지를 가지고 있었다.[10]1389년 귀족 Grgur Klichkovich de genere Iammet이 포들루제(Podluluje)에 살면서 일부 땅을 팔았다.[11]1년 후 귀족인 고스티샤 크리자니치 데 게네레 자모메트는 로술제 마을의 토지 일부를 매각했다.[12]1391년 마을 메니시치의 자모메트 파블레의 아들 유라지가 포들루제(Podlužje)에 땅을 팔았다.[13]앞서 언급했던 고스티샤는 같은 해 주라지를 목격한 로술제의 일부 토지를 매각했다.[14]

1412년 오스토자 노바코비치(Ostoja Novakovich)는 닌의 시민이었다.드라드밀의 로브로와 같은 몇몇 회원들은 자다르의 시민권을 얻었다.그는 1425년 블라크 밀로바키제 빌로제비치에게 매각한 빌자네에 1436년부터 카멘자네에, 1441년 투란지에서 1600두캣에 매각된 부동산을 가지고 있었으며, 직물을 거래하고 1500두캣을 무역협회에 투자하였다.[1]1433년과 1440년에 루카 츄파니자에서 고귀한 판사의 기능을 가진 부카신 안치치게네레 자모메트가 기록되어 있다.[7][15]1481년 자다르 주변에서는 마지막으로 언급된다.[1]15세기 후반, 1483년 포운제 지역의 오스트로이작 성 근처에는 부리치와 주라즈 미트코비치가 관리하는 몇몇 부족 거주지가 있었다.[1][15]후에 자모메트라고 불리는 이 마을 야모웨크는 1330년부터 헝가리의 찰스 1세 왕에 의해 바보니치 가문에 귀의했다.[1]

저명인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니아 가문

14세기에, 아마도 부체타의 사촌들 중 한 지부는 1333년부터 1466년까지 언급된 자클루미아에 있는 몇몇 땅을 선물로 받았다.[7]그러나 달마티아와 포운제에서의 자모메티치와의 관계는 불분명하다.[1]그들에게는 아마도 네레트바 출신의 모메타와 그 가지인 오브라도비치도 관련이 있을 것인데, 크로아티아 부족과의 연관성도 불확실하다.[18][19]

주로 라구사 공화국(Dubrovnik)의 문서에 언급되어 있는데, 이 문서들은 인근에 토지가 있었다.[20]초창기 멤버는 부코슬라브(1333)로, 산코비치 귀족 가문의 조상인 밀텐 드라이보예비치(Milten Draraivojevich)와 어떻게든 연결되어 있다.[20]1419년 파블로비치의 귀족 가문을 섬기고 있던 아들 라시코(1389)와 손자 드라기샤(1419, 1423, 1426)의 혈통은 두브로브니크와 사이가 좋았고 코나블레에 일부 유산을 가지고 있었다.그러나 1426년 코나블레가 라도슬라프 파블로비치에게 팔리자 라슈코와 드라기샤는 그 혈통의 미지의 운명을 안고 그들의 땅을 떠났다.[1][20]

또 다른 부코슬라브, 아마도 첫 번째 증손자일 수도 있는 župa Popovo (1417년) 출신이었다.그는 1436년 겉으로 보기에 그르구르 니콜리치를 섬겼을 때 음역이 되었고, 나중에는 아마도 코사차 계급의 일부였을 것이다.그의 형은 아마도 클라팍(1417)이었을 것인데,[21] 그는 형제들과 함께 스톤에 그들의 가족과 물품을 재정착할 수 있도록 허락되었다.[1]이 포포보 라돈자(1453년), 페타르(1464년), 그리고 마지막으로 언급된 드라기치와 티브르코(1465년–1466년)[21]의 형제일 가능성이 있다.[1]

1423년 자클루미안 자모메트와의 관계를 알 수 없는 페타르 자모메트는 보스니아 왕국의 포드비스코코에 살면서 티브르코 2세를 섬겼다.[20]존카와 결혼하여 아들 벤코 페트로비치 자모메티치(1448)를 두었다.그의 딸 스타누샤(1448)는 스톤 출신 스타제프코 프리비살리치 무르비치와 결혼했다.[20]

토마스 국왕의 대표로 세르비아 땅을 관리한 것으로 알려진 벨리미르 자모메토비치(1446)의 존재는 의심스럽다.[1]

참고 항목

참조

메모들

  1.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조시코비치 2005년
  2. ^ 1897년 클라이치, 페이지 68-69
  3. ^ 쿠르토비치 2016, 페이지 316–330.
  4. ^ a b 쿠르토비치 2016, 페이지 331.
  5. ^ Bojničić, Ivan (1933), Der Adel von Kroatien und Slavonien. [The nobility of Croatia and Slavonia] (in German), Numberg: Bauer & Rasper
  6. ^ 클라이치 1897, 페이지 68.
  7. ^ a b c d e Croatian Encyclopaedia (2011), Jamometi
  8. ^ 클라이치 1897, 페이지 68, 84.
  9. ^ Jurlina, Petra (2013). Bukovica and Ravni kotari: cultural heritage guide (PDF). Zagreb: University of Zagreb. p. 42. ISBN 978-953-6002-71-9.
  10. ^ 카라비치, 카투시치, 피사치 2007, 페이지 27. 오류:(
  11. ^ 카라비치, 카투시치, 피사치 2007, 페이지 214. 오류: 없음:
  12. ^ 카라비치, 카투시치, 피사치 2007, 페이지 240. 오류:
  13. ^ 카라비치, 카투시치, 피사치치 2007, 페이지 288. 오류:
  14. ^ 카라비치, 카투시치, 피사치 2007, 페이지 290. 오류:
  15. ^ a b 클라이치 1897, 페이지 69.
  16. ^ Croatian Encyclopaedia (2011), Jamometić, Andrija
  17. ^ Mikičić, Mato (2017), "Andrija Jamometić (1420/25–1484) diplomat and advocate of the restoration of church structures", Radovi (in Serbo-Croatian), Zadar: Institute for Historical Sciences of the Croat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59): 125–142
  18. ^ Vidović, Domagoj (22 January 2010). "(Ob)radujte Se, Narodi: Obradović, Martinović, Domazet, Bošković" (PDF). Metkovski Vjesnik. III (25): 20–21.
  19. ^ Vidović, Domagoj (2017). "Vidonjska prezimena". In Mile Vidović (ed.). Proslava 400. obljetnice crkve sv. Ivana Krstitelja u Vidonjama 1616. - 2016. Metković: Ogranak Matice hrvatske Metković, Župni ured Vidonje. pp. 30–65. ISBN 978-953-7141-23-3.
  20. ^ a b c d e 쿠르토비치 2016, 페이지 333.
  21. ^ a b 쿠르토비치 2016, 페이지 334.

원천